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주도적학습

검색결과 1,035건 처리시간 0.026초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Learning Initiative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김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816-82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전- 사후 점수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사전 점수와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의 사후 점수를 비교하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총 8회기 동안 운영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Vygotsky 이론에 근거한 수학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Mathematics Learning Test Based on Vygotsky)

  • 이종희;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53-268
    • /
    • 2005
  •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준비하고 실행하며 반성하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갖는 것은 수학 교과에서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대한 개념화를 Vygocky의 이론에 더하여 시도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의 요소를 동기, 전략, 메타인지 측면에서 고찰하고, 준비, 실행, 반성의 학습 과정에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요인을 10가지로 분석하였다. 이 요인을 바탕으로 수학과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문항으로 개발했으며, 이것을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 PDF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11-3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MMORPG 기반 초등한자 학습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MORPG-Based Hanja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박희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135-138
    • /
    • 2012
  • 본 연구는 다중참여역할수행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이하 MMORPG)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4, 5, 6학년 3개 학급을 실험 대상으로 4주간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은 방과 후 수업시간을 이용하여 일주일에 2시간 이상 MMORPG를 활용한 한자수업을 학습하도록 지도하였고, 통제집단은 교사의 수업 진행으로 학습하였다. 실험 전 두 집단 간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대한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주도 학습준비도 검사(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이하 SDLRS)를 이용하여 자기주도 학습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4주간 실험이 끝난 후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하위요소인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개념, 학습에 대한 솔선수범 및 독립성, 창의성,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 기본학습 기능과 문제해결 기술, 미래 지향적인 자기이해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성을 다변량분산분석(MANOVA)를 실시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MMORPG를 활용한 한자학습과 일반교실 한자학습은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MMORPG를 활용한 한자학습이 일반교실수업에 의한 학습보다 높은 자기주도 학습능력 정도를 보여 주었다. 둘째, MMORPG를 활용한 한자학습이 하위요소 간에 어떠한 여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MANOVA 결과 효율적인 학습자라는 개념, 학습에 대한 솔선수범 및 독립성, 창의성,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 기본학습 기능과 문제해결 기술, 미래 지향적인 자기이해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왔지만 학습기회에 대한 개방성, 학습에 대한 애정과 열성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 PDF

WBI를 이용한 자기 주도적 수학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Self-leading Math-instruction-System Using WBI)

  • 김수연;김순곤;정광호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E-Business와 정보보안
    • /
    • pp.350-35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자기 주도적 학습 환경 구현에 매우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웹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수학학습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기존의 Web에서 제공되는 수학학습을 살펴보면 텍스트 위주의 설명, 단순한 문제를 제공하고 정, 오답의 결과만을 보여 주는 형태가 많았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동영상, 음성, 애니메이션 등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내용을 전개하도록 구성하였다.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제공으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시키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성취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 PDF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최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171-180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개 대학의 3, 4학년 간호대학생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성격성향으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68%를 설명하였다. 따라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교수학습법과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인다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웹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과 학습과제 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and Types of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y Attitudes)

  • 빙성준;이성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91-100
    • /
    • 2002
  • 본 연구는 웹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 순천시 H고등학교 1학년 중 실험집단 33명, 비교집단 33명으로 총 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은 자기 주도적 학습방법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사 주도적 학습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기 주도적 학습은 교사 주도적 학습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원리적 지식보다 개념적 지식이 더 많이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 주도적 학습은 교사 주도적 학습보다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원 생물학 강좌에서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CIM)의 적용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to a Biology Clas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ts Effect in Chang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Motivation Types)

  • 오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95-306
    • /
    • 2011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 교수자 주도의 강의, 세미나, 토론 수업 모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이 오순애(2010)에 의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CIM을 대학원 생물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는 유귀옥(1997)이 번안한 West & Bentley(1990)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척도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학습 동기 척도 측정에는 오순애(2001)가 번안한 Hayamizu (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K 대학교 2010년 1학기 2개 대학원생 생물 수업을 대상으로 DCIM이 적용되었으며, 수업 전 후에 척도를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 강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DCIM 적용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 동기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원 수업에 DCIM의 적용이 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 기반 이-러닝 시스템 (Web-based E-learning System Supporting an Effective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 김미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524-535
    • /
    • 2011
  • 성공적인 이-러닝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 이-러닝 시스템들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들을 부분적으로만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향상을 극대화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학습방법, 평가방법 및 학습내용수준, 다양한 측면에서의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공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보다 향상된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지원하는 웹기반 이-러닝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교 자료구조 교과목에 적용한 후 수강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력을 향상시키며 효과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Learn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 전미애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40-266
    • /
    • 2013
  • 본 연구는 평생학습자로 살아가야 할 이공계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의 관계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충남의 H대학교 이공계열 전공 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와 Kolb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전체 평균점수가 3.41로 나타나 Guglielmino & Guglielmino(1993)의 점수해석을 기준으로 할 때,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평균'으로 볼 수 있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영역별 통계치를 보면,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 학생의 Kolb 학습유형 4가지 기본척도 분석결과 능동적 실험(AE)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추상적 개념화(AC)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이공계열 전공 대학생들은 Kolb 4가지 학습유형 중 확산형을 선호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았고, 수렴형은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준비도의 하위변인과 Kolb 학습유형 기본척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다음과 같다. (1) 학습기회의 개방성, 배움에 대한 사랑이 구체적 경험과 관계가 있었다. (2) 학습기회의 개방성,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자로서의 자아개념,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배움에 대한 사랑, 미래지향성이 추상적 개념화와 관계가 있었다. (3)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창의성이 반성적 성찰과 관계가 있었다. (4) 학습에 있어서의 독립심과 자발성, 미래지향성이 능동적 실험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연구대상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평균점수를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Kolb 학습유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학습유형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