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반병동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5초

상급종합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Exploring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 곽숙희;현수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3-30
    • /
    • 2019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이직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조사연구로서 상급종합병원 두 곳을 편의추출하여 이 두 의료기관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는 서술통계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이직의도의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본 조사연구가 실시된 상급종합병원 두 곳의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모두 여성으로 30세 미만이며 미혼이 대부분이었다. 학력은 학사가 대부분이었다. 간호사 월수입은 93.8%가 150이상 300만원 미만으로 응답하였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난 하위영역은 '의사와갈등', '보호자와 환자', '대인관계갈등'이었고, 직무만족이 가장 낮은 영역은 '보수및승진' '필수적직무'였다. 높은 이직의도를 보인 경우는 '본인이 원하지 않는 부서이동이 되었을때 이직하고 싶다', '부서이동을 인해 업무수행에 어려움이 심할 때 이직하고 싶다', '업무에 비해 월급이 적다고 느낄 때 이직하고 싶다' 등이었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이 서비스를 정착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의료인력인 간호사의 근무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간호 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보상, 명확한 업무에 대한 규정, 일반병동과 간호 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중에 선호하는 곳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여건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병동 급성악화 환자의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 분석 (Risk Factors of Predicting Intensive Care unit Transfer in Deteriorating Ward Patients)

  • 이주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67-475
    • /
    • 2021
  • 목적: 병동에서 급성악화 환자가 발생할 때 환자에게 집중치료가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나, 특히 사용 가능한 ICU 자원이 제한적일 때는 ICU 전동 여부를 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병동 급성 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후향적 조사연구로서 대상자는 일 상급종합병원 일반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중 악화상태를 보여 신속대응팀에 의뢰된 환자 2,9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입원시 고형암을 진단받은 경우 (odds ratio [OR] 0.39, 95% CI 0.32-0.47), 악화원인이 호흡문제인 경우 (OR 1.51, 95% CI 1.17-1.95), MEWS (OR 1.22, 95% CI 1.17-1.28)와 SpO2/FiO2 score (OR 2.41, 95% CI 2.23-2.60)가 중환자실 전동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 전동 위험이 높은 환자의 조기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시점별 직무만족도 및 삶의 질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and General Wards in a Tertiary Hospital)

  • 하유미;하은호;김지희;김효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56-66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INCSW) 및 일반병동(GW)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을 비교, 분석하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제도를 도입한 의료기관의 간호 질 향상과 고품질의 간호환경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K 병원 INCSW와 GW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88명 대상으로 총 3회에 걸쳐 6개월 동안 추적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INCSW와 GW는 6개월 동안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삶의 질은 '전반적인 삶의 질'(1차 p=.033, 2차 p=.030)과 '전반적인 건강상태'(1차 p=.049)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차수별 비교에서는 '조직별 인정 및 전문적 성취'(2/3차 p=.037)와 '존중과 인정의 인간관계'(1/3차 p=.005, 2/3차 p=.006)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INCSW의 삶의 질을 차수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 삶의 질' 항목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3차 p=.025, 2/3차 p=.010).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 인력의 숙련도와 환자 요구도를 반영한 인력배치, 배치 전 직무 교육 및 조직문화 개선 등의 기간별 다양한 간호중재전략을 개발한다면 INCSW와 GW 간호사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업무 적응 경험 (Experience of Adaptation to Work In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Units of Nurses)

  • 박수현;원서현;김보선;양진향;허선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69-88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업무 적응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11월~2024년 1월까지였으며, 일반 병동과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각각 6개월 이상의 업무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다. 심층 면담 시 녹음한 파일은 모두 전사 후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변화된 업무 환경을 마주침', '예상하지 못했던 업무의 이질감', '당면한 현실을 평가함', '전략을 찾아 균형을 도모함', '전문직 간호사로 성장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업무에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경장영양을 시행한 환자에서 영양집중지원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intensive nutritional support in enteral nutrition patients)

  • 김보희;김혜숙;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2호
    • /
    • pp.132-139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병동에 입원하여 3일 이상 경장영양을 시행한 성인 환자 95명을 대상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영양중재를 받은 중재군과 받지 못한 군으로 분류하여 열량 및 단백질 지원율과 생화학적 지표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환자의 입원초기부터 적절한 영양관리를 계획하고,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로 체계적인 관리를 실시하면 환자의 영양상태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영양불량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를 받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한다면, 이는 환자의 임상적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경장영양을 시행한 일반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집중 지원팀의 중재 효과에 대한 초기 연구이며, 집중영양치료료 수가 신설 이후 진행된 연구다. 추후 일반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효과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행된다면 의료진의 관심이 증대 될 것이고, 나아가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를 통해 진료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환자의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및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비교 (Comparison of Patient Needs, Patien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betwee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Patients)

  • 강연진;민정아;박창순;전은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7-328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atient-centered nursing by comparing the patient needs, patient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for patients admitted to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between September 7 and October 9, 2021. Patients were patients recruited from a hospital in D city, 100 each from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war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𝜒2-tes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needs between the patients of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the general ward (t=-1.12, p=.263). However, patient satisfaction was higher among the patien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than in the general ward (t=-3.55, p<.001). Pertain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nurses, the informational communication type (t=-4.02, p<.001) and the friendly communication type (t=-3.92, p<.001) were stronger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than the general ward. It was, hence,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in the reliability domain and technical-professional domain, and that the nurse informational communication type and friendly communication typ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The expansion of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may be considered in the future, with an informational and friendly communication method as an effective response that can be adapted in practice as a reflection the type of communication among nurses.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 감정노동, 간호업무성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Clinical Nurses' Role Conflict,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erformance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 김태진;유정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2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ole conflict, emotional labor, and nursing performance outcom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10 hospitals located in B city that operated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for more than one year. A total of 237 nurs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118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119 in general ward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ly analyzed with $x^2$ test and t-tes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Role conflict was lower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than in general ward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refore, organizational support interventions, such as sufficient understanding of others' roles and on-the-job training on nursing, should be planned to reduce role conflict and emotional labor, and systems and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outcomes.

보호자 없는 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환경 비교 (Comparison of Patient-Sitter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 방미란;심선숙;이동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69-178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s of nurses working in patient-sitter wards and general wards. Methods: The study surveyed 240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orking in both patient-sitter wards and general wards. The collected data then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s version 22. Results: As for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urvey showed that 85.2% and 67.8% of the nurses had such symptoms respectively in patient-sitter wards and general wards. In terms of occupational stres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patient-sitter ward and the general ward (t=-0.23, p=.821). Lastly,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work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cores recorded 2.65 and 2.55 points respectively in patient-sitter ward and general ward (t=2.53, p=.012). Conclusion: Follow-up research should look at ways to lower the rate of experienc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alyze work performances and establish work standards to lower occupational stress; and devise measure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nurses working in patient-sitter wards.

포괄간호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간호만족도와 병원재이용의도 영향요인 비교 (Comparing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Factors Relevant to Hospital Revisit Intent among Hospitalized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and General Care Units)

  • 신사랑;박경연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69-47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ospitalized pati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and general care units as to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and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78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a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and a general care unit in one hospita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and general care unit for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p=.036). Factors influencing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for patient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 were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p<.001) and 'use of additional costs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p=.041). The factor influencing intent to revisit hospital for patients in the general care unit was 'satisfaction with nursing care' (p<.001).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in which all care is provided by nursing staff only, without family or private caregivers, increases intent to revisit the hospital.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he foundation of reviewing the operation and expansio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과 일반병동 비교- (Nurses' Job Stress,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Compari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ith General Wards-)

  • 임연재;백희정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5-30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sis job stress,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Methods: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nurses with more than three months of working experience at five general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156 participants's data were used for 𝜒2-test, t-test, ANOVA using SPSS ver. 26.0.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es' job stress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etwee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nd general wards. However,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eneral ward. Conclusion: Patient safety culture should be promoted through continuous regular patient safety education, training, and organizational support to increas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dditionally, institutional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reduce job stress of nurses at the frontline of patient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