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유보

Search Result 93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Longitudinal change of mean flow and turbulence statistics for submerged hydraulic jump (수중도수에서 평균흐름과 난류량의 종방향 변화)

  • Choi, Seongwook;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65-65
    • /
    • 2021
  • 보를 월류하는 흐름에 대하여 하류 수심이 보의 높이보다 낮고, 보 월류 후 수심의 공액수심보다 작거나 크고 같은 경우를 각각 자유도수와 수중도수라고 한다. 수중도수가 발생하는 경우 하류 수심이 보의 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하강류를 덮게 되며 유속을 감쇄시키기 때문에 최대 유속은 자유도수에 비해 매우 작게 발생한다. 그러나 수중도수는 자유도수에 비해 에너지 감쇄 효율이 낮기 때문에 도수구간의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인명피해를 발생시키는 도수구간 재순환영역의 길이를 검토하는 것이나 보 하류 바닥보호공 길이 설계를 위해 수중도수에서의 흐름에 대하여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k-ω SST 난류모형을 이용하여 보 월류 후 발생하는 수중도수를 수치모의하고 평균흐름과 난류량의 종방향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존 실험수로에 k-ω SST 난류모형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다양한 하류 수심을 설정하여 평균흐름과 난류량에 대한 침수도의 영향 및 자유도수 계산결과와 벽면 제트 결과를 함께 비교하였다. 검토 결과 수중도수는 평균흐름과 난류량의 변화율이 자유도수보다 작고 벽면 제트보다는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침수도가 증가되면서 평균흐름과 난류량의 변화율이 작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침수도의 변화에 따른 역압력경사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ree Vibration Analysis of horizontally Curved Beams considering Warping and Rotatory Inertia (?과 회전관성을 고려한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 해석)

  • 이병구;박광규;오상진;진태기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1
    • /
    • pp.35-42
    • /
    • 2001
  • 본 연구는 변화곡률 수평 곡선보의 면외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뒴과 회전관성을 고려한 변화곡률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상미분방정식이 유도되었고, 이 지배미분방정식을 수치해석하여 곡선보의 고유진동수를 산출하였다. 지배미분방정식을 수치적분하기 위하여 Runge-Kutta method를 이용하였고, 고유진동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Regula-Falsi method와 결합한 행렬값 탐사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타문헌의 고유진동수와 비교하였고, 실험실 규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이론값과 실험값의 고유진동수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로 무차원 재변수들의 변화에 따른 무차원 고유진동수를 제 3모드까지 산출하였고, 그 결과들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곡선형 교량 등과 같이 곡선부재로 이루어진 구조물의 설계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ree Vibrations of Circular Curved Beams Resting on Two-Parameter Elastic Foundation (두 개의 매개변수로 표현되는 탄성지반위에 놓인 원호형 곡선보의 자유진동)

  • 이병구;박광규;오상진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4
    • /
    • pp.661-669
    • /
    • 1999
  • 이 논문은 탄성지반위에 놓인 원호형 곡선보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회전관성 및 전단변형을 고려하여 두 개의 매개변수로 표현되는 탄성지반위에 놓인 원호형 곡선보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수치적분기법과 시행착오적 행렬값탐사법이 결합된 수치해석기법으로 해석하였다. 회전-회전, 회전-고정 및 고정-고정의 단부조건을 갖는 곡선보의 최저차모드 3개의 고유진동수를 산출하였다. 곡선보의 수평높이 지간길이비, Winkler 지반계수, 전단지반계수에 따른 고유진동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회전관성 및 전단변형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

Free Vibrations of Tapered Beams with Static Deflection due to Dead Load (사하중에 의한 정적 처짐을 갖는 변단면 보의 자유진동)

  • Lee, Byoung-Koo;Oh, Sang-Jin;Lee, Yong;Lee, Tae-Eun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4 no.1
    • /
    • pp.87-93
    • /
    • 2001
  • 이 논문은 사하중에 의한 정적 처짐을 갖는 변단면 보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사하중이 작용하는 변단면 보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상미분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수치해석하여 최 저차 3개 모드의 고유진동수 및 진동형을 산출하였다. 수치해석 예제에서는 선형 변단면과 등분포 사하중을 채택하였다. 지점조건으로는 회전-회전, 회전-고정, 고정-고정 보를 채택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로 하중강도, 세장비 및 단면비가 고유진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하중의 영향을 고려한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진동형을 서로 비교하였다.

  • PDF

A New Higher-Order Hybrid-Mixed Element for Curved Beam Vibrations (곡선보의 자유진동해석을 위한 고차 혼합요소)

  • Kim Jin-Gon;Park Yong-Kuk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9 no.2 s.72
    • /
    • pp.151-160
    • /
    • 2006
  •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efficient 2-noded hybrid-mixed element for curved beam vibrationshaving a uniform and non-uniform cross section. The present element considering transverse shear strain is based on Hellinger-Reissner variational principle and introduces additional nodeless degrees for displacement field interpolation in order to enhance the numerical performance. The stress parameters are eliminated by the stationary condition and then the nodeless degrees are condensed out by the Guyan reduction.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of the present field-consistent higher-order element, we carefully examine the effects of field consistency and the role of higher-order interpolation functions on the hybrid-mixed formulation. Several benchmark tests confirm e superior behavior of the present hybrid-mixed element for curved beam vibrations.

Free Vibrations of Timoshenko Beam with Elastomeric Bearings at Two Far Ends (양단이 탄성받침으로 지지된 Timoshenko 보의 자유진동)

  • Lee, Byoung Koo;Lee, Tae Eun;Park, Chang 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3A
    • /
    • pp.181-187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free vibrations of the Timoshenko beam supported by two elastomeric bearings at two far ends. Th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governing free vibrations of such beam is derived, in which both effects of rotatory inertia and shear deformation are included as the Timoshenko beam theory. Also, boundary conditions of the free end are derived based on the Timoshenko beam theory. The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 is solved by the numerical methods for calculating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Both effects of the rotatory inertia and shear deformation on natural frequencies are extensively discussed. Also, relationships between natural frequencies and slenderness ratio, foundation modulus and bearing length are presented. Typical mode shapes of bending moment and shear force as well as deflection are given in figures which show the positions of maximum amplitudes and nodal points.

Analytical and Numerical Study on Saptially Coupled Free Vibration of Nonsymmetric Thin-Walled Curved Girders (비대칭 단면을 갖는 박벽곡선보의 자유진동에 관한 수치적 및 해석적 연구)

  • Kim, Nam Il;Kim, Moon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4 no.3
    • /
    • pp.423-432
    • /
    • 2002
  • This study presented analytical and numerical solutions for spatial free vibration of nonsymmetric thin-walled circular curved beams. The closed-form solutions were obtained for in-plane free vibration analylsis of monosymmetric curved beams. Likewise, two types of thin-walled curved beam elements were developed using the third and the fifth order Hermitian polynomials. In order to illustrate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the present method, this study presented analytical and numerical solution and compared these with the results using the ABAQUS's shell elements. In particular, effects of the thickness-curvature as well as the inextensional condition were investigated on the free vibration of curved beams with nonsymmetric sections.

Out of Plane Free Vibrations of Circular Curved Beams (원호형 곡선보의 면외 자유진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이병구;오상진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9 no.1
    • /
    • pp.133-139
    • /
    • 1996
  • In this paper, an approximate method is developed to obtain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out of plane vibration of circular curved beams. The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are derived using the dynamic equilibrium equations with the Timoshenko theory, and solved numerically. The Runge-Kutta method and Regula-Falsi method are used to integrate the differential equations and to determine the natural frequencies, respectively. In numerical examples, the hinged-hinged and clamped-clamped end constraints are considered. For each case, the four lowest natural frequencies are reported as functions of four non-dimensional system parameters.

  • PDF

Application of Perturbation Method to the Dynamic Analysis of Free-free Beam (자유-자유보의 동적해석에 대한 섭동법의 적용)

  • Kwak, Moon-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5 no.1 s.94
    • /
    • pp.46-52
    • /
    • 2005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application of perturbation method to the dynamic analysis of free-free beam. In general, the rigid-body motions and elastic vibrations are analyzed separately. However, the rigid-body motions cause vibrations and elastic vibrations also affect rigid-body motions in turn, which indicates that the rigid-body motions and elastic vibrations are coupled in nature. The resulting equations of motion are hybrid and nonlinear. We can discretize the equations of motion by means of admissible functions but still we have to cope with nonlinear equ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perturbation method to the coupled equations of motion. The resulting equations consist of zero-order equations of motion which depict the rigid-body motions and first-order equations of motion which depict the perturbed rigid-body motions and elastic vibrations. Numerical results show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method.

Free Vibrations of Horizontally Curved Beams with Variable Cross Section (변다면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

  • 이병구;박광규;모정만;이재만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3
    • /
    • pp.155-164
    • /
    • 1998
  • 이 논문은 변단면을 고려한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에 관한 연구이다. 진동시 곡선보 요소에 작용하는 합응력과 관성력의 동적평형방정식을 이용하여 변단면 원호형 수평 곡선보의 자유진동을 지배하는 상미분방정식을 유도하였다. 이 미분방정식을 원형 단면을 갖는 선형변변단면에 적용하여 고유진동수, 진동형 및 합응력을 산출하였다. 수치 해석예에서는 양단고정 및 양단회전 곡선보를 채택하였으며, 수치해석 결과로서 고유진동수와 단면비, 세장비 및 중심각 사이의 관계를 그림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실 규모의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