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공교과목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4초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 송지영;김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3-192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직무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서 제시한 시각디자인 직무를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를 통해 시각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시각디자인 실무능력 변화와 캡스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의과학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과 담당교수, 그리고 산업체가 협업하여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 이론과 실기를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개발에 직접 적용해 보고 그 결과물을 공모전에 지원하게 된다. 수집된 학생 설문 분석, 산업체 평가, 공모전 수상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캡스톤디자인에 참여한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NC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시각디자인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기술과 실무능력이 고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캡스톤디자인 교육설계가 현장실무중심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간호대학생의 전공교과목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경험: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Flipped Learning Experience in Major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 유하나;윤연서;김옥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2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전공수업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간호학과 4학년 8명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자료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총 35개 주제어와 11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11개의 중심의미는 교육 전, 교실 안, 교육 후로 분류 하였다. 교육 전 단계는 '정보부족', '심리적 부담감', '교수법 차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학습자의 성취도 차이'가 중심의미로 도출되었다. 교실 안은 '효율적 수업방향', '자신감 향상'이, 교육 후 단계는 '수업에 긍정적 영향', '자기부담 강화', '선호하지 않음', '강의식 선호'로 각각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볼 때 간호학 전공에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좀 더 다각적이며 심층적인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초임 교사의 인식 (The No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 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72-79
    • /
    • 2010
  • 공업에 관한 전문교과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 교육을 담당하는 공업계 교사를 양성하는 공업교원양성교육은 보통교과 교원양성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대학에서 공업교육양성교육의 기억이 비교적 뚜렷하고 현직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교직 경험이 3년 이내인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공업교원양성교육은 사범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부전공 및 복수전공을 통하여 교원자격을 취득하거나, 공과대학 등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 등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은 공업계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많은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실습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과대학의 교직과정 이수에서의 좋은 수업은 소수의 교직이수자를 배려한 공학 전공 수업, 교과목에 타당한 교직과목 수업,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교육 등이 좋은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좋은 수업이란 학부 전공이 다른 학생들의 전공을 고려한 수업, 교원임용고사에 도움이 되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실습 위주의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직업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 개발 (Vocational Guidance Program Development for Course Selection to Activate Vocational Education)

  • 박성종;한명석;김갑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61-70
    • /
    • 2000
  • 경쟁 사회에서 생존을 위해 직업 교육기관은 학생들에게 능력 중심 직업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직업 분야 진로 선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진로 지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대학 1학년 학생들에게 미래의 직업 분야에 적응할 수 있도록 원활한 전공 선택과 전공 교과 학습 상담을 위한 진로 지도가 필요하다. 직업 분야 관련 과목의 조기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에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장래 직업 선택과 다양한 직업 분야의 진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진로 지도 교과목 개발과 학습 계획을 위한 learning map을 통하여 교육 수요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우고 대학 과정의 특정 직업 관련 지식의 획득과 장래 직업 준비를 위한 전공 진로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서 장래 직업 분야에서 유용한 직업인이 될 수 있도록 직업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3-282
    • /
    • 2015
  •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온라인교육은 그동안 대학 교육과정 혹은 대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형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진행된 MOOCs의 출현과 발전은 전통적인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이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Open), 무료로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해외에서는 iSchool 대학을 중심으로 주요 문헌정보학 전공교과목을 MOOCs로 개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의 MOOCs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A 대학 문헌정보학과 전공 기초 교과목에 해외의 문헌정보학 MOOCs 강좌의 일부를 활용함으로써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언어적 장벽은 있으나 MOOCs 수업 콘텐츠에 대한 흥미, 유용성 및 향후 다른 MOOCS 수강 의지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MOOCs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교육적 가치 및 운영방식 확립,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MOOCs 설계방안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Major Courses Operation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 권선영;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9-149
    • /
    • 2016
  •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실습교육 및 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분석연구 (Survey of Music Therapy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Practicum Training and Supervision)

  • 박혜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8권1호
    • /
    • pp.61-81
    • /
    • 2011
  • 본 연구는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의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학생들의 필요와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의견을 알아보고자 4개 대학원의 음악치료학과 학생들 중 실습경험이 있는 2학기 이상 5학기 이하의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에서 각각의 평균이 모두 3.5를 넘었다. 대상자들은 교과목 및 교과과정 만족도(3.78)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슈퍼비전 만족도(3.75), 임상실습 만족도 (3.65) 순의 만족도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학부전공이 비음악인 대상이 음악 전공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실습단계가 낮은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은 반면 실습단계가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턴쉽 과정에서는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비전 만족도와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한 결과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 및 교과과정 내용 중에서는 음악치료 요소가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교, 실습기관 학생 상호간의 효과적이고 만족스런 실습교육과 훈련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실습 학생들이 실습과정에서 어떤 자질과 특성을 계발하고 부각시켜야 할지에 대한 중요한 지도 방향과 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주는 의미 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of Linked-Cour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 장은주;조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64-5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의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를 수강한 S대학교 예비유아교사들이 경험한 수업 탐색과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 29명은 2017-1학기 영유아교수법 과목에서 모의수업을 시연하였고 유아교과교재 및 연구법과목에서는 수업시연을 위한 교과교재 제작을 하였으며, 연구자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스터디 그룹별 학습과정 저널과 개인 수업 포트폴리오, 포커스-그룹 면담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균형 잡힌 두 교과목의 연계로 효율적인 수업 집중이 가능함을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의 교육적 효과로 시행착오를 통한 교구 제작과 수업 준비로 연계지식을 구성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유아교육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의 중요성을 예비유아교사 교육과정 중에 인식한 것이다. 넷째, 전공교과 연계형 강의 경험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깨달음은 연계한 그룹 조원들과의 상호 유대감 증진의 소중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과정에서 전공교과 연계형 수업 경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시사한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플립러닝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ipped Learning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김윤정;조의영;전은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159-163
    • /
    • 2017
  •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로써, 각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두어 본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그 진술을 분석하고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플립러닝 수업 경험의 의미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주제와 3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을 확산하기 위한 질적 및 양적 연구를 확대해야 함을 제언한다.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ngineering Education)

  • 김희정;김성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1621-1627
    • /
    • 2011
  • 공학교육인증기준 KEC2005에서는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와 학습성과를 달성하도록 전공은 물론 수학, 기초과학, 전산학, 전문교양과 관련된 충분한 교과목이 제공되는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전공 교과목 이수 뿐 아니라 전문교양 교과과정에 대한 성취도 중요시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공학기본소양교육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현재 공학교육인증제를 실시하고 있는 여러 대학들의 인증 프로그램 교과과정 중 전문교양 교과과정 구성의 실태분석을 통한 전문교양 교과영역의 전형적인 모형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