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7.533

Differenc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Latent Profiles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Recognized by Corporate Workers  

Kim, Younga (상지대학교)
Lee, Jaeeun (상지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latent profiles based on corporate workers'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To achieve the study'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ere conducted using 253 Korean corporate workers'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atent profi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cognized by corporate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5 profiles. We named each profile as high compete-low create culture, high compete-low collaborate culture, collaborate culture, high create culture, and high control culture based on each profile's organizational culture perception. The ANOVA test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culture perception and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al-level intervention to improve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t will provide basic data for your research.
Keywords
Organizational Culture Typ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Latent Profile Analysis; Corporate work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elknap, Joanne, The Invisible Woman: Gender, Crime, and Justice, Belmont, CA: Wadsworth Group, 2001.
2 김태홍, 전기택, 주재선, 2010년 한국의 성평등 보고서, p.3 인용, 2010.
3 김운신, 남은우, "기독병원과 일반병원의 조직문화 특성에 따른 조직성과 분석," 병원경영학회논문지, Vol.4, No.2, pp.242-265, 1999.
4 U. S. Bititci, V. Martinez, P. Albores, and J. Parung, "Creating andmanaging value in collaborative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 Logistics Management, Vol.34, No.3-4, pp.251-268, 2004.   DOI
5 R. Goffee and G. Jones, "What Holds the Modern Company Together?," Harvard Business Review, Vol.74, pp.133-148, 1996.
6 R. E. Quinn and J. R. Kimberly,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1984.
7 조영택, 한국공무원 양성평등 인사정책분석 : 실태 및 인식도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8 김재인, 부모의 양성평등의식 프로그램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2001.
9 신은경, 초등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양성평등의식이 진로 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이정옥, 2019년도 양성평등정책 연차보고서,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 2020.
11 김혜영, "육.해.공사, 내년부터 양성평등교육 정규과목에 편성,"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 2019.
12 A. M. Khademian, Working With Culture: the Way the Job Gets, Done In Public Program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2002.
13 윤여흥, 송계충, "조직문화와 최고경영자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논문지, Vol.16, No.2, pp.65-100, 2013.
14 박상언, 한수정, "병원조직에 있어서 간호사들이 지각하는 조직문화 프로필과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병원조직을 대상으로 한 경쟁가치모형의 경험적 검증," 병영경영학회논문지, Vol.6, No.2, pp.86-114, 2001.
15 정혜윤, 채정현, "중학교 가정과 교사와 기술과 교사의 양성평등의식과 양성평등교육 실천도 차이," 한국가정과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pp.47-57, 2001.
16 R. Kilmann and M. Saxton, Kilmann-Saxton Culture-Gap Survey, Assessing actual versus desired Cultural Norms, ODS, 2011.
17 김민희, 이지혜, 오세희, "A교육청 조직문화 특성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논문지, Vol.29, No.3, pp.91-106, 2015.
18 장덕호, 백선희, "수석교사제의 수업중심 문화 조성에 관한 교원 인식 및 영향 요인,"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4, pp.345-371, 2014.
19 김양희, 이수연, "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여성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Vol.63, pp.136-156, 2002.
20 H. Y. Jung,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and disparity in the practice of gender equality in teaching among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teachers,"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1.
21 조옥라, 조혜정, 고정희, "한국페미니즘 작품 연구," 성곡논총, Vol.32, No.(하), pp.85-134, 2002.
22 A. G. Kaplan and M. Sedney, The Psychology and Sex Role, An Androgynous Perspective, 1989.
23 송정옥, 보건.복지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차별 경험이 임파워먼트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24 이갑숙, "공무원 양성평등의식 교육의 경험 및 태도 조사-대전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pp.342-351, 2010.   DOI
25 R. F. Korte and T. J. Chermack,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with scenarioplanning," Futures, Vol.39, No.6, pp.645-656, 2007.   DOI
26 L. Smircich, "Concepts of Culture and Organizational Analysi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8, No.3, pp.339-358, 1983.   DOI
27 J. M. Feldman and J. G. Lynch, "Self-Generated Validity and Other Effects of Measurement o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3, No.3, pp.421-435, 1988.   DOI
28 J. S. Ott, The Organizational Culture Perspective, Dorsey Press, 1989.
29 T. E. Deal and A. A. Kennedy, Co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 MA, Addison-Wesley, 1982.
30 박노윤, "조직문화와 전략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학연구논문지, Vol.26, No.2, pp.303-329, 1997.
31 강흥구, 조직문화가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32 R. F. Zammuto and J. Krakowe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 and Development, Vol.5, pp.83-114, 1991.
33 이정주, "지방공기업에서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하철 공사의 사례," 지방정부연구논문지, Vol.9, No.4, pp.71-93, 2005.
34 구혜경, 이하영, 진영은, "육군 간부의 군 조직문화 유형이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군사회복지학논문지, Vol.9, No.2, pp.115-146, 2016.
35 C. A. O'Reilly, J. A. Chatman, "Culture as social control: Corporations, cults, and commitment,"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8, pp.157-200, 1996.
36 M. Henderson, D. Thompson, and S. Henderson, Leading through values: Linkingcompany culture to business strategy, Auckland, HarperCollins, 2006.
37 A. M. Pettigrew,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4, No.4, pp.570-581, 1979.   DOI
38 권환진,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변혁적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9 R. Quinn and M.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competing values perspective," In P. Frost, L. Louis, and C. Martin(Eds), Organizational culture, pp.315-334, Berverly Hills, CA: Sage, 1985.
40 R. Parker and L. Bradley, "Organis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Evidence from Six Organis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Vol.13, pp.125-141, 2000.   DOI
41 안상수, 김인순, 김금미,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I): 검사 타당화 기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42 이재진, 조직문화의 인식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 분석 -서울지역 특1급 및 특2급 호텔종업원들의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3 권용주, 신정하, "호텔지배인의 리더십이 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논문지, Vol.19, pp.1-20, 2005.
44 이윤신, 박성희, "간호사가 인지하는 조직문화 유형과 언어폭력, 직무스트레스,"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 pp.292-304, 2015.
45 정승환, 김연정, 송영수, "기업의 조직문화가 조직에 서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pp.497-508, 2016.   DOI
46 노언경, 정송, 홍세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아동.청소년 비행 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 한국청소년연구논문지, Vol.25, No.4, pp.211-240, 2014.
47 이종욱, "군인들의 양성평등의식이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군사회복지학회논문지, Vol.11, No.2, pp.55-80, 2018.
48 Y. LO, N. Mendell, and D. Rubin, "Testing the number of components in a normal mixture," Biometrika, Vol.88, No.3, pp.767-778, 200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