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10.30.2.261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Kang, Hun-Sik (Chu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Kim, Eun-Kyoung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i, Sook-Ye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Noh, Tae-Hee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30, no.2, 2010 , pp. 261-2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eaching practices upo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Twenty-six juniors were selected from the departments of science education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es. Five juniors were also interviewed in depth, and some of their science classes during teaching practices were observ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ormations of their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ir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changed from near 'studentcentered' to near 'teacher-centered'. Many juniors responded that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s of their images of science teaching before teaching practices were teaching-learn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or universities. After teaching practices, however, many juniors responded teaching-learning experiences during teaching practices. Th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in teach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classes, the influences of othe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influences of guidance teacher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teaching practi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조희형, 고영자 (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과학기술학회마을
2 주미경, 양성관 (2007). 사범대학-현장학교 협력 관계에 기반한 교육실습 사례 분석: 중등교원을 위한 교육실습 확대 방안 가능성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363-384.
3 강경희 (2009).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80-591.   과학기술학회마을
4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 (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 수업 실행에 관한 관심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과학기술학회마을
5 최명숙 (2001). 구성주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에의 적용사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1), 5-28.
6 조정일, 박헌 (1999).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안적 현직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STS/구성주의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40-352.
7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DOI   ScienceOn
8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 (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과학기술학회마을
9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 Teacher-Test Checklist (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10 Tobin, K. (1993). Referents for making sense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3), 241-254.   DOI   ScienceOn
11 정혜영 (2008). 교육실습을 통한 교육실습생의 교육신념 변화 연구. 초등교육연구, 21(2), 235-257.
12 김지자, 김인아, 최영태 (2001). 초등 예비교사 교육실습에 관한 비교연구(한국.미국.일본의 사례 중심으로). 학생생활연구, 27, 79-113.
13 유지연, 강훈식, 노태희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94-106.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윤혜경 (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15 오선영 (2003).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7(1), 69-91.
16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2008). 예비 과학 교사들의 고등학교 과학반 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예비 교사들이 형성하는 지식의 종류와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46-564.   과학기술학회마을
17 Simmons, P. E., Emory, A., Carter, T., Coker, T., Finnegan, B., Crockett, D., Richardson, L., Yager, R., Craven, J., Tillotson, J., Brunkhorst, H., Twiest, M., Hossain, K., Gallagher, J., Duggan-Haas, D., Parker, J., Cajas, F., Alshannag, Q., McGlamery, S., Krockover, J., Adams, P., Spector, B., LaPorta, T., James, B., Rearden, K., & Labuda, K. (1999). Beginning teachers: Beliefs and classroom a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30-954.   DOI   ScienceOn
18 신명경 (2004). 학생중심성에 초점을 맞춘 교사 연수프로그램을 통한 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과 학습에 대한 신념 변화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5(2), 53-62.   과학기술학회마을
19 엄미리, 엄준용 (2009). 교육실습 전.후 예비교사 의 역량변화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491-508.
20 Russell, T., & Martin, A. K. (2007). Learning to teach science.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1151- 117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박기용, 배영직, 강이철 (2009).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169-197.
22 강훈식, 신석진, 차정호, 한재영, 노태희 (2007).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2), 201-212.
23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 4-15.   DOI   ScienceOn
24 Koch, J., & Appleton, K. (2007). The effect of a mentor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2), 209-231.   DOI   ScienceOn
25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 (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과학기술학회마을
26 곽영순 (2002). 구성주의 프로파일로 표현된 예비교사들의 신념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3(3), 242-258.   과학기술학회마을
27 Nilsson, P. (2008).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281-1299.   DOI   ScienceOn
28 Kang, N.-H. (2008).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 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478-498.   DOI   ScienceOn
29 곽영순 (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11-625.   과학기술학회마을
30 고문숙, 이순덕, 최정희, 남정희 (2009). 초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5), 564-579.   과학기술학회마을
31 강호선, 김영수 (2003). 생물 교육 실습생의 자기 수업에 대한 반성을 통한 수업 기술 개선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72-86.
32 Friedrichsen, P. M., & Dana, T. M. (2005). Substantive-level theory of highly regarded secondary biology teachers'science teaching orienta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2), 218-244.   DOI   ScienceOn
33 강훈식, 유지연, 김경순, 이정순, 노태희 (2009).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순환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450-462.   과학기술학회마을
34 De Jong, O., van Driel, J. H., & Verloop, N. (2005). Preservi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using particle models in teaching chemist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8), 947-964.   DOI   ScienceOn
35 한재영, 윤지현, 노태희 (2008). 예비 교사 교육 방안으로서코티칭의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36 강훈식, 김명순 (2008).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64-470.   과학기술학회마을
37 강경희, 이선경 (2004). 교육실습에서 교실수업에 대한 과학교육전공 학생들의 고려사항. 한국교원교육연구, 21(1), 105-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