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상적 자아이미지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스포츠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감정이 브랜드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orts Brand Self-Image Congruity and A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sion)

  • 임기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51-157
    • /
    • 2018
  • 이 연구는 스포츠 브랜드의 자아이미지 일치성과 감정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으로 총 329명의 표본을 조사하였다.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20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309명의 자료를 AMOS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결과, 스포츠 브랜드와 자아이미지 일치성 중 이상적 자아이미지는 브랜드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브랜드에 대한 감정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포츠 브랜드와 스포츠 소비자들의 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성을 관계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가능하며, 브랜드의 감정적 요소를 강화하여 스포츠 브랜드의 태도와 구매의도를 활성화위한 전략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프로야구 활성화를 위한 구단과 관중의 정서적 연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Solidarity of the Club and the Spectators for the Activation of Professional Baseball)

  • 김진국;양성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61-272
    • /
    • 2019
  • 본 연구는 프로야구 관중의 구단과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구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적 유대감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구단과 관중의 정서적 유대감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구단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야구 관람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450부의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 관중과 구단의 자아이미지 중 현실적 자아이미지 요인이 구단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실적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구단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현실적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적 유대감 형성이 이상적 자아이미지 일치성에는 영향력이 없고, 현재 구단이 보여주고 있는 현실적 자아이미지와 관련이 있음을 실증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보다 이러한 효과가 부각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소매점자산과 고객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tailer-Self Image Congruence on Retailer Equity and Repatronage Intention)

  • 한상린;홍성태;이성호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62
    • /
    • 2012
  • 최근 유통환경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속에서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고 유통시키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소매점자산을 증대시켜 고객을 획득하고 유지할 수 있는 차별화된 경쟁우위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대안으로 소매점 이미지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매점의 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이라는 요인과 고객기반 소매점자산과의 구조적관계를 조사하여 소비자들의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장 큰 학문적 기여점은 소매점자산에 영향을 주는 자아이미지일치성이라는 선행 요인을 찾아내는데 있으며, 또한 소매점자산이 재이용의도에 강력한 선행요인임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연구들이 보여준 Second-order Construct 유형의 소매점자산척도와 결과 변수간의 단일차원 인과관계가 아닌, 소매점자산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들과 재이용의도의 좀 더 구체적인 변수간의 구조적관계를 실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소매점과 자아의 이미지일치성을 두 가지 차원(실제 자아이미지일치성, 이상적 자아이미지일치성)으로 나누고 소매점자산의 구성요소인 소매점인지, 소매점연상, 지각된 소매점 품질, 소매점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자아이미지일치성을 토대로 평가된 소매점자산 요인들이 소매점의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소매점의 이미지의 관리와 투자에 대한 마케팅 측면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모델에 대한 분석결과 소매점-실제 자아이미지일치성과 소매점-이상적 자아이미지일치성 모두 모두 소매점자산 요인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중 이상적 자아이미지일치성이 소매점자산 요인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소매점자산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인들은 소비자의 소매점 재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겟 소비자들의 자아 이미지와 소매점의 상징적 이미지를 일치시키는 마케팅 노력을 통해 소비자들과 소매점 사이의 강력한 감정적 결속이 형성되어 해당 소매점의 자산을 높게 평가하고 지속적인 이용의도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여대생들의 웨딩드레스 이미지 선호도와 자아이미지 (Correlationship with Wedding Dress Image Preference and Self Imag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신은정;권혜숙
    • 복식
    • /
    • 제52권5호
    • /
    • pp.31-45
    • /
    • 2002
  • In this paper. the focus is laid on identifying preferred wedding dress image and its co-relationship with self imag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biggest potential customer group in the industry. As for the research method. it conducted both review of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method. Through the former approach, four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 1) What is the preferred wedding dress imag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ulcorner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self-image and preferred wedding dress image\ulcorner and 3) that between ideal self-image and preferred wedding dress image\ulcorner 4)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istency level of the two self-images and preferred wedding dress image\ulcorner In the empirical mode of research, 404 surveys were counted in the final analysis among 450 questionnaires completed by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Chun-an city. Collected data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scheffe test.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phisticated image was most preferred among female students, followed by elegant splendor. lovable and chaste, feminine and decorative, and characteristic and sexy image. This result indicates how wedding dress trend has a keen sensibility to general fashion trend just like the trend of outfits for everyday life. Secondly,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d consistent level of co-relationship among the real and ideal self-image and the preference of wedding dress image. And the last the level of consistence between the ideal self-image and the real self-image directly related to the preference level of wedding dress image, showing almost no significance.

실제적 자아이미지와 이상적 자아이미지 차이에 따른 여성 의류시장 세분화 (Segments of Female Apparel Market based on Difference Real-self Image and Ideal-self Image)

  • 조윤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503-510
    • /
    • 2003
  •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segments apparel market based on difference real-self image and ideal-self image. The objects of the study were to prepare for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y and alternative plan intended to users which are needed in subdivided market, after analyzing according to what the subdivided market is divided into due to the difference real-self image and idea-self image and what difference do they show as a demographic special quality or as a general active special quality in each subdivided market.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ading difference real-self image and ideal-self image, and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groups of respondents based on the delineated five image difference factors. Based on the finding, three distinct groups were formed: ideal-self image seeker group, moderators group, real-self image seeker group. An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the relative importance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lay in determining the seg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Marketing and management implications for effectively targeting the segments are discussed.

자아 표현과 SNS 게시 형식: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을 중심으로 (Presentation of Self and SNS Posting Styles: Focusing on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 송승아;신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84-291
    • /
    • 2022
  • 사람들은 본인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도 그러한 수단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표현되는 자아의 유형을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에 등장하는 개념들에 기반하여 본연적, 이상적, 사회적 자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이 특정한 게시 형식을 갖는가에 대해 조사했다. 특히 게시 형식으로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해시태그의 사용에 주목하여 해시태그의 본문 혼용 여부, 해시태그의 숨김 기능 사용 여부, 그리고 해시태그에서의 용어의 특성에 주목했다. 인스타그램에서 수집한 450개의 게시물의 해시태그 사용 방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상적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에서는 해시태그를 숨기고(98%) 일상적 용어를 사용하는(97%)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결과는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사람들은 본인의 가면을 쓴 모습에 대해 더욱 섬세한 인상관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 분석 (The Content Analysis about Body Image in Adolescents of the Textbook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혜진;이유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87-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구성하는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가정과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과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마련하고, 형성 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을 통해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하여 신체이미지 교육 내용을 신체이미지의 개념과 구성요소, 신체이미지와 자아개념 형성, 신체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체관리행동 등 4가지로 범주화하였고, 이를 다시 신체이미지의 정의, 신체이미지의 구성요소, 자아존중감 형성, 자아개념 형성, 이상적 기준, 사회 문화적 요인, 합리적 신체관리행동, 신체관리 문제 행동 등 8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형성 모형의 범주화 및 세분화 항목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식생활, 의생활, 아동 가족생활 세 영역 모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영역 및 개별 교과서에 따라 신체이미지의 부분적 개념만을 제시하거나, 한 영역에서만 제시하였기 때문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사회 문화적 영향으로 인한 개인의 신체 인지 및 행동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의 총체적 학습을 위한 교과서의 통합적 내용 구성과 함께 교과서 내용의 균형이 필요할 것이다.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자아일치성이 애착과 브랜드자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congruity with Hallyu Human Brand on Attachment and Brand Equity)

  • 김은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37-550
    • /
    • 2023
  • 본 연구는 한류의 세계적인 확산으로 한류 휴먼브랜드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는 반면, 이를 중심으로 한 학술적인 논의가 많지 않다는 점에서 한류 휴먼브랜드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성을 자아일치성, 휴먼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자산 요인으로 검증하였다. 한류 소비가 많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403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류 휴먼브랜드와의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실제적 자아일치성은 한류 휴먼브랜드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자아일치성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은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식사태도가 우울감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on Depressive Mood and Suicide Ideation in Female Adolescents)

  • 송만규;하지현;박두흠;유승호;오정현;유재학
    • 정신신체의학
    • /
    • 제18권1호
    • /
    • pp.40-47
    • /
    • 2010
  • 연구목적 : 자기신체상은 자아존중감과 체중조절행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고 특히 여자 청소년에서는 중요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있다. 이 연구는 체질량지수로 측정한 신체이미지와 식이장애와 연관된 비정상식이행동이 우울증과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서울 한 지역의 고등학교 여학생 239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를 측정하고, 청소년을 위한 식이태도검사(Eating Attitude Test for Korean Adolescents), 자아존중감척도, 충동성척도, 벡 우울척도, 벡 자살사고 척도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대상에서 식이장애 위험군은 총 10%(24명)이었다.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상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었고 현재 체질량지수와 이상적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클수록 우울감, 자살사고, 비정상적 식이행동의 정도가 커지고 자아존중감은 낮아졌다. 그중에서 체질량지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가장 의미있는 예측인자였다. 결 론 : 연구대상군이 전체적으로 정상체중 범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체형과 이상적 체형사이의 괴리가 클수록 우울과 자살사고가 컸다. 여자 청소년의 식이장애 발생과 우울, 자살사고의 예방을 위해 체중조절, 정상식이습관에 대한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노년층여성의 의복 자아이미지와 선호 디자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othes Self-image and Clothes Design Preferences of Elderly Women)

  • 배현숙;유태순
    • 복식
    • /
    • 제50권2호
    • /
    • pp.151-165
    • /
    • 2000
  • This study was to find out clothing design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clothing self-image of elderly women and to grasp the variety on clothing of elderly women and thereby to help in merchandise production planning and putting the brands into markets and to provide data for establishing a sales strategy a d to itemize women with the goods which can satisfy the desire and taste of consumer groups in the quality market. For this purpose , various researches as above were conducte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a total of 488 elderly women above full 55 from an elderly women and who lived in downtown Pusan.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MANOVA, ANOVA , factors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nd the Cronbach α was also applied . The conclusions mad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s are as follows ; 1. The realistic self-image of clothing showed a similar pattern by age. 50's and 60's showed little difference by item but 70's was greater in variation between items compared to 60's. The response to each item was that most people answered "common" and they showed a pattern that responded low only in items of 'colorful' , individualistic', 'susceptible to fashion'. A similar pattern was shown by age band also in the ideal self-image and the response to each item appeared higher than in the realistic self-image , and also in items of 'colorful', 'individualistic ' , 'susceptible to fashion' the response appeared low and showed a unity. 2. The results of clothing design preferences examined on the self-image according to age are as follows ; 1) Fro jacket in the realistic self-image , 50's and 60's preferred 'tailed collar' , 'set-in sleeve', 'hips long' and 'plain jacket' and 70's agreed to the design preferences in the items except 'open collar' and also in the idealistic self-image ,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same. 2) For skirt in the realistic self-image , 50's and 60's preferred 'tight skirt', 'normal length' , 'plain skirt' and it was appeared that 70's preferred 'pleat skirt' , 'medium length' , 'plain skirt'. Also in the idealistic self-image ,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same. 3) For blouse in the realistic self-image, 50's preferred 'open collar', 'round neck line' , 'long set-in sleeve' , 'plain separation belt', 'open front', 'zipper' ad 60's agreed to the favorite designs with 50's except puff sleeve, and 70's appeared to prefer fastening buttons without belt. In the designs preferred in the idealistic self-image, 50's agreed with 50's of the realistic self-image and for 60's , the designs except puff sleeve type and no belt type agreed to 50's and 70's except puff sleeve agreed with 70's of the realistic self-image in their design preferen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