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 조사

  • Published : 2008.08.30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by using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images of science teaching for four science subject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were more 'teacher-centered' than 'student-centered'. The results may imply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f science teaching tend to be more traditional than constructiv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 system for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constructivism.

이 연구에서는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를 이용하여 국내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의 특징을 조사했다.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지역의 초등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 대한 자기 이미지는 4개의 과학 과목(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에서 모두 '학생 중심'보다는 '교사중심'인 경향이 강했다. 이는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수관이 구성주의보다는 전통주의적인 경향이 강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구성주의에 기초한 예비 및 현직 교사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훈식, 신석진, 차정호, 한재영, 노태희 (2007).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 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2), 193-200 https://doi.org/10.5012/jkcs.2007.51.2.201
  2. 곽영순 (2002). 구성주의 프로파일로 표현된 예비교 사들의 신념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3(3), 242-258
  3.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 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4. 권성기, 박승재 (1995). 교육대학생의 과학의 본성 개념과 구성주의 학습관의 연관성 및 변화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5
  5. 김성수 (2006).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교육의 비교 연구: 교육 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 (1999). 과학교육학개론. 서 울: 북스힐
  7. 노석구 (1997).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교육과정 내용 비교 및 우리 나라 과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과학교육논총, 9, 39-58
  8. 박성혜 (2003).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 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9. 박성혜 (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 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10. 박윤배 (2000). 중등과학교사들의 과학관과 학습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44-249
  11. 원지경 (2004).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과학 및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과 교수실제의 관계 연구.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미경, 김주훈 (2004). 우리나라, 미국, 영국, 일본, 싱가포르의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82-1093
  13. 임청환 (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8-272
  14. 정효해, 김재영 (2005). 초등교사와 학생의 과학과 교 수학습에 대한 곤란도 연구. 초등과학교육, 24(5), 531-538
  15. 조영남 (2003). 초등교사를 위한 구성주의 교수 학 습 환경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6(1), 179-205
  16. 조정일, 박헌 (1999).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대안적 현직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STS / 구성주 의 모듈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40- 352
  17. 조정일, 윤수미 (2002). 구성주의 과학교사를 만들 기 위한 장기적인 현직 교육의 한 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32-648
  18. 조희형, 최경희 (2002). 구성주의와 과학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20-836
  19. 최명숙 (2001). 구성주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에의 적용사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7(1), 5-28
  20. Czerniak, C., & Chiarelott, L. (1990). Teacher education for effective science instruction-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1), 49-58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107
  21. Finson, K. D. (2001). Investigat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f-efficacy relative to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3(1), 31-42 https://doi.org/10.1007/BF03176931
  22. Finson, K. D., Thomas, J., & Pedersen, J. (2006). Comparing science teaching styles to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s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6(1), 8-15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6.tb18066.x
  23. Hashweh, M. Z. (1996). Effects of scienc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in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 47-63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47::AID-TEA3>3.0.CO;2-P
  24. Louca, P., Rigas, P., & Valanides, N. (2002). Primary student teachers' conceptions of science teaching. In A. Papastylianou (Ed.)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Education (pp. 242-248). Nicosia, Cyprus: ARLO Ltd
  25. Porlan, R., & del Pozo, R. M. (2004). The conceptions of in-service and prospective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5(1), 39-62 https://doi.org/10.1023/B:JSTE.0000031462.40615.56
  26.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 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 4-15
  27. Segall, A. (2004). Revisit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pedagogy of content/The content of pedagog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5), 489-504 https://doi.org/10.1016/j.tate.2004.04.006
  28. Simmons, P. E., Emory, A., Carter, T., Coker, T., Finnegan, B., Crockett, D., Richardson, L., Yager, R., Craven, J., Tillotson, J., Brunkhorst, H., Twiest, M., Hossain, K., Gallagher, J., Duggan-Haas, D., Parker, J., Cajas, F., Alshannag, Q., McGlamery, S., Krockover, J., Adams, P., Spector, B., LaPorta, T., James, B., Rearden, K., & Labuda, K. (1999). Beginning teachers: Beliefs and classroom ac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8), 930-95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10)36:8<930::AID-TEA3>3.0.CO;2-N
  29. Southerland, S. A., & Gess-Newsome, J. (1999). Preservice teachers' views of inclusive science teaching as shaped by images of teaching, learning, and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3(2), 131-150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31::AID-SCE3>3.0.CO;2-X
  30. Thomas, J. A., & Pedersen, J. E. (2003). Reforming element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What about extant teaching belief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7), 319-330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209.x
  31. Thomas, J. A., Pedersen, J. E., & Finson, K. (2001). Validating the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 (DASTT-C): Exploring mental models and teacher belief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2(3), 295-310 https://doi.org/10.1023/A:1014216328867
  32. Tilgner, P. J. (1990). Avoiding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74(4), 421-431 https://doi.org/10.1002/sce.3730740403
  33. Tobin, K. (1993). Referents for making sense of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3), 241-254 https://doi.org/10.1080/0950069930150302
  34. van Driel, J. H., Jong, O., & Verloop, N. (2002).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 86(4), 572-590 https://doi.org/10.1002/sce.10010
  35. Weber, S., & Mitchell, C. (1996). Drawing ourselves into teaching: Studying the images that shape and distort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ing Education, 12(3), 303-313 https://doi.org/10.1016/0742-051X(95)00040-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