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료 이방성

Search Result 48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Shear band Formation in an Elasto-Plastic Orthotropic Material Under Plane Stress Deformation (평면 응력상태에서 이등방성탄-소성 재료의 전단띠 형성)

  • 임세영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7 no.2
    • /
    • pp.128-138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전단띠형성에 있어서 전단변형의 집중화 현상을 이방성 탄소성 재료 에 대해서 해석하였고 소성스핀과 비등방성이 전단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평 면응력 상태에서 소성스핀을 갖고있는 이방성 탄-소성 재료에 대해서 재료 분랑ㄴ정 해서 을 수행하여 변형률 집중화의 시작에 미치는 소성스핀과 비등방성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해 석 결과 이방성 재료에서의 전단띠 형성은 압축 또는 인장의 하중 형태나 이방성 축의 초기 각도 그리고 소성스핀의크기에 따라 그 시작이 촉진되거나 지연되었고 전단띠 생성의 방향 도 달라졌다.

  • PDF

Inelastic Analysis of Anisotropic Materials Using the Viscoplastic Model (점소성모델을 이용한 이방성 재료의 비탄성 해석)

  • 신찬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5
    • /
    • pp.1657-166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재료의 이방성을 고려한 점소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공학적 인 견지에서 볼 때 이방성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표한하기 위해서는 단순화 이론(si- mplified theory)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따라 Betten은 등방성 소성 포텐셜 (isotropic plastic potential)에서 응력텐서를 재료의 이방성을 포함하는 변환 응력 텐서(mapped stress tensor)로 대체함으로써 이방성을 고려하였다. 그러므로 실제 이방성 재료의 비탄성 거동은 가상의 등방성 상태로 치환되며 여기에 소성 포텐셜 이 론을 적용하게 된다.

직교이방성 판 내에서의 균열전파 해석

  • 김만원;박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51-256
    • /
    • 2000
  • 이방성 재료에서 균열의 성장을 예측하는 것은 실제 구조물의 안전성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한 중요한 문제이다. 이방성 재료 내에서의 균열의 거동은 등방성 재료의 경우와는 다르기 때문에 이방성 재료 내의 균열 해석 문제가 중요한 관심을 끌게 되었다. 비등방성 재료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직선균열의 해석, 직선균열의 초기 전파 각도에 대한 해석에 대하여 이루어져 왔고 곡선 균열에 대한 연구[1-4]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중략)

  • PDF

Analysis of Bending characteristics of Autoclave Forming CFRP Structural Members

  • Kim, Jung-Ho;Kim, Ji-Hoon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28 no.4
    • /
    • pp.175-178
    • /
    • 2008
  • 우주선, 항공기, 수송차량 등은 기능은 집적 다양화 그리고 성능의 고도와 됨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을 위해 구조부재의 경량화가 중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경량화 구조부재 재료 중에는 알루미늄 합금, 세라믹, 복합재료 등이 개발되어 우주선, 항공기, 수송차량 구조부재에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 20세기 초 알루미늄합금이 초 경량화 구조부재로서 많이 이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화 재료 중 이방성을 가지는 복합재료를 구조부재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구조부재에 적용되기 위한 이방성 복합 재료는 강한 충격 이후 취성의 특징 때문에 하중과 흡수에너지가 급속히 감소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방성 복합재료의 각 층간을 완전히 접합하여 성질이 매우 우수한 부재를 제작할 수 있는 Autoclave 성형법으로 제작하였다. 이방성 복합재료 중 CFRP를 설계 메커니즘 변수에 따라 Autoclave 성형을 하고 하중과 흡수에너지가 높음 평가하기 위해 굽힘실험을 하였다.

A Study on Determination of Stress Intensity Factors for the Interface Crack in Dissimilar AnisotropicMaterials (이방성 이종재료의 접합계면 균열에 대한 응력확대계수 결정에 대한 연구)

  • 이갑래;조상봉;최용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887-897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에서, Fig. 1(f)와 같이 가장 일반적인 이방성 재료가 접합된 경우의 응력확대계수를 명확히 정의하고, 수치해석법으로 구할 수 있는 외삽식을 제안한다. 또한, 탄성문제의 수치해석 방법으로 적은 요소의 분할로써 고 정밀도의 수치해석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경계요소법(boundary element method:BEM), 특히 저자들이 개발한 복합재료에 대한 2차원 경계요소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방성 이종재료 접합계면 균열의 응력확대계수를 해석하고, 복합재료내의 섬유방향에 대한 접합계면 균열의 정성적 거동을 고찰하고자 한다.

Simulation of Elastic Wave Propagation in Anisotropic Materials (이방성 재료에서의 탄성파 전파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 Kim, Young-H.;Lee, Seung-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17 no.4
    • /
    • pp.227-236
    • /
    • 1997
  • Quantitative analysis and imaging of elastic wave propagation are very important for the materials evaluation as well as flaw detection. The elastic wave propagation in an anisotropic media is more complex, and analysis and imaging become essential for flaw detection and materials evaluation. In the anisotropic media, the wave velocity is dependent on the propagation direction.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group velocity is different from that of phase velocity, the direction of energy flow is not same as the propagation direction of wavefront (beam skewing effect). Especially, this effect becomes critical for the large anisotropic media such as fiber composite materials, and the results using elastic waves for those materials have to be analyzed considering the wave propagation mechanism. Since the analytical approach for the wave propagation in the anisotropic materials is limited, the numerical analysis such as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have been used for these case. Therefore, 2-dimensional FDM program for the elastic wave propagation is developed, and wave propagation in anisotropic media are simulated.

  • PDF

Application of Method of Caustics to Cracks in Pseudo-Isotropic Materials( I ) (의사등방성재료내 균열에 대한 코스틱스방법의 적용(I))

  • 백명철;조상봉;최선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5 no.3
    • /
    • pp.944-953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이방성재료에 대한 코스틱방법의 적용을 검토하는 일 환으로서, 직교이방성재료중 특성방정식의 근이 동일함으로 인하여 균열의 응력장이 특이성을 갖게 되고, 따라서 지금까지는 코스틱법의 적용이 어려웠던 재료(의사등방성 재료)에 대하여, 코스틱상 및 초기곡선의 식을 이론적으로 구하였고, 이 식을 예상되 는 여러가지 경계조건 하에서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으로 가시화하여, 시편 제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실험이 곤란한 의사등방성재료의 코스틱상을 예시하였으며, 또 이들 재료에 대한 응력확대계수 산출법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 산출법이 등방성 재 료 및 일반적 직교이방성재료에도 사용가능함을 밝혀 다음 제2부에서 실험을 통하여 검증되도록 하였다.

Scattering of Surface Waves in Anisotropic Media for Applications in Wave Barriers and Non-Destructive Evaluation (방진구조물 및 비파괴 응력파 탐상의 응용을 위한 비등방성 재료의 표면파 산란에 관한 연구)

  • 이종세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2 no.2
    • /
    • pp.77-85
    • /
    • 1998
  • Propagation of elastic surface waves in anisotropic media is considered in this study. An analytical technique is proposed to study the scattering of surface waves at the interface between two anisotropic quarter-spaces. The Green's function technique is used to derive a system of equations which can determine the scattering coefficients at the interface. A numerical study is carried out and the trade-offs between the material anisotropy and inhomogeneity are studied.

  • PDF

Vibration and Damping Characteristic of Composite Laminates Embedding Directional Damping Materials (방향성 있는 감쇠재료가 삽입된 복합적층판의 진동 및 감쇠특성)

  • 김성준
    • Composites Research
    • /
    • v.16 no.5
    • /
    • pp.39-44
    • /
    • 2003
  • Embedding viscoelastic-damping materials into composites can greatly increase the damping properties of composite structures. Usually viscoelastic-damping materials behave isotropically so that their damping properties are the same in all directions. In these days, there is a desire to develop viscoelastic-damping materials that behave orthotropically so that damping properties vary with material orientation. These orthotropic damping materials can be made by embedding rows of thin wires within the viscoelastic materials. These wires add significant directional stiffness to the damping materials. where the stiffness variation with wire orientation follows classical lamination theory. In this paper, the loss factor of composite laminate was evaluated based on Ni and Adams' theo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rectional damping material, the low-velociy impact response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he prese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directional damping material has a great influence on vibration and damping characteristic of composite lami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