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식 차이

검색결과 678건 처리시간 0.032초

아동의 환경의식과 처분행동에 관한연구 -도시와 농촌간의 비교연구- (The Comparison of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the Disposal Behavior Between the Urban Children and the Rural Children)

  • 강이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2호
    • /
    • pp.35-44
    • /
    • 1995
  • 본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환경의식과 처분행동을 조사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아동의 역할을 조명하고 조기환경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조사도구는 질문지를 이용하 였고 분석방법은 SA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환경의시과 처분행동의 차이는 ANOVA와 Tukey test를 지역간(도시, 농촌)의 차이는 t-test 와 $\chi$2 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도시 311부 농촌 299부로 총 610부였다 본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도시와 농촌간의 환경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인구통 계변수에 따른 환경의식은 생활수준과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주거형태별로 는 아파트 거주자가 높게 나타났다 3) 도시와 농촌간의 처분행동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 데 도시 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4) 인구통계변수에 따른 처분행동은 환경의식과 마찬가지로 소득과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았으며 아파트 거주자와 종교가 있느 아동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을 고려하는 행동양식의선행변수가 교육임을 재확인해주었다

  • PDF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 김창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33-334
    • /
    • 2019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봉사활동 경험과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것으로 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복지의식의 변화는 차이가 없으나 봉사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른 사회복지의식의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사회복지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재직자의 개인목표와 소명의식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Personal Goals and Perceptions of Calling)

  • 안윤정;서지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263-3274
    • /
    • 2013
  • 본 연구는 재직자의 개인목표에 따른 소명의식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금융업, 교육서비스업, 정보서비스업 등) 371명을 대상으로 개인목표와 소명의식에 대한 측정도구를 기준으로 설문조사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학력에 따라 개인목표의 독자성,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종교유무에 따라 개인목표의 사회적 책임감, 자원지원,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유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조직형태에 따라 개인목표의 독자성,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담당업무에 따라서 소명의식의 초월적 부름-존재,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개인목표의 자기주도적 사회관계목표에 해당하는 요인들의 상하 그룹에 따른 소명의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개인목표의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의 상하 그룹에 따라 소명의식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개인목표의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와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요인간의 상관이 높게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재직자의 소명의식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 사회관계목표의 중요성이 검증되었으며 조직 내에서도 재직자들이 자신의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갖도록 하는 목표를 인생전반에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제례의식의 인지도 조사연구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the Ritual Ceremony)

  • 김정미;김종군;장성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5-15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현대 제례문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부천과 안동지역을 중심으로 제례에 대한 의식에 관하여 조사하였고, 성별, 연령, 종교, 학력 등 일반 환경요인이 제례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현대 제례의식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제례에 대한 의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경향이었다. 종교, 성별,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종교가 불교일 경우와 남성의 경우 그리고 거주지역이 경북지역인 경우 제사음식의 상차림에 대한 전통전수와 후손들도 제사를 모셔야 한다는 의식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사상의 진설방법과 제사에서 축문 등의 절차와 의미의 인지 정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불교 신자, 기혼자, 그리고 맏며느리인 경우에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례에 대한 의식에 있어서 거주지역별, 종교, 성별, 연령, 결혼 여부, 학력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종교가 불교일 경우 제례에 대한 의식이 긍정적이고 전통적인 제례방식을 지키고 전수해야 한다는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기독교에서는 제사양식과는 다른 추도예배 형식으로 조상에 대한 예가 진행되는 경향으로 종교에 따른 형식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상과 같이 제례 의식은 개인의 일반 환경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시대 변화에 의한 영향보다는 그 지역의 전통적 사고 의식과 자연환경에 따라 전통성과 보수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반 환경요인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아 현대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제례 의식도 서서히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 (Differenc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Latent Profiles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Recognized by Corporate Workers)

  • 김영아;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33-545
    • /
    • 2021
  • 이 연구는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규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근로자 253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은 5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1번 집단은 합리문화가 높고 개발문화가 낮은(고합리-저개발 문화), 2번 집단은 합리문화가 상대적으로 높고 합의문화가 가장 낮은(고합리-저합의 문화), 3번 집단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가운데 합의문화가 높게 나타난(합의 문화), 4번 집단은 개발문화가 가장 높은(고개발 문화), 5번 집단은 위계문화가 가장 높은(고위계 문화)로 명명하였다. 조직문화 유형 인식에 따른 잠재집단별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성평등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고합리-저합의 문화, 고합리-저개발 문화, 고위계문화, 고합의 문화, 고개발 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합리문화에 대한 인식이 다른 문화에 대한 인식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프로파일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이 연구는 조직문화 유형과 양성평등의식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한 조직차원의 개입관련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xual consciousness, marriage consciousness, childbirth consciousness, and prospective parents' role

  • Lee, Hwa-Myung;Park, Hye Jin;Park, Hyo-Jin;Yoo, Eun-J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33-141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의식, 결혼의식과 출산의식 및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B시에 위치한 B,K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으로 G-POWER 3.1.9.2 program을 이용하여 ANOVA에서 유의수준(α) 0.05, 검정력(1-β) 0.8, 효과의 크기(fz)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의식은 평균 2.91±0.43점, 결혼의식은 3.27±0.40점, 출산의식은 3.32±0.43점, 예비부모역할은 3.35±0.35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성의식은 성별(t=6.910, p<.001), 연령(F=3.032 p=.030), 전공(F=5.402, p=.005), 부모성향(F=2.801, p=.027)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결혼의식은 가족구성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출산의식은 학년, 가족구성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예비부모역할은 학년, 가족구성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의 예비부모역할은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부모-자녀관계를 바탕으로 한 예비부모역할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고, 성의식, 결혼의식, 출산의식, 예비부모역할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된다.

대학생의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에 관한 연구 (Safety Awareness and Safety Practic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김상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79-289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를 분석하여 둘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대학교 학생 294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1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설문조사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안전의식은 평균 177.5점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안전의식이 가장 높은 분야는 화재 안전, 가장 낮은 분야는 응급처치 분야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중 성별(t=2.778, p=0.00)과, 학년(F=5.443, p=0.01)에 따라 안전의식 정도가 차이가 있었다. 안전의식 수준에 비해 안전 생활실천행위는 63.26점으로 중간점수이나 상대적으로 낮았다. 학년(F= 5.777, p=0.01)에 따라 안전실천에 차이가 있었다. 안전의식과 안전실천행위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95. p<.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안전교육과정의 확대와 활성화 및 안전의식과 안전실천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봉사 및 기부와 민주시민의식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ing/Donating and Democratic Civic Consciousness of Highschool Students in Seongnam City)

  • 박선하;박신혜;이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5-306
    • /
    • 2015
  •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교외봉사활동과 기부의 실태를 조사하고 봉사와 기부의 유무나 봉사활동의 형태에 따라서 민주시민의식이 달라지는지 탐구하기 위하여 일반고 1개와 외국어고 1개에서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외봉사활동과 금전적인 기부의 참여율에서 학교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별 차이는 유의하여서 여학생들의 참여율이 남학생들보다 높았다. 성남시 고등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수준은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교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민주시민의식을 각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민주주의 태도 평균이 민주주의 가치와 민주주의 참여 평균보다 높았으며, 외국어고 학생들의 민주주의 참여 평균이 일반고 학생들보다 높았다. 교외봉사활동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를 살펴보면, 일반고의 경우에만 교외봉사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평균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보다 높았다. 전체적으로, 교외봉사활동과 금전적인 기부에 참여하지 않는 그룹의 민주시민의식 평균이 낮았고 교외봉사활동에만 참여하는 그룹과 금전적인 기부만 하는 그룹간의 차이는 없었으므로 금전적인 기부는 자원봉사활동과 보충적인 대체관계가 될 수 있었다. 봉사활동 시간이나 기관 같이 민주시민의식 수준에 영향을 주는 단일 요인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동일한 기관에서 40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교외봉사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민주시민의식 수준이 높아서 봉사의 지속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전문가, 시민, 방문객 의식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ttitudes of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towards Busan Portscape)

  • 이한석;도근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47-254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항의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항만경관을 인식하는 사람을 전문가, 시민, 방문객으로 구분하고 부산항 항만 경관에 대한 각 그룹의 의식을 비교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해 세 그룹이 가지는 의식특성을 알아보고 그룹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식차이를 분석하며 항목별로 구체적인 의식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 항만경관의 개선 대책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문가, 시민, 방문객은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전문가그룹은 시민 및 방문객 그룹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시민과 방문객그룹 사이에는 의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항만경관의 개선 및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의식차이를 고려하여 두 그룹을 구분하고 각각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의견을 항만경관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정과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Instruction in Home Economic clas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 focused on the Unit of Design of Home Life -)

  • 배은주;이송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05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을 중심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여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식 함양과 양성평등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의 가정생활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 사회문화생활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남녀평등의식이 더 높게 나타나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전과 후 실험집단의 남녀평등의식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변화량이 비교집단의 변화량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실험집단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은 가정생황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황영역, 사회문화생황영역 4개 영역 모두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성차별 의식이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앞으로 지속적인 지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