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Mediated Effect of Working Environment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직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안태숙 (강원관광대학교 사회복지서비스과 교수)
  • Received : 2020.09.02
  • Accepted : 2020.09.25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is study found out a process of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recognized by social workers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verified a mediated effect caused by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process. A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mong 205 employees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first, professional identity has an extremely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professional identity has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working environment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enhancemen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is based on enhanc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an be enhanced by the working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practical plans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ocial worker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직무환경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연구대상은 20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직 정체성은 직무만족에 매우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직 정체성은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환경은 전문직 정체성과 직무만족, 전문직 정체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향상은 전문직 정체성을 높이는 것에 기반을 두며 직무환경에 의해 조직몰입이 더 높아질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승환, 2019 사회복지사 통계연감,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9.
  2. 임성옥,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전담공무원과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5권, pp.5-26, 2006.
  3. 신중환, 김정우,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감성노동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6권, 제4호, pp.157-179, 2014.
  4. 홍선미,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운영개선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19.
  5. 조상미, 2019 서울시 사회복지사 근로실태 및 개선의 견 조사연구 결과보고서,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2019.
  6. 임성욱, 김현희, "요양보호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권, 제3호, pp.151-176, 2011.
  7. 김태량, 김경화, "사회복지사의 윤리경영에 대한 인식과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7권, pp.183-215, 2018.
  8. 이창호, 임우현, "노인요양시설 사례관리자의 직업적 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2권, pp.27-50, 2012.
  9. 민원홍, 이형섭, 김현민, "보호관찰관의 사회복지전문직 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보호관찰, 제10권, 제2호, pp.189-225, 2010.
  10. 강철희, 이종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장이동과 직업이동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50권, 제3호, pp.93-129, 2019.
  11. 김선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종사자의 전문직업성과 직무태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2. 조경훈, 박기찬,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창조와혁신, 제1권, 제1호, pp.297-326, 2008.
  13. J. E. Finegan, "The impact of person and organizational valu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3, No.2, pp.149-169, 2000. https://doi.org/10.1348/096317900166958
  14. 서재현, 설현도, 송상호, 이호선, 조직 행동론, 한경사, 2011.
  15. 신명철,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과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6. 최영광, 전동일, "사회복지사 이직 의사 영향 요인: 사회복지사와 비사회복지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129-136,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129
  17. 강철희, 이종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장이동과 직업이동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50권, 제3호, pp.93-129, 2019.
  18. Charles Zastrow, The practice of social work : A Comprehensive Worktext(eighth edition), Thomson Brooks/Cole, 2007.
  19. 김용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적 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4호, pp.278-308, 2015.
  20. D. T. Hall, "Careers and sociallization," Journal of Management, Vol.13, pp.301-321, 1987. https://doi.org/10.1177/014920638701300207
  21. 박종우, 사회사업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22. 김행열, 김용민, "한국 사회복지사의 윤리성과 전문 성에 대한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북아논총, 제58권, pp.209-231, 2011.
  23. 조미영, 김선희, "청소년지도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 제17권, 제4호, pp.239-262, 2015.
  24. 차명진, 제석봉, "노인생활시설 사회복지사들의 직무 및 조직특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제29권, 제2호, pp.669-682, 2009
  25. 문영주, 권자영,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직무 동기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 17권, 제3호, pp.285-313, 2015. https://doi.org/10.22944/KSWA.2015.17.3.011
  26. D. Hepworth, R. Rooney, and J. Larsen, Direc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 5th ed, Pacific Grove, CA: Brooks/Cole, 1997.
  27.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 개인특성요인과 직무환경특성요인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33권, pp.127-155, 2016.
  28. 김윤영, 사회복지사의 개인-조직 가치적합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9. 최연선,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최고관리자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수준(multi-level)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30. 성희자, 좌문경, "아동복지시설종사자의 전문적 능력이 조직몰입을 통하여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8권, pp.47-79, 2017.
  31. 김운기, 사회복지조직의 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2. 강혜정,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조직 내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33. 신경희,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과 태도가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34. 김대삼, 김수정, "사회복지서스 질에 있어 사회복무요원과 사회복지사간 관계의 매개효과 분석: 사회복무요원의 직무요인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8권, 제3호, pp.73-100, 2012.
  35. 강현주, 조상미, "사회복지 종사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2권, 제1호, pp.301-335, 2010.
  36. 이계원, 호텔 종사원의 직무환경이 서비스품질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7. S. B. Bacharach, P. Bamberger, and S. Conley, "Work-home conflict among nurses and engineers: Mediating the impact of role stress on burnout and satisfaction at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2, No.1, pp.39-53, 1991. https://doi.org/10.1002/job.4030120104
  38. N. J. Allen and J. P. Meyer,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63, No.1, pp.1-18, 1990.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39. 심의선, 아동보호전문기관 종사자의 직장 행복이 조직몰입과 근무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0.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모형분석과 AMOS 7.0, 법문사, 2008.
  41.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6.
  42.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43. 이명현, "사회복지사의 정체성과 인권보호," 사회복지법제연구, 통권 제5호, pp.3-25,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