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ntation of Self and SNS Posting Styles: Focusing on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자아 표현과 SNS 게시 형식: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을 중심으로

  • 송승아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신형덕 (홍익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 Received : 2022.01.21
  • Accepted : 2022.03.07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People use various tools to present themselves including Social Network Services(SNS hereafter). This study categorized three types of presentation of self, which are genuine, ideal, and social self, and based on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investigated if these types of presentations have any patterns related to SNS posting styles.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styles of hashtags including if hashtags are used in the main tests, if hashtags are hidden, and what kinds of words are used for hashtags. Using 450 posting data uploaded to the Instagram, we found that the posting presenting ideal self show very high rate of using hidden hashtags(98%) and using common expressions(97%), which are not the case for genuine and social self types. This results imply that people concern more about their impressions especially when they present their ideal self on SNS, partially confirming Goffman's Impression Management Framework.

사람들은 본인의 자아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도 그러한 수단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표현되는 자아의 유형을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에 등장하는 개념들에 기반하여 본연적, 이상적, 사회적 자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이 특정한 게시 형식을 갖는가에 대해 조사했다. 특히 게시 형식으로서 텍스트와 이미지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해시태그의 사용에 주목하여 해시태그의 본문 혼용 여부, 해시태그의 숨김 기능 사용 여부, 그리고 해시태그에서의 용어의 특성에 주목했다. 인스타그램에서 수집한 450개의 게시물의 해시태그 사용 방식을 탐색적으로 조사한 결과 이상적 자아를 표현하는 게시물에서는 해시태그를 숨기고(98%) 일상적 용어를 사용하는(97%)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이 결과는 고프만의 인상관리 이론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사람들은 본인의 가면을 쓴 모습에 대해 더욱 섬세한 인상관리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유정, "웹 개인 미디어에서 사이버 자기표현,"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78-99, 2008.
  2. E. Goffman, 자아연출의 사회학, 진수미 역, 현암사, 2016.
  3. 박민영, "SNS를 통한 자기표현에 관한 연구: 인스타그램 중 이용자를 대상으로," 동서언로, 제48권, pp.29-48, 2020.
  4. 김유정,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자아노출과 자아속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21-31,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09.021
  5. 홍성인, 강정한, "인터넷 공간의 익명성이 집단 인상관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제30권, pp.77-114, 2016.
  6. 허정수, "인간적인 것이란 무엇인가? 헤겔과 마르크스의 인간관의 관점에서," 헤겔연구, 제24권, pp.205-227, 2008.
  7. 이수현, 한준, 홍규, "페이스북에서의 자아 연출관 인상 관리," 사회이론, 제46권, pp.293-335, 2014.
  8. 장현미, "고프먼 관점에 따른 자아의 유형화와 커뮤니케이션적 함의,"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10권, 제2호, pp.325-370, 2014.
  9. 임태섭, 정, 체면, 연출, 그리고 한국인의 인간관계, 한나래, 1995.
  10. 안상혁, "자크 라캉의 거울단계와 영상미디어의 매개과정과의 연관성," 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4호, pp.147-154, 2005.
  11. 최상진, 유승엽, "한국인의 체면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6권, 제2호, pp.137-157, 1992.
  12. 이정은, 신형덕,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의 게시글 정보가 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6호, pp.54-6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6.054
  13. 전혜선, 신형덕, "출판 만화 기업의 소셜 네워크 게시글의 속성이 소비자 호응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원, 제1호, pp.391-39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91
  14. 김휘택, "미셸 아담의 텍스트 이론," 텍스트언어학, 제26호, pp.161-188, 2009.
  15. 신명희, "개인미디어에서의 자기표현전략 및 미디어 운영 특성: 대학생의 블로그 이용동기와 성별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17권, 제3호, pp.33-59, 2009.
  16. 서화정, 허윤정, "융합적 관계로서의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관계성 분석 연구 - 광고 제작 수업을 통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7호, pp.155-162,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7.155
  17. 한승훈, "'쿨하다'와 '엽기적이다'의 다층적 의미에 관한 상위화용적 정보의 연구," 언어와 정보사회, 제20권, pp.261-283, 2013.
  18. 신상기, "욕망의 시각화, 셀프카메라(셀카)의 나르시시즘,"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4권, 제1호, pp.533-541, 2014. https://doi.org/10.17280/JDD.2014.14.1.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