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단표면력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5초

기계 조인트의 전단 컨택 특성 측정 (Measurement of Shear Contact Characteristics on Mechanical Joints)

  • 이철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8호
    • /
    • pp.849-855
    • /
    • 2008
  • 다양한 조임 조건에서 기계적 조인트의 컨택 특성 파라미터를 유도하기 위하여 컨택 공진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적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계적 조인트의 전단 컨택 강성과 감쇠의 파라미터는 접촉 표면간의 표면 처리, 윤활 유무, 그리고 조임력과 전단력의 의한 영향과 같은 여러 가지 물리적 조인터 파라미터와 연계하여 고찰하였다. 제안된 실험적 방법을 사용하여 전단 컨택 강성 값은 조임력과 전단력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컨택 감쇠 비 값은 대부분 조임력과 상관없이 일정 값을 나타내지만 전단력이 커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추가로, 전단 강성 값과 컨택 감쇠 비는 매끄러운 표면에서보다 거친 표면에서 더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유체흐름에 의한 표면력 측정을 위한 탄성 표면파 센서 (SAW Sensors for Measurement of Surface Forces in Fluid Flows)

  • 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81-90
    • /
    • 1990
  • 유체 동역학에서, 난류에 의해 수중 구조물에 가해지는 압력과 전단력의 측정은 중요한 문제이 다. 이러한 유체의 흐름에 의한 압력과 전단력, 나아가 유체의 흐름방향까지 시간과 거리의 함수로 측정 할 수 있는 새로운 탄성표면파 센서가 개발되었다. 센서는 압축 인장형 전단력을 받는 두 개의 표면파 와 흐르는 유체 속의 표면파의 속도차는 또한 유체흐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한다. 정지류 속의 표면파와 흐르는 유체 속의 표면파의 속도차는 또한 유체흐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비례한다. 이 센 서를 응력 로젯과 같이 배열하면 유체의 진행방향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표면파 센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사용이 가능하므로, 적절히 설계하면 유체의 흐름에 의한 표면력과 유체의 진행방향을 동 시에 거리와 시간의 함수로서 국부적으로, 광역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 PDF

PC 합성보의 수평접합면 전단력 전달성능 평가 및 설계법 분석 (Evaluation of Design Method and Shear Transfer Capacity on the Horizontal Interface of PC Composite Beams)

  • 문정호;오영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81-9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합성보의 수평 접합면에 대한 수평전단력 저항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6개의 접합면 전단성능 실험체를 대상으로 접합면의 표면상태, 전단철근의 보강량과 상세 등의 구조변수에 대한 수평전단강도를 평가하였다. 휨압축파괴를 나타낸 SF-291B를 제외한 모든 실험체는 실험계획에서 의도한 대로 접합면의 수평전단력에 의한 전단파괴를 나타내었다. 설계기준식의 수평전단력 전달 또는 전단마찰 설계법으로 산정한 접합면 전단강도는 실험체의 수평전단 파괴를 초래한 접합면의 수평전단내력을 양호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CI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전단철근의 배근상세와 정착길이는 접합면에서 요구되는 수평전단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온도와 포화도의 변화에 의한 표면장력이 전단파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rface Tension on Shear Wave Velocities according to Changes of Temperature and Degree of Saturation)

  • 박정희;강민구;서선영;이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C호
    • /
    • pp.285-293
    • /
    • 2012
  • 표면장력에 의한 겉보기 점착력은 적절한 함수비를 가지고 있는 흙의 경우 생성되며 지반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표면장력이 전단파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표면장력의 발생 유무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래-실트 혼합토를 이용하여 포화도가 다른 아홉 가지의 시료 (0%, 2.5%, 5%, 10%, 20%, 40%, 60%, 80%, 100%)를 조성하였다. 전단파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나일론 재질의 셀을 제작하였으며 전단파 트랜스듀서인 벤더 엘리먼트를 크로스 홀 형상으로 부착하였다. 시료의 온도가 $15^{\circ}C$에서 $1^{\circ}C$까지 변화하는 동안 포화도가 다른 각 시료의 전단파 신호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포화도 0%인 시료와 포화도 100%인 시료는 온도변화에 의한 전단파 속도 변화가 미비하였으나, 표면장력이 발생하기에 적절한 포화도를 가진 시료는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전단파 속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완전 포화된 시료를 $70^{\circ}C$에서 건조시키면서 포화도에 따른 전단파 속도를 측정한 시료의 경우, $15^{\circ}C$에서 측정된 시료의 전단파 속도보다 더 낮은 전단파 속도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는 특정한 포화도에서 온도변화에 따라 전단파 속도가 변화하는 원인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미소변형구간에서의 전단탄성계수 측정과 같은 실내 및 현장실험 시, 온도를 동시에 평가해야 함을 보여준다.

반두께 P.C. 슬래브의 면내전단내력에 관한 연구 (Interface Shear Strength in Half Precast Concrete Slab)

  • 이광수;김대근;최종수;신성우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161-168
    • /
    • 1994
  • 반두께 P.C. 슬래브는 슬래브의 일부분(하부)을 프리캐스트로 제작하고 상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으로서 반두께 슬래브가 휨변형을 일으킬 때 접합면사이에서는 수평전단력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평전단력에 저항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크랫치 방법을 도입하였다. 주요 변수로서는 상부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전단철근의 유무, 콘크리트 표면거칠기, 그리고 용접철망과 전단철근의 결합유무등으로 되어있다. 모든 실험체의 접합면의 면적(A$_c$)은 3,2000$cm^2$으로 동일하다. 실험결과, 콘크리트 표면처리 깊이가 증가할수록 전단강도는 증가하였으며 전단철근이 없이 표면거칠기만에 의해 수평전단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평전단강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전단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전단계수 결정식을 도출하였다.

화학적 표면처리에 따른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 간의 전단 결합강도 (Effects of chemical surface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ure reliners and denture base resin)

  • 최에스더;권은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45-5751
    • /
    • 2013
  • 본 논문은 monomer에서 결합증진에 많은 역할을 하는 MMA와 TEGDMA의 농도별 표면 처리와 silane coupling agent로 표면 처리한 것이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간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의치상 레진에 MMA와 TEGDMA의 농도별 표면 처리와 silane coupling agent로 표면처리 후 이장재를 주입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MMA와 TEGDMA의 농도별 표면 처리에 따른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간의 전단결합강도에서는 Vertex self curing resin에서 95%, 90%, 80%, Kooliner에서는 95%, 90%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silane coupling agent 5%로 표면 처리한 그룹이 Vertex self curing resin과 Kooliner 모두에서 전단결합강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적절한 화학적 표면 처리는 의치상 레진과 이장재간의 결합력 증가에 영향을 미치리라 사료된다.

전단스피닝에서 가공깊이와 리드각이 성형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rming Depth and Lead Angle on Forming Force of Shear Spinning)

  • 염성호;남경오;박현진;홍성인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3
    • /
    • 2007
  • 각이 있는 얇은 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가공법으로는 전단 스피닝에 의한 성형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는 다른 가공방법에 비해 성형에 필요한 힘이 적게 들고 전단 스피닝에 의해 가공된 제품의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며 표면 품질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단 스피닝 기술은 산업현장에서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단 스피닝과 유동성형은 자동차, 항공, 방위산업에 자주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단 스피닝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가공깊이와 롤의 리드각이 성형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양한 가공깊이와 롤의 리드각 조건에서 축 및 반경방향의 성형력을 구하였다.

대형직접전단시험을 통한 말뚝과 지반 경계면의 전단특성 분석 (Analysis of Shear Resistance Characteristics in Pile-Soil Interface using Large-Scale Direct Shear Test)

  • 유승경;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61-6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건을 고려한 말둑의 인발저항 성능의 합리적인 평가방법 확립의 일환으로써, 지반의 세립분 함유율 및 구속압 조건에 따른 말뚝과 지반 경계면의 전단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직하중이 증가하고 모형지반의 세립분 함유율이 작을수록 전단변형에 따른 전단응력이 크게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한 수직하중과 세립분 함유율 조건에서 말뚝 모형체의 표면이 거칠수록 최대전단응력은 다소 크게 나타났다. 강도정수로써 내부 마찰각과 점착력을 산정하여 분석한 결과, 모형지반의 세립분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모형체 경계면에서의 내부마찰각은 감소하였으나 점착력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뚝 모형체 표면이 거칠수록 모형지반의 세립분 함유율에 관계 없이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은 크게 나타났다.

완전접촉 경계면 위의 박막유동 특성을 이용한 고점도 전단유동에 따른 표면응력 감소 설계 (Design of Reduced Shear Stress with High-Viscosity Flow Using Characteristics of Thin Film Flow on Solid Surfaces)

  • 박부성;김보흥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12호
    • /
    • pp.1027-1034
    • /
    • 2014
  • 회전원판 위 표면에 작용하는 유동 전단응력은 표면마모를 발생시키는 주원인이다. 유체는 원심력에 의해 가장자리까지 자유표면을 갖는 박막유동으로 전달된다. 표면마모는 받음각 또는 곡률에 따른 전단응력 정도에 비례하여 차이를 보이게 된다. 전산해석을 통한 속도분포 기울기로 받음각에 기준한 곡률의 전단응력비를 비교하였다. 곡률반경 변화에 따른 전단유동의 응력감소를 모델링하여 표면마모를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최적구간을 결정하는 것이 본 연구의 주제이며, 이 연구결과는 회전무화나 박막코팅과 같은 박막유동을 활용하는 기구의 최적설계에 적용될 수 있다.

벽면경계조건이 천수흐름 유속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l Boundary Condition on Velocity Distribution of Shallow Water Flow)

  • 서일원;송창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9-193
    • /
    • 2010
  • RMA-2, Telemac-2D, River2D 등 기존의 대부분 국내외 상용모형에서는 내부 경계인 하천구조물과 외부 경계인 측벽에서의 경계조건을 활동조건(slip condition)으로 가정하여 흐름장을 계산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벽면에서는 마찰력에 의해 흐름이 존재하지 않는 무활조건(no slip condition)이 물리적으로 타당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부구조물인 교각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수평 2차원 유속분포를 구하기 위해 천수방정식을 Galerkin법과 Newton-Raphson법에 의해 이산화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Yulistiyanto 등(1998)이 수치모의 및 수리실험에 사용한 조건을 채택하여 벽면에서의 접선방향 유속이 존재하는 활동조건과 벽면에서 유속이 없는 무활조건을 부여하고 교각을 포함한 수로에서 유속, 수위 및 전단분포를 해석하였다. 활동경계조건을 적용한 경우 교각 표면을 따라 큰 유속이 분포하고 후면에서도 관성력에 의해 흐름방향 유속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무활조건을 적용한 경우 교각 후면에서 와가 형성되고 후류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무활조건을 적용한 경우 교각 전면부에서는 선수파(bow wave)가 4 cm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교각 측면부에서는 2 cm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각 후면에서는 후류의 영향으로 수면이 2 cm 낮게 분포하였다. 교각부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분석한 결과 무활조건을 적용한 경우가 활동조건을 적용한 경우에 비해 최대 6배 높은 전단력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