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치위생실무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3초

미국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국내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Study on Clinical Dental Hygiene in Korea Based on Analysis of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Fones School in the United States)

  • 최용금;임근옥;한양금;배수명;신보미;안세연;전현선;김진;장선옥;김혜진;박지은;임희정;장윤정;정진아;이효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치위생계의 임상실무와 교육의 표준인 치위생 관리 과정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치위생 교육기관인 미국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대해 심층분석 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표준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2015~2016년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은 모두 'Dental Hygiene Clinical Practice (DHYG)'라는 과목명으로 운영되었고, 실습의 비중이 매우 컸으며, 실습강의는 교수 1명당 학생 5명이 한 팀으로 운영되었다. 폰즈스쿨의 학과 목표는 브릿지포트 대학교의 미션에 따라 설정되었고,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목표 또한 폰즈스쿨의 학과 목표에 기반하여 설정되었다. 또한, 임상치위생학의 교육목표는 ADHA에서 제시한 치위생임상 실무표준에 따라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치위생학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임상 핵심역량과 세부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임상치위생학 교육내용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치위생 관리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 및 실습으로 구성되었고, 특히, 졸업 후 실제 임상 현장에서 수행하게 될 업무에 대한 실습내용이 다뤄졌다. 학생은 대상자/환자별로 수행한 술식에 문서를 작성하여 교수자와 함께 검토 및 보완작업을 통해 치위생 임상역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습내용 중 치위생 관리 과정 실습은 필수적으로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 특별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해야 하며, 구강 상태에 따라 중등도 이상의 치주환자를 포함해야 했다. 이론평가는 지필고사 혹은 사례연구 발표 등으로 이루어졌고, 실습평가는 주로 임상역량의 달성 정도에 따라 평가되었다. 특히 교수자의 로테이션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모든 학생의 임상역량 달성 정도를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에 대해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DHA에서 제시하는 치위생임상 실무표준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표준화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임상치위생학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일부 대학 치위생학과의 치과임상실무 관련 교육과정 운영현황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for dental hygienists in some universities)

  • 이효진;신보미;신선정;배수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93-803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dental hygiene curricula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Methods: Clinical work included the categories 'history taking, infection control, oral prophylaxis, preventive treatment, education/counseling, radiography/reading, assisting/cooperation, impression/bite registration, anesthesia, etc.', and 66 work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t tasks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were made to answer nine questionnaire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main works operated quite differently in lectures and practice in each school. All types of practice were applied to all schools in the case of 'scaling'. The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e was also found to be very different from school to school. Conclusions: For dental hygienists to establish expertise in clinical practice and promote quality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re curriculum focusing on clinical practice. The standardized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to an efficient and competency-centered one defining clearly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considering the needs and importance of clinical practice.

기초치위생 교과목이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The convergence factors on which the subject of basic dental hygienics has influence)

  • 권홍민;김창희;이선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83-391
    • /
    • 2018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치위생 교과목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임상실습을 마친 치위생과 학생 45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초치위생 교과목의 만족도, 기초치위생 교과목을 통한 지식이 임상 실무 적용시 자신감 정도 및 전체 전공만족도와는 정의 상관관계로, 본인의 기초치위생 교과목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감 정도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r=0.365),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감 정도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r=0.320), 기초치위생 교과목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전공만족도도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r=0.314). 따라서 임상과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융합적인 기초치위생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치위생 과정 기반의 임상 치위생 교육과 실무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Practice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 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5-154
    • /
    • 2011
  • Dental hygiene was originated from dentistry and dental hygiene knowledge was a component of dental knowledge body. Since the late 1980s dental hygiene theory was began to develop. Nursing theories such as metaparadigm, nursing process and human need theory affected theory development as dental hygiene process. Dental hygiene process provides a framework for high quality dental hygiene care. Dental hygiene process include five phases; assessment, dental hygiene diagnosis, dental hygiene plann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is recognized as standard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Dental hygiene practice has moved from auxiliary model to professional model. Critical thinking skill and disposition are necessary to provide evidence-based dental hygiene care using dental hygiene process as clinical process and critical thinking process.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must be integrated into dental hygiene process for quality dental hygiene care.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에 관한 조사 (A study on core competence of dental hygiene based on learning outcomes for establishing dental hygiene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 이선미;장경애;이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65-72
    • /
    • 2020
  •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을 파악하고자 치위생(학)과 전임교수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핵심역량별 세부영역에서 전문가적 행동 및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1영역)과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임상치위생과 임상치과업무의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2영역)의 전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 능력 정도(3영역)는 4.48점, 근거중심의 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정도(5영역)는 4.35점으로 나타났다. 핵심역량 세부영역들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보건의료서비스 직종간의 핵심역량 파악과 임상 실무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치위생(학)과 임상실습 표준화 방안 (Study of Clinical Practice Standardization in Dental Hygiene)

  • 신선정;김미정;양진영;유지수;정아연;신명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
    • /
    • 2017
  • 전국 82개의 치위생(학)과의 임상실습 교과목은 필수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임상실습 기관은 대학병원부터 개인 치과의원까지 범위가 넓고, 실습시간별 교육환경이 달라 임상실습 내용과 평가방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치위생학 교육과정과 실무와의 연계 및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임상실습 표준화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 2차 직무기술서와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임상실습 항목을 목록화 하여 총 156개 항목 중 74개(47.4%)의 임상실습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각 임상실습 내용에 대해 필수 및 선택실습 여부, 실습시기, 활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실습일정은 전반부(1주차), 중반부(2~3주차), 후반부(4주차)로 구분하고, 활동방법을 관찰, 준비, 수행, 교육으로 구분하여 임상실습 기관에서 학생들에게 임상실습을 지도할 수 있도록 시범운영을 진행하였다. 각 대학별 교과과정을 기반한 임상실습 내용 배치를 위해서는 임상실습 선수교과목으로 이수한 임상치의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임상실습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여 단계별로 임상실습 내용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기관과 임상실습 기관의 유기적인 협력관계뿐 아니라 표준화된 임상실습 프로토콜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겠다.

국내 표준 임상치위생실무지침의 개발 및 타당성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 이효진;배수명;최용금;곽선희;김현숙;김혜진;임근옥;임희정;장선옥;한양금;신보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17-731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pplicable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in Korea and to evaluate their validity. Methods: Based on the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the standards were adapted to be applicable in Korea. The validity of the standards was evaluated by a self-writing questionnaire among 14 professors and 10 clinicians using a developed tool for evaluating the standard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additionally conducted for clinicians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e standard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ann-Whitney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To analyze the content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The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consisted of five elements of professionalism for dental hygienists and a total of 28 items to perform the five stages of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assessment, diagno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included conceptual meaning, clinical significance, and application methods with examples for each item. Conclusions: The standards for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tandardizing dental clinical practices provided by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consistently improve the standards that are highly practical, to prevent oral diseases and maintain oral health of the publ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validity evaluation.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과정에서 프리셉터(가칭: 임상실무지도자)의 도입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Preceptor System in Clinical Practice Proc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구민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52
    • /
    • 2009
  • 본 연구는 치위생과 임상실습과정 동안의 수행경험정도를 파악하고 학습과정과 실습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프리셉터(Preceptor)제도의 도입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8개 종합병원에서 실습하는 치위생과 학생 150명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58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1. 관찰 경험과 수행경험에서 기본진료 영역이 가장 높았고, 예방치과 업무에서 가장 낮은 관찰경험도가 나타났고 수행경험에서는 환자관리 업무, 예방치과, 치주과 업무 영역에서 낮은 수행 경험을 나타냈다. 2. 병원별로는 기본진료 업무영역에서 가장 높은 관찰 실습경험과 수행실습경험을 나타내었고, 위와 마찬가지 전문성을 요하는 업무영역에서는 낮은 실습 경험도를 나타냈다. 3. 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활동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3년차 이상의 치과위생사의 인식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Factors Affecting Clinical Competence of Dental Hygienists)

  • 이희수;장경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31-338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2015년 2월 28일부터 2015년 4월 28일까지 부산 경남 일부지역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54명을 최종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선형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자아개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치과위생사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소진과 비판적 사고는 간접영향, 자아존중감과 셀프리더십,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도록 치위생 교과목에서의 교육기회가 이루어지도록 마련되어야 하며, 치과 병 의원에서도 실무적인 세미나와 치과위생사의 개인적인 내적 성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치과위생사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환자들의 양질의 진료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보건계열학생이 인식하는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Image Perceived by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 김미정;이혜경;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3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후 실무에서 함께 일할 보건 인력이 치과위생사를 어떤 이미지 지각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3월 14 부터 6월 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39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총점은 145점 만점에 86.57점이고, 평점은 5점 만점에 2.99점이었다. 2. 지역별 치과위생사 이미지 총 평점은 지역별로는 대도시 대학생이 89.07점으로 중소도시 학생들 85.03점 보다 치과위생사 이미지 총 점수가 조금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학과별로는 물리치료과가 88.89점, 치기공과, 방사선과는 86.91점, 임상병리과가 83.28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46). 3. 지역별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하위 4개 영역(자질, 역할, 사회참여, 대인관계) 차이는 자질(p=0.000), 역할(p=0.006), 대인관계(p=0.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과별로는 물리치료과 학생이 4개 영역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또한 사회참여영역(p=0.021)과 대인관계영역(p=0.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이미지 형성을 준 복수 응답 문항은 응답자의 67.9%가 '치과(병)의원에서의 치과위생사 모습'에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