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터랙티브 미디어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4초

인터랙티브 비디오 서비스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 작용성 요인에 관한 연구: 시간 유연성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action Factors Influencing Use Intention of Interactive Video Services: focusing on Timing Flexibility)

  • 양승화;임성택;이수진;이인성;김진우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71-96
    • /
    • 2008
  • 인터랙티브 비디오 서비스 (Interactive Video Service: IVS)는 하나의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들이 방송을 하고 시청하는 과정에서 그들 간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새로운 형식의 미디어 서비스이다. IVS는 상호작용성의 효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시간 유연성'이라는 개념에 의해 실시간 IVS와 비실시간 IVS로 구분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IVS에서 중요한 상호 작용성 요인들을 찾아내고, 시간유연성의 변화에 따른 각 요인들의 효과를 비교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IVS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론적 틀을 구축하였고, 12명의 활발한 IVS 사용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IVS의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연구 모형은 온라인 설문을 통해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기술 요인, 커뮤니케이션 요인, 콘텐츠 요인이 IVS에서의 중요한 상호작용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이 IVS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시간 유연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운드에 반응하는 시청각적인 인터랙티브 아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dio-Visual Interactive Art interacting with Sound -Focused on 21C Boogie Woogie)

  • 손진석;양지현;김규정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5호
    • /
    • pp.329-346
    • /
    • 2014
  • 미술은 한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만들어낸 시대적 산물이다. 최근의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예술에서 표현을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디지털 매체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소리나 물리적 지각 반응을 예술 창작의 한 요소로써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디지털 매체는 이미지, 소리, 빛, 그리고 다양한 조형 요소들 간의 재 융합이나 관객의 물리적 반응의 결합을 통해서 작품과 관객과 상호소통적인 공감각적이고 시지각적인 환경을 창출하도록 돕는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소리에 반응하는 다양한 미디어아트 작품들이 제작되고 있는데, 주로 관객이나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의 물리적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작업에 초점을 두고 시지각적 관점에서 소리의 반응에 따른 데이터의 시각화와 작품의 이미지와 관객의 반응 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외부의 소리로부터 생성되는 물리적 데이터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이나 외부 소리의 고저(pitch), 음량, 또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서 데이터 분류가 가능하다. 본 연구자는 관객의 음성이나 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통해서 발생되는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이에 상응하여 발광하는 LED기반 시각화 연구를 통해서 최근 새로운 미디어아트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실시간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물리적 데이터들을 빛(LED)의 환영적 특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우연하게 관객에 반응하여 생성되는 다양한 시각이미지의 연출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결과적으로 연구자는 사운드에 반응하는 시지각적인 인터랙티브 작품을 구현해보기 위하여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1872~1944)의 브로드웨이 부기우기(Broadway Boogie Woogie, 1942~3)작품을 모티브로 삼았다. 몬드리앙은 회화의 본질적인 표현 요소들을 단순화하는 작업으로 불필요하다고 생각된 요소들을 하나씩 제거하여 색, 수직선, 수평선으로 대상을 추상화시킴으로써 그 대상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몬드리앙의 이러한 단순화된 구성을 외부의 소리 자극을 단순화하여 빛(LED)의 요소로 재현하는 시각적 표현의 메타포로 사용하였고, 몬드리앙의 정적 구성에서 빛과 소리의 공감각적인 표현을 극대화하는 동적 구성으로의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을 구현해 보았다.

매체발달에 따른 만화의 멀티미디어와의 융합에 관한 연구 (Following media development, a Study about the convergence of comics and multimedia)

  • 김보현;홍난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9-1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만화가 디지털화 되고 여러 기기에 서비스 됨에 따라 기존의 지면 만화의 구성요소인 글과 그림 이외에 사진,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형식과 융합한 형태로 다양한 실험이 행해지는 현상을 목격했다. 이에 만화에 대한 새로운 바로미터가 이러한 멀티미디어와의 융합에 있다고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만화에 대한 연구의 초석으로 개념설정을 연구하였다. 현재 나타나고 있는 멀티미디어 만화의 구성요소들을 파악한 뒤 이 요소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첫째, 융합형 웹툰으로 형식은 기존의 세로스크롤 웹툰과 크게 다르지 않으면서 작품의 특징을 살려 배경음악과 효과음이 추가되었거나 사진이나 동영상이 일부 삽입되어 있고 이 요소들을 제어하는 기능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중간 형태인 모션코믹스로 한 프레임 내에서 만화의 형식은 유지하되 애니메이션을 관람하는 것과 같이 사운드, 동영상, 페이지 넘김 등이 자동재생 되는 특징이 있다. 셋째, 인터랙티브 코믹스로 향유자의 적극적인 관여에 의해서 효과음과 움직임, 스토리가 진행되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멀티미디어성을 가진 만화들을 분석한 결과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와 연령층, 매체에 따라 멀티미디어 요소를 활용해야 한다. 둘째, 만화 향유자의 특성을 고려한 제어 기술의 고차원화가 필요하다. 즉, 끊임없이 진화하는 매체환경에서 향유자의 타깃과 이용행태에 맞는 만화 콘텐츠를 개발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향유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콘텐츠와 소통할 수 있도록 만화의 멀티미디어요소들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웹기반의 정보시각화를 위한 디지털 병풍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Folding Screen System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Based on Web)

  • 최정희;윤창옥;이동훈;윤태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342-1350
    • /
    • 2009
  • 현재까지 디지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단순영상의 시연용, 감상용, 전시용 시스템이 대부분이며 음악과 움직이는 풍경으로 인해 색다른 영상작품으로 재해석되어 보여 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수성을 자극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개발된 시스템의 활용범위가 작고, 쉽게 흥미를 잃을 수 있는 시기성을 가진다는 단점이 있어 지속적인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RSS기반 디지털 병풍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순 감상용으로 활용하던 기존의 8폭 병풍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자가 직접 참여하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 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시스템으로써 의 활용을 목적으로 구현되었다. 본 시스템은 블로그나 사이트를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새로 등록된 글을 수집해 읽을 수 있는 RSS의 주된 기능을 적용하여 실시간으로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전달 할 수 있어 평상시에는 관상용으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광고나 전시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공공장소의 정보전달시스템으로도 사용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 PDF

한국 디지털 사이니지 연구의 어제와 오늘: 연구 추세와 미래 연구 제안 (The State and Trend of Digital Signage Research in Korea)

  • 유승철;민지원;황혜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45-757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기술의 혁신과 함께 최근 미디어 및 콘텐츠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의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미래 연구를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동향 분석을 위해 2006년부터 2016년 현재까지 지난 10년간 국내 다양한 분야의 학술지에 출간된 디지털 사이니지 관련 학술논문 총 69편에 대해 메타분석을 진행했다. 코딩규칙에 따라 출판 논문들의 내용분석을 통해 출간년도, 학술지별 논문편수, 학술지 등급, 연구자의 수와 전공, 연구 분야, 연구 매체, 연구 방법, 연구 샘플, 적용된 통계분석방법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미디어 콘텐츠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어 왔음을 발견했다. 사례연구와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졌으며 공학, 사회과학, 예술학 등의 이종 학문들이 융합된 학제적 연구들도 찾아볼 수 있었다. 디지털 사이니지가 학문영역으로서 발전하기 위해서는 향후 이론연구를 포함한 다양성 확대가 필요하며 복수의 학문 분야가 융합한 공동연구 및 산학협동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지상파 DMB 데이터 방송에서 연동형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동기화 규약 설계 및 구현 (Protocol for Synchronized Application in Terrestrial DMB Data Broadcasting and its Implementation)

  • 정문열;이차원;남윤석;이광순;김광용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123-1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에서 비디오 영상과 데이터를 동기화 하는데 필요한 규약을 제안하고, 비디오와 데이터간의 동기화 규약을 생성하는 저작도구 구현을 기술한다. 기존의 아날로그 라디오 방송에서는 단순히 오디오만 청취할 수 있었던 것에 반해, DMB 방송에서는 비디오 영상과 관련된 정보들이 결합하여 시청자의 의견이 즉각 방송에 반영 가능한 인터랙티브 TV 프로그램을 시청 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퀴즈 쇼에서 출제된 문제(데이터)들이 비디오 영상과 동기를 맞추는 것이 가능해 짐에 따라 시청자도 퀴즈 쇼 출연자와 동시에 같은 문제를 풀 수도 있고 정답을 바로 응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위와 같이 비디오 영상과 동기화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비디오와 데이터간의 동기를 이루어 낼 수 있는 기준 시간 즉 동기화 시간의 설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동기화 시간으로 사용 가능한 시간 값으로는 DMB의 한 서비스 형태인 Slide-Show Application 에서 사용되는 UTC를 이용하는 방법, 혹은 비디오 영상의 CTS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와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위해서는 UTC가 적합하지 않고 CTS를 사용해야 된다는 것을 보이고, CTS를 이용하는 동기화 규약을 생성하는 저작도구를 기술한다.

  • PDF

인터랙티브 미디어 플랫폼 콕스에 제공될 4가지 얼굴 변형 기술의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Four Face Swapping Models for Interactive Media Platform COX)

  • 전호범;고현관;이선경;송복득;김채규;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35-546
    • /
    • 2019
  • 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the whole face replacement system, but it is not easy to obtain stable results due to various attitudes, angles and facial diversity. To produce a natural synthesis result when replacing the face shown in the video image, technologies such as face area detection, feature extraction, face alignment, face area segmentation, 3D attitude adjustment and facial transposition should all operate at a precise level. And each technology must be able to be interdependently combined.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the technology and contribution to the system in facial replacement technology has increased in facial feature point extraction and facial alignment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e difficulty of the facial transposition technique and the three-dimensional posture adjustment technique were low, but showed the need for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four facial replacement models such as 2-D Faceswap, OpenPose, Deekfake, and Cycle GAN, which are suitable for the Cox platform. These models have the following features; i.e. these models include a suitable model for front face pose image conversion, face pose image with active body movement, and face movement with right and left side by 15 degree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DMB의 미디어와 기술 특성에 따른 DMB광고 유형과 종류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ypes of DMB advertising according to features of DMB Media)

  • 안종배
    • 벤처창업연구
    • /
    • 제3권4호
    • /
    • pp.59-88
    • /
    • 2008
  • 유비쿼터스시대의 이동미디어에 대한 수용자들의 욕구 충족과 국가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중요한 DMB시장의 성공을 위해서는 그 수익원이 되는 DMB광고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급한 현황이고 그 일환으로 DMB의 특성에 맞고 수익모델과 연계되는 다양한 DMB광고 유형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MB광고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꼭 필요한 DMB 특성에 적합한 DMB광고의 유형과 종류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뉴미디어 특성별로 어떤 광고 유형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DMB의 미디어적 특성과 광고 관련 기술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케이블방송, 인터넷, 모바일, 인터랙티브방송 등 뉴미디어들은 각기의 미디어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다양한 광고 유형을 개발하고 집행함으로써 광고의 수용성을 높이고 효과를 제고함으로써 뉴미디어 광고 시장이 활성화되고 이를 통해 해당 미디어의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탐색 연구 결과 DMB도 그 미디어적 특성과 광고 관련 기술적 특성을 통해 다양하고 효과적인 DMB 광고 유형과 종류를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DMB에서의 광고의 유형을 형태, 용도, 기법, 광고위치, 위치 찾기, 쿠폰 등 6가지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 유형별로 다양한 종류의 DMB광고가 개발될 수 있다는 것을 DMB광고 사례 개발을 통한 탐색 연구를 통해 밝혔다. 한편 본 연구 결과 가능성 차원에서 모색된 다양한 DMB광고 종류의 실제 집행을 통한 효율성 검증과 효과에 대한 조사 연구 등이 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인포그래픽 도구로서 디지털다이어그램 활용에 관한 연구 (The Application of Digital-Diagrams as Infographic Material in Multimedia Design)

  • 류시천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133-146
    • /
    • 2004
  • 다이어그램은 디자인 정보와 지식에 관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지원을 목적으로 디자인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결과 현재는 '디자인 과정의 개념과 방법을 증식' 시키는 '증식적 디자인 매체'로까지 그 역할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웹 컨텐츠, 인터랙티브 무비, DVD 타이틀과 같은 멀티미디어 디자인 분야에서 사용자 정보 이해를 손쉽게 지원하고 더 나아가 정보 획득 과정의 사용자 참여를 촉진시킬 목적으로 '디지털 다이어그램'이 적극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디자인에서 인포그래픽 유형에 해당하는 '디지털 다이어그램'의 본질이 무엇이고 컨텐츠 개발 프로세스에서 그 활용의 문제가 어떠한지를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인포그래픽 유형으로서 다이어그램의 본질과 기존 다이어그램과 비교되는 디지털 다이어그램의 정체성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지털 다이어그램의 활용 문제를 탐색하였다. 디지털 다이어그램은 그 정체성과 관련하여 기능적으로 '언어적 형식'에 바탕을 둔 '하이퍼텍스트'와 '그래픽적 형식'에 바탕을 둔 '상호작용성'을 핵심 속성으로 활용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따라서 의미론적으로'정보 표현의 층위를 세분화시켜 사용자의 정보 이해 폭을 확장시키고 더 나아가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사용자가 획득 '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멀티미디어 디자인 프로세스와 관련지어, 디지털 다이어그램은 '정보 사용자의 정보 획득 지원'에 바탕을 둔 '실체적 모델링'의 일환으로서 '인포메이션 디자이너'와 '네비게이션 디자이너'에 의해 활용되어 진다. 특히 인포메이션 디자이너는 정보 제시 기법을 위해서 그리고 네비게이션 디자이너는 인터페이스의 실질적인 기능 요소 구현을 목적으로 디지털 다이어그램을 활용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스마트 시티 구축을 위한 텔레스크린 서비스플랫폼 표준화동향 및 시장성 분석 (Analysis of Standardization Trend and Marketability with Tele-screen Service Platform for Smart City Foundation)

  • 박세환;최용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권2호
    • /
    • pp.71-75
    • /
    • 2015
  • 스마트 시티(Smart city) 구축을 위한 상호 의사소통 방법으로 차세대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텔레스크린(tele-screen)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주변상황과 사용자의 상태 정보 등을 수집, 분석함으로써 상황인지 기반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인터랙티브 텔레스크린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시티 서비스플랫폼의 가치, 표준화 동향, 국내외 시장성분석 정보를 제시한다. 텔레스크린 서비스 기술은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국내 전자정부 기술력을 전 세계에 확산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