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 이미지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1초

이미지 필터 조정 및 특징을 나타내는 웹 사이트 개발 (Development Web Application for Image Filters and Features Information)

  • 조규철;한용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405-40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그림'이라는 주제를 통해 자기 작품을 그림에 관심이 많은 사람과 자유롭게 소통하고 작품성을 높이기 위해 이미지 필터 조정 및 특징을 표현하는 웹사이트를 제작하였다. '그림'을 통해 대중들에게 자기 작품을 보여 줄 수 있는 활동은 '전시회' 이외에는 없기 때문에 이 웹사이트에 게시판 기능을 통해 자기 작품을 더 쉽게 공개함과 동시에 google cloud vision api를 활용해 자기 작품에 특징을 그래프로 시각적인 효과를 이용해 추출하고 필터를 변경하여 좀 더 작품에 대한 완성도를 더해주며, 본 웹사이트를 통해 그림에 대한 문화 활동이 다른 문화 활동에 비해 좀 더 앞서갈 것이라고 기대한다.

  • PDF

교육실습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 강훈식;김은경;최숙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1-274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국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1개 교육대학 3학년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DASTT-C를 실시했다. 또한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도 실시했으며, 이 학생들 중 일부 학생들이 실습 기간 동안 실시했던 수업도 관찰했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는 교육실습 전에는 '학생 중심' 이미지에 근접했으나, 실습 후에는 '교사 중심' 이미지에 근접하게 변했다. 그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학생들은 교육실습 전에는 초 중등 교육과정이나 교육대학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을 제시했다. 그러나 실습 후에는 실습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을 제시했으며, 이는 크게 3가지 유형, 즉 실제 수업 경험의 영향, 동료 예비교사의 영향, 지도교사의 영향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이미지 인식과 지자기센서 기반 실내 위치 측위 시스템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Image Recognition and Geomagnetic Sensors)

  • 이세훈;성기태;김익중;고희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87-8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비스 중인 지자기를 이용한 위치인식 서비스를 더울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이용하기 위해, 스마트폰 카메라 기능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 서비스 기술을 융합하여 상호 보완적이고 완성적인 실내 위치인식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폰 카메라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인프라 구축 없이 데이터 분석만으로 실내 측위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한다.

  • PDF

크기 및 회전 불변 영역 특징을 이용한 이미지 유사성 검색 (Image Similarity Retrieval using an Scale and Rotation Invariant Region Feature)

  • 유승훈;김현수;이석룡;임명관;김덕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6호
    • /
    • pp.446-454
    • /
    • 2009
  • 다양한 영역 검출 및 형태 특징 추출 방법 중에서 MSER과 SIFT를 응용한 방법들이 컴퓨터비전 분야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SIFT를 이용한 특징 추출 방법은 자기 변화에 민감한 특성을 지니며, MSER 방법은 이미지의 크기 변화에 민감하고, 이미지 유사성 검색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일 피라미드, MSER 그리고 어파인(affine) 정규화 과정 등을 이용한 영역 특징 서술자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어파인 정규화 방법과 스케일 피라미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미지의 크기, 회전 및 자기 변화에 불변하다. 다양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실험하고,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이 SIFT, PCA-SIFT, CE-SIFT 그리고 SURF 방법에 비해서 각각 20%, 38%, 11%, 24% 이상 좋은 이미지 검색 성능을 보이고 있다.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 강훈식;김명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64-470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의 특징을 조사했다.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지역의 초등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는 4개의 과학 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에서 모두 '학생 중심'보다는 '교사중심'인 경향이 강했다. 이는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수관이 구성주의보다는 전통주의적인 경향이 강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구성주의에 기초한 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위한 자기 감독 딥해싱 모델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elf-supervised Deephashing Models for Efficient Image Retrieval System)

  • 김수인;전영진;이상범;김원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12호
    • /
    • pp.519-524
    • /
    • 2023
  • 해싱 기반 이미지 검색에서는 조작된 이미지의 해시코드가 원본 이미지와 달라 동일한 이미지 검색이 어렵다. 본 논문은 이미지의 질감, 모양, 색상 등 특징 정보로부터 지각적 해시코드를 생성하는 자기 감독 기반 딥해싱 모델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비교 모델은 오토인코더 기반 변분 추론 모델들이며, 인코더는 완전 연결 계층, 합성곱 신경망과 트랜스포머 모듈 등으로 설계된다. 제안된 모델은 기하학적 패턴을 추출하고 이미지 내 위치 관계를 활용하는 SimAM 모듈을 포함하는 변형 추론 모델이다. SimAM은 뉴런과 주변 뉴런의 활성화 값을 이용한 에너지 함수를 통해 객체 또는 로컬 영역이 강조된 잠재 벡터를 학습할 수 있다. 제안 방법은 표현 학습 모델로 고차원 입력 이미지의 저차원 잠재 벡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잠재 벡터는 구분 가능한 해시코드로 이진화 된다. CIFAR-10, ImageNet, NUS-WIDE 등 공개 데이터셋의 실험 결과로부터 제안 모델은 비교 모델보다 우수하며, 지도학습 기반 딥해싱 모델과 동등한 성능이 분석되었다.

자기이미지와 자기평가의 구성요인과 소비가치 (Consumption values and components of self-image and self-evaluation)

  • 오현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67-78
    • /
    • 2006
  • Self-concept is a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 including self-image and self-evaluation. Self-image is the descriptive side of self-concept and is composed of the real self-image and the ideal self-image. Self-evaluation is the appraisable side self-concept and is composed of the internal self-concept, external self-concept and total score of self-concep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of self-image and self-evaluation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image and self-evaluation on consumption valu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37 college women residing in Gwangju using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real/ideal self-image, self-evaluation and consumption value.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10.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real self-image and ideal self-imag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ternal self-concept, external self-concept and total score of self-concept. It was ensured that self-image and self-evaluation are one side of the multidimensional self-concept. 2. The real/ideal self-image and internal/external self-evalu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ption value. The real self-image and external self-evaluation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explaining the consumption value.

온라인 광고소구 유형과 자기 검색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The Interaction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Types and Self-Monitoring)

  • 한상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07-211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유형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의 효과에 조절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 검색도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1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times}2$ 요인설계로 실험이 실시되었다.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은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면에, 자기 검색도가 높은 집단은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텔레비전과 신문과 같은 전통광고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광고에서도 가설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소셜 미디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연령의 이미지가 미래 자기 연결성 및 지연 보상 선택에 미치는 영향: 20대 여성을 중심으로 (How Age Diverse Images on Social Media Influence Self-continuity and Impatience in Intertemporal Preference: Focusing on Women in 20s)

  • 임지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2호
    • /
    • pp.191-216
    • /
    • 2021
  • 자신의 미래 시간을 느끼는 정도는 그 사람의 다양한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를 대비하는 행동인 저축, 혹은 미래에 상관없이 지금 감정에 맞춰 행동하는 충동구매 등 다양한 소비행동이 미래 시간 인식과 맞닿아 있다. 본 연구는 미래 자기 연결성에 초점을 맞춰 현재와 미래의 자기가 이어져 있다고 느끼는 정도가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이미지를 통해 얼마나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했다. 그리고 이 변화를 통해 실제 지연 보상 선택 경향성, 즉 미래의 큰 보상을 위해 현재의 쾌락적 선택을 포기하는 정도가 얼마나 늘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이 관계가 노년에 대한 긍정적 지각과 성향적 낙관성에 따라 변화할 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나이의 사람들을 SNS를 통해 보여주는 것은 실제 참여자(20대)의 미래 자기 연결성과 소비 선택에서의 인내심을 증가시켰다. 또한 이 관계는 나이 듦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 변화하였다.

남자 중.고등학생의 자기이미지와 의복추구이미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f-Image and Clothing Preference Image of Male Adolescents)

  • 문미아;박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48-759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classify wearing situation of male adolescents and 2) to classify self-image and CPI(Clothing Preference Image) of male adolescents and 3) to segment consumer group by self-imag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in self-image and CPI by situation among groups. For the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male adolescents who were residents in Seoul and Taejeon. The statistics used for the data analysis were factor analysis, multiple dimensional scale, mean, percentage, peason-correlation,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Duncan-test by the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elf-image of male adolecents is categorized by seven factors; sophisticate and fashion conscious, active, practical and realistic, flank and pure, young-looking, feminine, and slender. Based on seven factors, the consumer group is categorized to five groups; practical and realistic Group1, young-looking and feminine Group2, characterless Group3, active Group4, sophisticate and flank Group5. 2) Wearing situation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downtown, in urban, at festival. In downtown, CPI are divided into six elements; ornamental, simplex, sexy, feminine, neat, young, and sophisticate. In urban, CPI are divided into five elements; ornamental, simple, sexy, feminine, young-looking, and sophisticate. At festival, CPI are divided into four elements; unique, simple, feminine, and formal. To conclude, the male adolescent consumers are categorized by self-image, and the different CPIs are sought by different wearing situ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