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to Improve Learning Initiative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김경희 (동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2.08.08
  • Accepted : 2022.09.30
  • Published : 2022.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mprov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conducting a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program was conducted for 28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single-group pre-post design method was used, which compared the pre-score before the program and the post-score after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during the 8 ses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post scores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crease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pre-post scor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increased significantly.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사전- 사후 점수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사전 점수와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의 사후 점수를 비교하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은 총 8회기 동안 운영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점수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의 사전-사후 평균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습주도성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장휘숙, 발달심리학, 박영사, 2013.
  2.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1975.
  3. 조혜영, 최미순, 이희연, "대학생 자기주도 학습역량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pp.289-310, 2021.
  4. 백경숙,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제32권, 제1호, pp.77-95, 2011.
  5. 이경희, 강경리,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대한사고개발학회, 제12권, 제2호, pp.119-154, 2016.
  6. 김하영,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제32권, 제1호, pp.77-95, 2019
  7. 김창환, 김본영, 박종효, 박현정, 이광현, 채재은, 한국의 교육지표.지수 개발 연구(III): 대학생역량지수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8. 한순미,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7권, 제3호, pp.1-30, 2006.
  9. 윤정선, 박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2호, pp.119-14, 2014.
  10. 박주연, 문제해결방법을 활용한 자기주도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연구, 관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1. 변영계, 강태용, "대학생들의 학습기술 향상을 위한 학습기술 측정에 대한 연구," 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19-37, 2003.
  12. 홍기칠, "구성주의적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력 분 석과 학습모형 개발,"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1호, pp.75-98, 2004.
  13. L. Corno and E. B. Mandinach,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18, No.2, pp.88-108, 1983 https://doi.org/10.1080/00461528309529266
  14. J. Baumert, H. Fend, H. F. O'Neil, and J. L. Peschar, "Prepared for life-Iong learning. Frame of reference for the measurement of self-regulated leaming as a cross-curricularcompetency in the PISA project," Paris: OECD. 1998.
  15. B. J. Zimmerma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Vol.25, No.1, pp.3-17, 1990.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16. 정미경,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검사개발," 교육학 연구, 제41권, 제4호, pp.157-182, 2003.
  17. 유경애, "온라인 교양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분석," 교양학연구, 제13권, 제10호, pp.33-58, 2020.
  18.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제18권, 제3호, pp.151-181, 2005.
  19. 박미진, 김진희, 정민선, "진로상담: 취업준비 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제10권, 제 1호, pp.417-435, 2009. https://doi.org/10.15703/KJC.10.1.200903.417
  20. P. N. Chou, "Effect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n online learning outcomes: Two exploratory experiments in electronic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2, No.6, pp.172-179, 2012.
  21. 신명희, 노원경, "루브릭을 활용한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4호, pp.671-695, 2008.
  22. 윤정선, 박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능력향상 프로그래의 중재 및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0권, 제2호, pp.119-14, 2014.
  23. 장봉석, 신인수, "중.고등학생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효과의 메타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제14권, 제3호, pp.187-210, 2011
  24.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 company, 1997.
  25. 김아영, 박인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제39권, 제10호, pp.95-123, 2001.
  26. A. Bandura and D. H. Schunk,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No.3, pp.586-598,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1.3.586
  27. P. R. Pintrich and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No.1, pp.33-40, 199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28. 이혜주,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대학핵심역량,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14호, pp.33-43, 2021.
  29. 김아영,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제15권, pp.157-184, 2002.
  30. D. K. Meyer and J. D. Turner, "Using instructional discourse analysis to study the scaffolding of student self regul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37, No.1, pp.17-25, 200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701_3
  31. B. J. Zimmerman, A. Bandura, and M. Martinez-pons,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cademic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9, No.3, pp.663-676, 1992.
  32. 정정애,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 연구, Vol.11, No.3, pp.1191-1202, 2010.
  33. 송선순,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효능감, 목표지향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4. 박형근,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35. 이석재,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3.
  36. S. G. West, J. F. Finch, and P. J. Curran,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Hoyle, R. H. (Ed), Structual Ep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Sage, pp.56-75, 1995.
  37. 하명윤, 자기조절학습 증진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학습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38. 김선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9. 김신희,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자기조절 학습전략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평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0. 정창숙, "자기주도학습 증진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자기효능감과 임파워먼트, 임상수행에 미치는 효과," 예술인문화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제7권, 제10호, pp.319-329, 2017
  41. 박성익, 김미경,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별 및 문제 해결학습단계별 자기조절학습전략 활용형태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Vol.6, No.3, pp.129-159, 2005.
  42. 김인식, 이진희, "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분석," 교육이론과 실천, 제13권, 제3호, pp.129-154, 2003.
  43. 오원욱,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적 영향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2권, 제5호, pp.684-693, 2002.
  44. J. Hattie, J. Biggs, and N. Purdie, "Effects of learning skills interventions on student learning: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6, No.2, pp.99-136, 1996. https://doi.org/10.3102/00346543066002099
  45. 신명희. 강소연, 김은경, 김정민, 노원경, 서은희, 송수지, 원영실, 임호용 공저, 교육심리학, 학지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