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교정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8초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cytotoxicity of self-etching primers)

  • 이창훈;김인령;김규천;김성식;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2-433
    • /
    • 2006
  •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는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교정치료를 하는 동안 치주조직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가 치주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 보고 이를 전통적인 접착법에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시편은 임상에서 브라켓 접착 시 사용하는 Transbond XT Adhesive (3M Unitek, Monrovia, CA, USA)를 각각 Transbond XT Primer (3M Unitek, Monrovia, CA, USA), Clearfil SE bond (Kuraray, Osaka, Japan), Transbond Plus Self Etching Primer, Adper Prompt L-Pop (3M Unitek, Monrovia, CA, USA)과 혼합한 후 광중합하여 제작하였고, Transbond XT Adhesive를 중합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이를 배양된 HGF-1 (Human eingiva Fibroblast), HaCaT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RHEK (immorialized Human Epidermal Keratinocyte)에 노출시킨 후 세포의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고, MTT assay를 시행하여 세포독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72시간 후 HGF-1, HaCaT,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모든 프라이머의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나 세포 돌기의 위축, 세포 형태의 변화, 세포 수의 감소, 세포의 괴사가 관찰되었다. MTT assay 실험 시 HGF-1 을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Transbond Plus SEP, Adper Prompt L-Pop의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고, HaCaT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fil SE Bond,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Transbond XT Primer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RHEK를 이용한 실험에서 Clearfil SE Bond, Transbond XT Primer, Adper Prompt L-Pop, Transbond Plus SEP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가 산부식프라이머는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프라이머와 마찬가지로 세포독성이 유의하게 높으므로 구강내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Self drilling과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의 조직학적 및 생역학적인 비교 (Histologic and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orthodontic self-drilling and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

  • 박효상;슈엔;정성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5-30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고정원으로 사용된 self-drilling과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를 조직학적 및 생역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28 마리의 가토에 112개의 microscrew implants (56개의 self-drilling microscrew implants 와 56개의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를 식립하였다.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는 0.9 mm 드릴로서 홈을 형성한 후 식립하였고 self-drilling microscrew implants는 홈을 형성하지 않고 바로 식립하였다. 교정력은 식립 직후 바로 NiTi coil spring을 연결하여 가하였으며 일부는 교정력을 가하지 않았고 일부는 100 gm정도의 약한 교정력을 일부는 200 gm정도의 강한 교정력을 가하였다. 실험동물은 3주 혹은 5주에 희생하였으며 72개의 비탈회 표본을 만들어 전반적인 조직학적 관찰과 조직 계측을 시행하였다. 토크 게이지로 최대 식립 토크와 최대 제거 토크를 측정하였다. 모든 microscrew implants는 실험기간 동안 안정되게 유지되었고 최대 제거 토크의 측정에는 self-drilling과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이한 차이가 없었다. 조직 관찰에서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에서 골 임프란트 계면에 골결손이 더 많았고 5주에서는 새로이 형성된 미성숙 골이 더 많았다. Self-drilling microscrew implants에서 골표면 혹은 골내막으로의 골 형성이 많이 관찰되었으나 5주에서는 흡수되는 양상을 보였다. 3주에서는 self-drilling microscrew implants가 더 많은 골접촉을 보였으나 5주에서는 두 군사이에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두 방법이 모두 microscrew implant의 식립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나 self-tapping microscrew implants의 경우 초기에는 약한 힘을 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한적 접근을 통한 부정유합된 관골골절의 교정 (Correction of Malunited Fracture of Zygoma Through Limited Incisions)

  • 김용하;김성호;설정현;이경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22-31
    • /
    • 1996
  • 본 교실에서는 1994년 11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수상 후 혹은 일차 교정 후 평균 3.2개월 경과한, 7명의 환자에서 제한된 접근방식으로 2차석 교정술을 시행하여 평균 4.5개월의 추적 조사한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술전에 X-ray 검토, 사고 전의 사진, 충분한 대화 등을 토대로 가능한 정확한 절골선과 변형정도 등의 교정을 위한 계측이 필요하다. 2. 관골의 삼각골절 후 안면변형인 경우는 반드시 광범위 노출법보다는 제한적 방법으로 교정이 가능했다. 3. 절골된 관골은 내측 및 전상방으로 과교정해야 한다. 4. 절골 및 재배치시 저작근을 포함하여 주위 연부조직을 분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5 안구함몰의 교정을 위해서 안와기저부 및 측부에 자가 골이식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Medpor^{(R)}$)의 삽입 후 결과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대동맥궁 차단증를 동반한 동맥간의 일차 완전교정 - 1예 보고- (One-stage Repair of Truncus Arteriosus with Interrupted Arch)

  • 성시찬;박준호;이형두;김시호;우종수;이영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59-765
    • /
    • 2003
  • 대동맥궁 차단증을 동반한 동맥간은 매우 중한 자연경과를 갖고 있는 희귀한 선천성 심장 기형이다. 생후 25일,체중 3.1 kg의 신생아에서 정중흉골절개술에 의한 일차 완전교정술을 시행하였다. A형 대동맥궁 차단증은 하행대동맥을 원위부 상행대동맥에 직접 문합하였으며, 폐동맥을 동맥간으로부터 분리하여 동맥간의 앞쪽에 위치한 다음 처리하지 않은 무판막 자가심낭도관을 사용하여 우심실 유출로를 재건하였다. 성공적 교정술 후 약 1년간의 양호한 추적결과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전신조정술의 맨손 중재와 자가교정운동 모형이 휜 다리의 교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 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on the Distorsional Leg)

  • 김윤서;문상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9-3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 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CM(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on the groups bow-knee and knock-knee. Methods: GCM Center of 23 members were divided into the two different groups. 12 members of group bow-knee and 11 members of group knock-knee applied to each manual intervention and self 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CM. Two different groups were applied to 1 cycle a day for 4 weeks, 3 times a week. Results: The effect of manual intervention and self 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CM on the groups bow-knee and knock-knee was significant(z<.05).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s bow-knee and knock-knee was no significant(z>.05). Conclusion: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 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CM was contributed in the Correct recovery of bow-knee and knock-knee(z<.05).

하악골 전돌증 환자의 악교정술시 부가적 방법으로서의 이물성형 재료를 이용한 비익기저부증강술 (A CASE REPORT OF ALLOPLASTIC PARANASAL AUGMENTATION AS AN ADJUNCTIVE TREATMENT OF MANDIBULAR SET-BACK)

  • 이태영;김명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1호
    • /
    • pp.100-103
    • /
    • 1991
  • 하악골 전돌증 환자의 악교정 수술시 비익기저부가 좁고, 발육부진을 보일경우 수술의 심미적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부가적 방법으로서의, 하악골의 후방 이동술과 함께 비익기저부의 증강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이물성형 재료에 의한 증강술은 자가골 이식골에 비하여 술후 체적변화가 적고 안정성을 보이며, 간편하게 시술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저자등은 하악골 전돌증 및 비익기저부의 발육부전을 보이는 환자의 악교정예에서 하악골 후방이동술과 더불어 부가적인 비익기저부 증강술을 시행하여 술후 15 개월이 경과된 현재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기도의 크기 (A CEPHALOMETRIC STUDY ON THE AIRWAY SIZ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MALOCCLUSION)

  • 이용승;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9-29
    • /
    • 1995
  • 앵글씨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두부형태, 연구개, 혀 및 기도의 크기를 비교하고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의 크기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12세부터 17세 사이의 여성 환자 98명을 연구대상으로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여 치아안면골격과 기도에 관한 거리, 각도, 비율 및 면적에 대해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악골체 길이, SNB, ANB, facial angle, facial convexity, A-B plane angle, Y axis to FH, SN-MP, Wits appraisal, ODI, APDI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 설골의 전후방위치는 II급 부정교합자의 설골이 다른 군에 비해 후방 위치하였으나 상하방위치는 부정교합 유형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비인두의 면적은 I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가 I급 부정교합자에 비해 작게 나타났으며, 인두의 총면적은 II급 부정교합자가 I급과 III급 부정교합자보다 작게 나타났다. 부정교합 유형에 따른 연구개, 혀,구인두 및 하인두의 면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하악지 고경과 하악골체 길이는 혀, 비인두, 구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SNA는 혀 및 기도의 크기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SNB는 하인두 및 인두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안면고경, 후안면고경, facial plane에 대한 상하악 중절치의 위치는 혀의 면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Y 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내원환자의 지역분포와 부정교합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s and Trends in Malocclusion Patients from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 유형석;유영규;이장열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6
    • /
    • 1999
  • 본 연구는 1992년부터 1997년까지 6년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부속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진단을 받은 부정교합 환자중에서 진단용 석고모형과 진료기록부가 잘 보존되고 지역 거주지가 확실한 9159명을 대상으로 연도별 내원 환자의 성별 분포, 연령별 내원 환자의 분포, Angle씨 부정교합 분류, 제 I급 부정교합 양상의 분류 및 지역적 분포 특성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의 수가 1992년에 비해 1997년 86%가 증가하였으며 1995년 이후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연령별 내원 분포에서 19세 이상군의 비율이 39.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춘기전 아동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성인 교정환자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Angle씨 부정교합 분류에 의한 내원 환자 분포에서 제 III급 부정교합자가 38.1%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제 I급 부정교합이 33.3%, 제 II급 부정교합은 28.6%의 빈도를 보였다. 4. 제 I급 부정교합자중 총생(crowding)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가 3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도별 변화에서는 돌출(protrusion)환자는 점차 증가 양상을 보여 96년에는 33.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개교합과 반대교합 환자는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5. 내원 환자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서울시 환자가 전체 내원 환자의 70%이상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서울시 내원환자중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을 중심으로 반경 3-6km의 거주자가 32.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반경 9Km이내에서 전체의 69%를 차지하였다. 4. 수평피개보다는 수직피개가 치근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개방교합의 경향이 커질수록 치근흡수의 빈도가 높았다. 5. 개개 치아에서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특징에 대해서는 반대교합과 개방교합을 함께 나타내는 치아에서 치근흡수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다른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

  • PDF

최근 8년간 본교실에서 시행한 악교정수술의 임상적 검토 (CLINICAL STUDY ON ORTHOGNATHIC SURGERY FOR 8 YEARS IN OUR DEPARTMENT)

  • 권대근;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9
    • /
    • 1995
  • 1986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8년간 외과적 교정술을 시행한 117 증례에대하여 임상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1) 남녀 성비는 1:1.4로 여자가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23.0세였다. 2) 악교정수술을 받기위하여 내원한 환자의 진단에 따른 분류를 보면 하악 전들증의 경우가 87증례(75.0%)로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3) 수술방법중 하악단독수술은 88증례, 상악골 단독수술은 6증례, 상하악 동시이동술은 23증례였으며 이중 하악지 시상골절단술이 사용된 경우가 84증례(71.8%)로 가장 많았다. 4) 골편의 고정을 위하여 강선고정보다 Miniplate나 Screw 를 이용한 고정이 점차 선호되고 있으며 전체수술에서 견고고정의 비율은 66.0%였다. 5) 본 교실에서는 외가적 교정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1992년 2월부터 저혈식 자가수혈을 이용하고 있으며 One Jaw surgery 에서는 2 pints, Two Jaw surgery 에서는 3 pints를 준비하고 잇다. 6) 악교정수술의 합병증으로는 하순지각마비등의 신경손상이 전체수술의 63증례(53.8%)로 가장 많았으며 골편의 잘못된 위치, 과두위치보존의 실패, 견고고정의 불안정등이 원인이 되어 5증례에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 PDF

선천성 기관 협착증을 동반한 복잡 심기형의 완전 교정술 -1예 보고- (Repair of Complex Cardiac Anomaly Associated with Congenital Tracheal Stenosis -1 Case Report-)

  • 박전준;김웅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88-91
    • /
    • 1997
  • 복잡 심 기 형을 동반한 선천성 기관협착증은 일반적으로 치명적 인 질환으로 간주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술전에 예상하지 못한 선천성 기도 협착을 동반한 복잡 심기형 환자에서, 체외순환하에 동시 교정술을 성공리에 수행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환아는 3개월된 여자로 대동맥 교약증, 심실중격결손증 및 동맥관 개존증의 진단으로 전신마취 유도 후 예상치 못한 기관내 삽관의 어려움으로 선천성 기도협착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자가심낭을 이용한 전방 기관 성형술 및 대동맥 교약증, 심실중격결손증 및 동맥관개존증의 일차 완전 교정술을 체외순환 하에 동시에 시행하게 되었다. 환아는 술후 2년 1개월이 지난 현재 합병증의 증상없이 순조로운 술후경과를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