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3초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융합연구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2017년 3월13일부터 24일까지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 5점 만점 평균 $3.50{\pm}.41$, 의사소통 능력 $3.32{\pm}.38$,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3.00{\pm}.40$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r=.633, p<0.01), 의사소통 인식도와 자기효능감(r=.336, p<0.01),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r=.480,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융복합수강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on Self-Leadership)

  • 최지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1-38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간호대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31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SPSS Windo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여자이며,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고,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으며, 리더십 교육을 받았고, 리더 경험이 있다고 자신이 인식하는 경유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셀프리더십이 유의하게 높았다. 셀프리더십은 의사소통능력(r=.537), 학업적 자기효능감(r=.417)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의사소통 능력(${\beta}=.418$), 학업적 자기효능감(${\beta}=.187$)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2개 변인의 설명력은 33.3%(F=13.167, <.001)였다. 그러므로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을 통해 간호의 전문적인 목표 달성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집단활동을 활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urriculum were utilized Group Activ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among Nursing Student)

  • 봉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94-402
    • /
    • 2013
  • 본 연구는 집단활동을 활용하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집단활동을 활용하여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을 편성한 후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매주 100분씩, 13회기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을 운영하였다. 연구도구는 Shlein과 Guerney의 대인관계 측정도구와과 Ayres가 개발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61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고, PASW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집단활동을 활용한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교과목 운영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간호교육에서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근거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A Convergence Study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arent-Son/Daughter Communication on Addiction to Smartphones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Stress Level,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 이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163-172
    • /
    • 2016
  • 본 연구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이다. J도와 K도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232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과는 각각 (-)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스트레스 정도와는 (+)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스트레스 감소 및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병원 간호사의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within the Medical team and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 손현미;성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00-309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진 간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 두 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0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correlation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 & Kenny의 3단계절차를 이용한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여 Sobel test로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 간에 부적상관(r=-.22, p=.001)이 있었으며,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 간에는 정적상관(r=.61, p<.001), 자기효능감과 이직의도 간에는 부적상관(r=-.25, <.001)이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1단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지만(${\beta}=-0.22$, p<.001), 3단계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beta}=-0.11$, p=.194) 의사소통 능력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완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z=-2.15, p=.032). 따라서 본 연구결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것이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passionate Competence on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조정화;백경화;조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57-265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과 공감역량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8년 11월 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능력(r=.42, p<.001)과 공감역량(r=.47, p<.001)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입학동기, 전공에 대한 적응도, 실습 참여도, 공감역량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47.4%설명하였다(F=8.10, p<.001).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대학생의 실습참여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공감역량을 활용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중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관련성 (The Relevance betwee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among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이미라;정수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37-145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의 상관성과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충청남북도 3개 대학의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과 대학생 20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 만족도는 자기효능감(r=.337, p<0.001), 의사소통능력(r=.293, 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효능감도 의사소통능력(r=.634, p<0.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자기효능감, 학점 및 전공만족도였다. 설명력은 19.0%였다. 이에 치위생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임상실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교육요구도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Related Educational Needs)

  • 조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593-2601
    • /
    • 2015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및 의사소통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4년제 간호대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의사소통교육요구도 조사결과 대부분의 간호대학생(172명, 83.5%)은 임상실습 전 의사소통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역할극 형태의 수행중심의 의사소통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r=.408, p<.001),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r=.327,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임상실습 전 간호대학생의 대상자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위한 의사소통증진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11-3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7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을 적용한 후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이다. 2021년 10월 28일부터 11월 18일까지 4주 동안 A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4학년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t=2.87, p=.007), 의사소통능력(t=2.96, p=.005), 교육만족도(t=4.75, p=<.001)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