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10.816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Learning Initiative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Kim, Kyeong-Hee (동신대학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conducting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program was conducted for 28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method was used, which compared the pre-score before the program and the post-score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8 s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post scores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re-post scor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Keyword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Academic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College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Hoyle, R. H. (Ed), Structual Ep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Sage, pp.56-75, 1995.
2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제18권, 제3호, pp.151-181, 2005.
3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진로상담: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 1호, pp.417-435, 2009.   DOI
4 신명희, 노원경, "루브릭을 활용한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4호, pp.671-695, 2008.
5 윤정선, 박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향상 프로그래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2호, pp.119-14, 2014.
6 김선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7 김신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8 D. K. Meyer and J. D. Turner, "Using instructional discourse analysis to study the scaffolding of student self regul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7, No.1, pp.17-25, 2002.   DOI
9 B. J. Zimmerman, A. Bandura, and M. Martinez-pons,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cademic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9, No.3, pp.663-676, 1992.
10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11 이경희, 강경리,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제12권, 제2호, pp.119-154, 2016.
12 하명윤, 자기조절학습 증진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학습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3 정창숙,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화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제7권, 제10호, pp.319-329, 2017
14 송선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5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1975.
16 백경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제32권, 제1호, pp.77-95, 2011.
17 한순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1-30, 2006.
18 윤정선, 박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2호, pp.119-14, 2014.
19 박주연,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연구, 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0 변영계, 강태용, "대학생들의 학습기술 향상을 위한 학습기술 측정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19-37, 2003.
21 박성익, 김미경,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별 및 문제 해결학습단계별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형태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Vol.6, No.3, pp.129-159, 2005.
22 김인식, 이진희,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분석," 교육이론과 실천, 제13권, 제3호, pp.129-154, 2003.
23 오원욱,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적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5호, pp.684-693, 2002.
24 J. Hattie, J. Biggs, and N. Purdie, "Effects of learning skills interventions on student learning: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6, No.2, pp.99-136, 1996.   DOI
25 신명희.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서은희, 송수지, 원영실, 임호용 공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20.
26 유경애, "온라인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분석," 교양학연구, 제13권, 제10호, pp.33-58, 2020.
27 김창환, 김본영, 박종효, 박현정, 이광현, 채재은,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대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28 장휘숙, 발달심리학, 박영사, 2013.
29 조혜영, 최미순, 이희연, "대학생 자기주도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pp.289-310, 2021.
30 김하영,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제32권, 제1호, pp.77-95, 2019
31 정정애,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Vol.11, No.3, pp.1191-1202, 2010.
32 L. Corno and E. B. Mandinach,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18, No.2, pp.88-108, 1983   DOI
33 J. Baumert, H. Fend, H. F. O'Neil,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I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ming as a cross-curricularcompetency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34 B. J. Zimmerma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5, No.1, pp.3-17, 1990.   DOI
35 P. N. Chou, "Effect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wo exploratory experiments in electronic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2, No.6, pp.172-179, 2012.
36 장봉석, 신인수, "중.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효과의 메타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제14권, 제3호, pp.187-210, 2011
37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 석과 학습모형 개발,"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75-98, 2004.
38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 company, 1997.
39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0호, pp.95-123, 2001.
40 정미경,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개발," 교육학 연구, 제41권, 제4호, pp.157-182, 2003.
41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제15권, pp.157-184, 2002.
42 A. Bandura and D. H. Schunk,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No.3, pp.586-598, 1981.   DOI
43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No.1, pp.33-40, 1990.   DOI
44 이혜주,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핵심역량,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4호, pp.33-43, 2021.
45 박형근,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