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간호프로그램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8초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직무소진 (A Study of New Nurses'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Job burnout)

  • 박인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3-374
    • /
    • 2018
  •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98명의 신규간호사이었고, 구조화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IBM SPS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감정노동이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과 소진과는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 회복탄력성은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총 설명력은 35.2% ($R^2=.352$)이었다(F=38.05, p<.001). 결론적으로, 신규간호사의 직무소진을 감소하고 임상적응능력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 PDF

유방자가검진(BSE) 교육프로그램이 유방자가검진실행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개별처방식 지도모형 적용- (Effects of the BSE Educational Program on BSE Practice - Based on the 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Model)

  • 최연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0-212
    • /
    • 1998
  • Breast cancer ranks as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of adult wome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BSE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Model is effective in BSE practice. To motivate women in BSE practicing,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of BSE and were mothers of D middle school in D City. The instruments of study were a BSE frequency & proficiency recording chart and a BSE confidence scale developed by Elearn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4 in 1997 to April 30 in 1998 and was analyzed with an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Frequency scores in BSE practic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s contrasted with that in the pretest(t=1.32, P<.01). 2) Proficiency scores in BSE practic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s contrasted with that in the pretest (t = 1. 69, P<.001). 3) Confidence scores in BSE practic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s contrasted with that in the pretes(t=l1.48, P<.01). 4)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SE frequency scores and confidence scores in BSE practice was significant (r =.72, P<.001).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BSE educational program has improved BSE compliance.

  • PDF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Integrated Dementia Prevention Program for Life i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 선정주;오숙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5-64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독거노인을 위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J군 여성독거노인 56명(실험군 28명, 대조군 28명)을 대상으로 실험군은 12주 동안 집단학습과 개별학습의 치매예방통합프로그램을 제공받았다. 치매예방 통합교육프로그램은 교수체계설계의 주요 개발단계인 ADDIE모형에 근거하여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향상되었고, 우울이 완화 되었으며, 삶의 질도 향상되었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자가 실천이 가능한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으로 사료되며 향후 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지역사회에 확대하여 대상자들이 지속적으로 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 모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위암 수술환자의 구체적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수행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Self-care performance for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Gastrectomy)

  • 전윤화;박금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56-46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위암 수술환자의 구체적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수행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11일에서 동년 11월 15일까지였으며, B시에 소재한 D대학병원에서 위암 진단 후 치료목적으로 수술을 받은 후 3개월이 경과하고 5년 이내의 추후관리 중인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위암 수술환자의 제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성별(t=-2.25, p=.027), 종교(F=3.67, p=.028), 직업(F=4.17,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암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은 구체적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60, p<.001). 위암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수행 관련요인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종교 및 성별로 나타났다. 전체 설명력은 37.9%였으며, 가장 큰 영향요인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beta}=.5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암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을 돕기 위해서는 구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중재를 제공하는것이 필요하며, 종교 및 성별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당뇨병 노인의 자가관리 자신감과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 우울군과 비우울군의 비교 (Paper Title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The Self-care Competence and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Diabetes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89-196
    • /
    • 2019
  • 본 연구는 우울한 노인과 우울하지 않은 노인 당뇨환자의 자가관리 자신감과 자가관리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4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로서 D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및 t-test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최종 205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우울군과 우울군의 일반적 특성 및 당뇨병 자가관리 자신감, 자가관리 지식과 행위 및 인지기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가관리 자신감과 자가관리 행위와의 관계에서 인지기능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을 때 비우울군에서는 인지기능의 조절효과가 없었으나, 우울군에서는 인지기능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당뇨병 대상자가 자가간호 행위를 지속하도록 돕기 위하여 인지기능 저하 및 우울증 선별 테스트를 실시함으로써 개별적 접근을 시도하고, 인지기능의 향상 및 우울증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자가평가 분석 (Nursing Students' Self-evaluation Analysis on Pediatric Nursing Clinical Practice)

  • 이영은;박선영;최은아;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55-364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성취도와 임상실습 만족도 그리고 서술형 총평의 분석을 통해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학습성과 달성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B광역시 K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으로 2016년 2월 24일부터 동년 6월 24일까지 아동간호학 실습을 마친 총 115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 및 내용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성취도와 임상실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학습역량 성취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통해 '제한된 실습경험에 대한 아쉬움' 등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영역의 학습역량 성취도를 증진시키고,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실습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이 환자의 통증, 수면 및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n, sleep and self-care behavior in patients underwent robotic minimally invasive cardiac surgeries)

  • 박수현;장인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265-274
    • /
    • 2019
  • 본 연구는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절개술 접근과 기존의 정중흉골절개술 접근을 이용한 심장판막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수면, 자가간호수행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서울시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심장수술을 시행한 대상자 중 정중흉골절개술군 64명, 최소침습절개술군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chi}^2$ 검증,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일째, 5일째 모두 통증은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절개술군이 정중흉골절개술군에 비해 높았다. 통증발생부위는 두 군 모두 수술접근부위로 크게 나타났다. 수면은 수술 후 2일째 정중흉골절개술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자가간호수행은 최소침습절개술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로봇 수술의 재원기간 단축과 빠른 회복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의 통증관리를 위해 정확한 통증 사정 및 차별화된 프로토콜의 적용이 필요시 된다. 또한 성별, 연령 및 수술방법의 차이를 고려하여 안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요구되어진다.

당뇨입원교육프로그램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및 당 조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 이영란;강미애;김파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19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 A singl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wenty-on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during 6 days which consisted of education and practice about exercise, diet, self-care and prevention of complications. Variables at baseline, 3 months, and 6 months were measured. Results: Knowledge level, self-care level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ver time after the admission-education program. The $HbA_1C$ level and glucose level in urin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after the admission-education program. Conclusion: The admission-education program can increase levels of knowledge, self-care, self-efficacy and decrease glucose levels. Therefore, this admissioneducation program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of diabetes.

고혈압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고혈압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이행도 및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ypertension Self-help Program on Hypertension-related Knowledg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 Workers)

  • 기미영;박영혜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ypertension self-help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for workers with hypertension. Methods: The subjects of study were 54 patients with hypertension, divided into 28 of experimental group and 26 of control group, working in a general work place located in K city from June to September, 2009. Experiment treatment was a 12-week self-care program given for two hours, once a week. Results: After conducting a self-help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knowledge level, self-efficacy, self-management compliance,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blood pressure, BMI, total cholesterol level, neutral fat, and LDL-cholesterol of blood lipi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program is greatly recommended for workshops.

전화상담 프로그램이 당뇨병환자의 자기효능과 자가간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 김춘길;정정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06-314
    • /
    • 2002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Method: Sixty-eight NIDDM patients participated. Thirty-six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received the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from one to two times per week for 4 weeks. This program was undertaken by base on small booklet relating to diabetic disease summary, diet, drug, exercise, foot manage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mplications, and insulin injection methods. Result: 1. Hypothesis 1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s the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will have higher self-efficacy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oes not have the telephone consulting" was supported (t=5.12, p= .000). 2. Hypothesis 2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s the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will have higher self-car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ho does not have the telephone consulting" was supported(t=5.29, p= .000). Conclusion: The telephone consulting program improved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Accordingly, this program can be adopt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the care of the diabetic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