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관리 역량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nalyzing the Capability of University Emergency Management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분석)

  • Park, Se-Ryeun;Yoon, Hong-Sik;Lee,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3-3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증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이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학교는 다량의 화학물질 보유, 출입통제 제한적, 인적 물적 인프라 집중 등의 이유로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확률이 높으며 동시에 발생 시 피해규모도 클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대학교 재난안전관리에 대하여 대학실험실안전관리에만 치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 역량수준을 진단하여 전반적인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수준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현황분석을 통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업무목록을 바탕으로 국내외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를 적용하여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지표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관리 자체 역량분석 프로그램 개발)

  • Yoo, Byungtae;Oh, Keumh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266-275
    • /
    • 2013
  • New paradigm to the adva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is required for building resilient and safe society. In these circumstances, the importance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has been emphasized through experiencing a series of accidents including 2012 september Gumi fluorosilicic acid diffusion accident. The increase of people's disaster awareness has emerged the public demands on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of local area. In this study, th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for self-assessment of local government. The program is designed for disaster managers to database the categorized index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and recognize the capacity level. For the public announcement of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for citizens in the understandable format. It is expected that the enhancement of emergency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society can be achieved by the efforts of local government analyzing and improving the vulnerability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of local society.

A Study on the Internalization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Capabilities of Disaster Management Manager of Generation Public Enterprise (발전공기업 재난관리담당자의 사업연속성관리 역량 내재화 방안연구)

  • Paek, Chun-moon;Cheo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69-17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발전공기업 재난관리담당자의 사업연속성관리 역량 내재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발전공기업은 2001년 전력산업구조개편특별법에 따라 한국전력공사에서 6개 회사로 분사되었다. 국가핵심기반시설인 발전공기업은 핵심업무 중단으로 인한 국민생활과 산업시설 기능 정지를 예방하기 위해 2014년 이후 사업연속성관리체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ISO 22301 및 재해경감 우수기업 인증을 취득하였다. 그러나 사회적인 이슈와 국가정책 등으로 발전공기업의 강도 높은 재난관리가 요구되고 있어, 재난으로 인한 핵심업무 중단 발생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관리를 통한 사업연속성 확보를 위해 재난관리당당자의 역량 내재화가 필요하며, 내재화의 구체적인 추진방안은 사업연속성관리요소 업무반영, 사업연속성관리를 반영한 리더 육성 및 인사제도와 연계 등이다.

  • PDF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for Strengthening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Public Institutions (지방공공기관의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Lee, Jin-W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7-268
    • /
    • 2022
  • 최근 재난은 대형화, 복합적, 다양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해 정부 중심 거버넌스 재난관리에 대한 변화가 불가피하다. 현장 중심의 재난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지방공공기관의 재난관리에 대한 역량을 배양하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공공기관의 재난관리에 대한 역할의 재정립, 재난·안전관리에 대한 평가지표의 개선, 기능연속성계획 수립을 위한 정부의 지원책 마련 등 현행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특히 사회통합적 재난관리로 전환하여 재난 현장의 최일선에서 효과적인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하여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의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실제적 법제도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Fire Officer's Consciousness (정부의 지진재난 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Youn, SeokMi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2
    • /
    • pp.318-330
    • /
    • 2020
  • Purpo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were verified. Metho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or the fire officials, and the survey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y i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i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earthquake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as well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ation, which is a factor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 The important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could be obtained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s in Korea.

The Role of Workers' Awarenes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and Disaster Management Capabilities of Companies and Governments for Infectious Disease Disaster Management: Focused on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감염병 재난관리에서 근로자의 재난안전관리 인식이 지방정부와 기업의 재난관리 역량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자동차 제조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 Han Hwangbo;Chang Yull Lee;Ha Kyoung Kim;Byoung Gwon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9 no.3
    • /
    • pp.451-470
    • /
    • 2023
  • Purpose: Since COVID-19 was first discovered in China in December 2019, it has rapidly spread around the world, causing serious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not only in individuals' lives, but also in businesses and countries. Individuals, businesses, and governments have all made various effort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Although the roles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are important to respond to and manage infectious diseases, previous studies have only partially studied the rol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oles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to achieve results in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disaster management A comprehensive study was conducted on this issue, and it wa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workers' perceptions of infectious disease disaster management and government and corporate capabil]ities on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workers in the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in Ulsan, Gyeongju, and Yangsan,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 It was found that worker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government and corporate capabilities as well as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In addition, government capacity and corporate capacity had a positive effect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veal that not only workers' perceptions but also the capabilities of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are important to achieve disaster response performance. In addition, workers should make good use of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particip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and make the most social efforts that workers can make.

A Study on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Exploring Alternatives (재난관리의 성과에 대한 이해와 대안 탐색 연구)

  • Eom, Young-Ho;Jeong, Seu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33-434
    • /
    • 2022
  • 본 논문은 재난관리의 성과에 대한 근원적 의문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하였다. 재난관리의 성과는 재난에 대한 정부의 관리적 측면, 즉 행정관리 역량이나 산출지표 등으로 평가되어 왔다. 재난은 일상의 삶에 대한 도전이자 생존의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재난에 대한 정부의 책임 요구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정부 역시 재난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적 노력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 왔다. 그렇다면 재난에 대한 책임을 모두 정부에 물을 수 있는 것일까? 여기에 대하여 상황을 고려해야 하며, 반드시 정부가 책임이라고 답하기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할 것이다. 즉, 재난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노력과 함께 개인적 차원의 관심과 노력 역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성과가 정부 조직의 책임역량이 증진되는 것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도 증진 역시 그 성과로 이해할 수 있을지를 검토하고 실증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기존 연구들에서 재난관리의 주요한 독립변수로 활용되던 재난경험, 재난위험, 조직특성 등을 주요한 독립변수로 사용하고자 하며, 종속변수는 재난조직의 책임역량과 재난현장에의 시민들의 자원봉사 참여도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즉, 기존의 재난관리 성과와 대안적 성과로서 시민참여도 증진을 실증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재난성과는 조직의 내부적 책임역량의 증진과 함께 외부적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시민 참여는 재난관리의 성과로서 정부의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 시민들의 참여는 지역에 대한 재난의 위험 인식이 높을수록 그 참여도가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재난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 및 환경에 대한 위험도 증진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saster Management by Public Officials (공무원의 재난관리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 Seung-bong Kim;Yongtai Ch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4
    • /
    • pp.101-108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work of public officials working in disaster-related departments in 22 cities and counties in Jeollanam-do. Men were foun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individual competencie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nd women were foun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f disaster education than men. It was found that men and women had the same positive perception of departmental competency. Respondents to individual competency, organizational environment, departmental competency, and disaster educa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generally had positive perceptions.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 Business on its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기업의 재난 및 안전관리체계 특징이 재난 및 안전관리 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재난 및 안전관리 능력과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oi, Wan-Gyu;Kim, Sang-Gil;Rhim, Jong-Ku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6
    • /
    • pp.215-22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officers and managers handling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and performance among disaster and safety work-level officers in medium-sized companies in South Korea.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509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officers of various companies and analyzed the resultant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competence. Third,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competence of the safety office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fety officers handling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of businesses and their performance, the competence of the safety officers had a mediating effect.

A study on the disaster utilizing scenario-based disaster response capacity Strengthening research DB variable factors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요인 변수DB를 활용한 재난대응역량 강화방안 연구)

  • Han, Ji-Ah;Min, Geum-Young;Jeong, Duk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262-1264
    • /
    • 2015
  • 최근 국내 재난발생의 빈도가 잦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재난대응 담당자들의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난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에 대한 체계 정립이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 재난발생사례 및 추이 분석을 통한 대규모 국가재난으로 전개 가능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시나리오 전개에 따른 현대비수준과의 갭을 분석하여 재난관리책임기관의 대응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재난 유형 중 최근 위험성이 커지고 있는 "화학유해물질 유출사고"에 관한 재난 상황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시나리오의 재난요인 변수 데이터가 재난책임 담당자의 대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재난요인 변수 DB를 활용하여 재난대응역량 강화에 대한 방안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