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9초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Convergenc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Communication self efficac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Nursing students)

  • 정추영;서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71-280
    • /
    • 2017
  • 본 연구는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을 운영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9월 5일에서 12월 13일까지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의 1개 대학교 1학년 중 실험군 41명, 대조군 42명으로 총 83명이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 test 및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 실시 전후 두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t=15.23, p<.001), 의사소통 능력(t=11.42, p<.001) 및 대인관계(t=19.24, p<.001)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에 융복합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father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gender identity on self-efficacy of nursing college female students)

  • 강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00-309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여대생의 지각된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시의 간호학과 여학생으로 자료수집은 2016년 5월 23일부터 5월 27일까지 였고, 최종 270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은 $3.21{\pm}0.38$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경제상태(F=5.13, p=.006), 부와의 관계(F=4.74, p=.001), 성적(F=5.22, p=.006), 성만족(F=4.00, p=.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부와의 의사소통, 부의 정서표현, 성정체성,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개방적 의사소통(r=.30, p<.001), 긍정적 정서표현(r=.37, p<.001), 성정체성(r=.26,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 폐쇄적 의사소통(r=-22, p<.001), 부정적 정서표현(r=-.26,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의 긍정적 정서표현, 부정적 정서표현과 성정체성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8.2%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여대생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고, 자기효능감의 영향 요인에 대한 중재가 필요하다.

간호학과 신입생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 조혜경;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5-3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의사소통능력, 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협동동료교수 학과목에서의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분석한 결과, 외향적인 대상자와 토론선호도가 높은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았고(p=.01), 여학생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며(p=.03), 내향적이거나 중간 성격 대상자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외향적인 대상자보다 높았다(p=.01). 자가평가 학교성적별 '중상, 중, 중하집단'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상' 집단보다 높았으나 학업성취도는 '상' 집단이 높았다(p=.01).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간,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 간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협동동료교수 적용 학과목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2=0.058$, p<.05). 본 연구결과는 반복연구 후 대학 입학과 동시에 과중한 이론과 실습과목을 이수하며 전문직업인으로 성장해야 할 간호학과 신입생의 효과적인 학업적응지도지침 개발의 기초로 활용될 수 있다.

중년남성의 대인관계 만족도, 의사소통역량,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capacity, and self-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men)

  • 장정수;최동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62-72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남성의 대인관계 만족도, 의사소통역량, 자기효능감 정도를 파악하고, 중년남성의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다섯 개의 회사에 재직 중인 중년남성 208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t-test, 분산분석, Pearson's 상관계수 및 위계적 회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남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24.30, p=.000), 의사소통역량(β=.23, t=3.07, p=.002)과 자기효능감(β=.44, t=6.91, p=.000)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59.4%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남성의 의사소통역량 및 자기효능감 향상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Trai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Learning Self-Efficacy and Clinical Reasoning among Nursing Students)

  • 이지영;김경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53-361
    • /
    • 2024
  • 시뮬레이션 교육은 현장감있는 모의 상황에서 학습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직접간호 수행이 부족한 임상실습의 한계를 해결하여 간호대학생에게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을 습득하고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고충실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하곤란 대상자 간호 시나리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일개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 84명의 자료를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성은 2.64점(3점 만점)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습자기효능감, 임상추론역량 증진을 위해서 다양한 임상현장을 반영하여 실재감있는 시나리오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온라인을 통한 의사소통 교과목 수업의 효과: 융합적 교육방법 적용 (Effects of Online Communication Courses: Application of Convergent Education Method)

  • 최명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01-408
    • /
    • 2021
  • 본 연구는 역할극과 집단활동을 활용한 의사소통 교과목의 온라인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단일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며, 1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각 100분, 총 13회의 의사소통 교과목 수업을 진행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능력은 온라인 수업 이후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통해 간호대학생에게 다양한 교수법을 적용한 의사소통 교과목 수업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 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to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 윤미진;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433-440
    • /
    • 2018
  • 본 연구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교의 재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2일 부터 5월 20일 까지 실시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은 학년, 셀프리더십은 나이,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셀프리더십간의 상관성은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능력(r=.376, p=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상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이 셀프리더십을 14.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간호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돕고,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 개발과 방향 모색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lf-leadership in Nursing Students)

  • 황은휘;이소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718-172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G시 간호대학생 3학년 156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 실습만족도, 셀프리더십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영향요인으로는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임상실습만족도, 성적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활용한 간호대학 교과목에 적용과 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ositivity and Family Communic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etween Them among Long-Term Professional Soldiers)

  • 김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81-290
    • /
    • 2016
  •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국방부의 승인을 거친 직업군인들에 대한 연구에 대해 육 해 공 해병대 부대의 협조를 구하여 장기복무 직업군인 241명에게 설문조사를 거쳤으며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은 긍정성, 가족의사소통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에 대해 긍정성과 가족의사소통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기복무 직업군인의 조직몰입을 위한 효과적인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미치는 효과 : 일개 대학 2학년 학생 대상으로 (The Effect of Classes Applying Non-face-to-face Havruta's Activities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Immersion in Nursing Students)

  • 이지혜;문숙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79-88
    • /
    • 2022
  • 본 연구는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연구이다. 연구는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69명의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분석되었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적 통계로,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 전후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 전에 비하여 후에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이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비대면 하브루타 활동을 수업에 적용하고 싶은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