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장애

검색결과 256건 처리시간 0.021초

남자 중·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The Study of the Comparison on Factors Influencing Internet Game Addiction among 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권진;박지은;오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5-8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09년 한국 아동 청소년 온라인 게임 및 가족여가활동 실태 조사"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남자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공통적으로 평일 평균 게임시간과 일요일 및 공휴일 및 게임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 여가 장애 수준이 높을수록 게임중독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의사소통 변수 또한 게임중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학생의 경우 어머니와 문제형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경우 아버지와 문제형 의사소통과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올바른 인터넷 사용법 및 인터넷 게임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부모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태블릿 PC 기반 한국형 하이테크 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A Usability Testing on the Tablet PC-based Korean High-tech AAC Software)

  • 이희연;홍기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5-4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장애인을 위한 태블릿 PC기반 한국형 하이테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언어 및 문화적 상황과 의사소통장애인의 요구에 적합한 AAC 기기를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과제분석을 통해 선정된 시나리오 평가를 통해 한국형 하이테크 AAC 소프트웨어의 기능들(중도 지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판, 존대, 시제, 부정, 주부와 술부 연동, 자동문장생성)의 필요성과 용이성을 평가하였고, 반구조화된 질문들과 개방형 질문들을 통하여 전반적인 기능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대한 잠재적인 사용자의 선호도, 만족도를 평가하고 추가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 본 사용성 평가에는 특수교사 9명, 언어치료사 6명, 의사소통장애를 가진 아동의 학부모 6명으로 구성된 총 21명의 잠재적인 AAC사용자가 참여하였다. 태블릿 PC기반의 한국형 하이테크 AAC의 사용성 평가 결과, 대부분으 응답들이 5점 척도에서 4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으나, 시제와 부정 기능의 필요성과 실행 용이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시제/부정 기능과 존대 기능간의 비일관적인 작동방식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각 기능들의 UI 측면에서는 시각적인 피드백 강화, 기능키들의 작동방식의 일관화, 자연스러운 어휘 연동, 상징 내 텍스트의 띄어쓰기 등과 같은 요구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용성 평가 결과 및 잠재적 사용자의 피드백은 기존 AAC의 기능 및 UI의 개선과 보완을 위한 지침이 될 것이다.

  • PDF

장애연구에의 지적장애인의 참여를 둘러싼 쟁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ssues of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Research Process in Korea)

  • 김진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3호
    • /
    • pp.83-106
    • /
    • 2008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은 의사소통능력이 부족하고 진술에의 진실성을 담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과정에 이들을 포함시키는데 소극적인 입장에서 탈피, 지적장애인의 적극적인 참여 패러다임으로의 변화를 강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언어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능력의 부족'은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면접도구 개발과 대화분석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진술의 진실성'에 대해서는 사회적 실재의 재현(representation)을 둘러싼 다양한 질적연구방법을 개발하고 진술 의미를 재구조화함으로써, 그리고 무지에 따른 배제와 억압의 메커니즘은 지적장애인의 삶 드러내기를 통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 연구결과는 앞으로 장애정도별로 다양한 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이 개발되어야 하며 아울러 각종 정부연구용역에서 지적장애인이 연구과정에 포함되도록 하는 연구방법론의 변혁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 PDF

장애인 거주시설 물리치료사의 직무 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융합적 이직 요인 (The Convergence Factors of Turnover and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Physical Therapist in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on Job Commitment)

  • 정세훈;노효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1-139
    • /
    • 2022
  •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물리치료사들의 직무 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직요인을 알아보았다. 장애인 거주시설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 122명을 대상으로 직무 만족도(23문항)와 조직 몰입도(11문항)를 알아보았고 이직 요인 9문항, 일반적인 특성 7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였다. 연구결과, 장애인 거주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물리치료사의 직무 만족은 3.16, 조직 몰입도는 3.29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중 자부심, 상사 및 복지제도, 의사소통, 동료 요소가 정서적 몰입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들은 상사와 동료와의 불협화음, 근무환경 열악, 급여문제, 과다한 업무를 이직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장애인 거주시설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들의 조직 몰입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그들의 업무에 대한 존중과 상사와 동료와의 관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상 타이포그라피를 통한 소수자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연구 (한국영화에서의 감성전달을 중심으로) (Emotional Communication of Minority through Video Typography (Focus on Emotional Communication in Korean Movie))

  • 권상오;허원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56-366
    • /
    • 2008
  • 영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그동안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었던 장애우에게 자신의 관심 또는 상황을 타인과 교환할 수 있게 하여 사회적 소외감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발달이 정보 접근에는 용이해졌다고 할 수 있으나 사회 현실적으로 많은 미비점을 남기고 있으며 감성 접근 측면에서는 더욱 부족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21세기 정보사회에 있어서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는 감성 소통을 위해 영상 타이포그라피를 이용하여 보는 것은 가능하나 들을 수 없는 청각 장애우들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각적인 반응으로만 메시지를 이해해야하는 청각장애우들의 청각적 감성을 보조하기 위해 영상타이포를 제안하였으며 비주얼만으로 전달하기 어려운 감성의 포인트를 영상타이포의 활용으로 명확하게 전달하여 그들과의 감정커뮤니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청각행동특성과 사회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uditory Behavioral Characteristic and the Social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장기연;이헌주;김길순;라대엽;장애정;신숙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2
    • /
    • 2014
  •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처리유형, 청각행동특성, 사회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만 2~14세까지의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 받거나 의심되는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6월까지 실험하였다. 검사도구는 감각력검사, 청각행동특성검사, 이화자폐아동 행동발달평가검사, 사회성숙도검사, 학교기능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처리는 청각행동특성에서 학령전 아동은 배경소음속듣기와 학령기 아동은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둘째, 배경소음속듣기와 의사소통은 아동의 사회성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AAC를 통해 알아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의사 (Intention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Identified by AAC)

  • 김남숙;박주홍;김보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427-434
    • /
    • 2021
  • 본 연구는 보완대체의사소통(AAC)를 통해 지역사회 자립생활 지원에 기초자료가 될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의사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발달장애인에 포용적인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기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7일부터 9월 11일까지, 훈련된 조사원이, AAC 설문지를 활용하여 발달장애인 전문기관에서 추천받은 당사자 74명을 대상으로 1:1 면접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으로 빈도분석, 교차분석, T검정 분석했다. 그 결과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에는 주거와 취업 등 지역사회 차원의 여건 조성, 적성과 기호를 고려한 일자리 등이 중요하며 시민으로서의 권리행사 등 사회참여에 대한 기대와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대리인을 통한 연구결과와 다른 것으로, 향후 발달장애인 지원정책이 의사결정 지원에 의한 당사자의 욕구에 기초하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지역사회 안에서 살아가는 일상적 삶'을 지향해야 함을 보여준다.

치매 환자와 간호사의 의사소통에 관한 대화분석 (A Conversation Analysis of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Professional Nurses)

  • 이명선;이봉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1253-126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onversations and to identify typical conversational problem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with dementia. Method: A conversation analysis method was used. The data was collected in a geriatric institutional setting, using a videotape recorder,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as analyzed in terms of expressions, contents, and relationships to identify communicative problems and their resolutions, Results: Among a total of 532 episodes, 440(82.7%) we're identified as nurse-involved episodes. In addition, 66 of the 440 episod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the conversation. The communicative problem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in terms of expressions were identified as 'directive and authoritative expressions', 'emotional and competitive expressions', 'evasive and on-looking expressions', and 'excessive use of title only', such as calling them granny or grandpa without proper names. In terms of content and relationships, 'lack of themes in psychosocial areas' and 'nurse-led relations'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as communicative problem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ubstantial guidelines for nurses in caring for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by deeply understanding linguistic structures and problems of everyday conversations between nurses and patients with dementia.

중년여성의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xu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 김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386-395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성기능, 성 의사소통 및 성만족 정도를 파악하고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년 여성의 성건강 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으며, 2012년 10월부터 2013년 1월에 걸쳐 국내 4개 도시에 거주하는 40세~60세의 중년여성 12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성기능, 성 의사소통 및 교육 수준이 중년 여성의 성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나 성기능 정도와 성 의사소통 정도가 높은 경우와 높은 교육 수준을 가진 경우에 성만족 정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 대상자의 73%가 성기능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년 여성이 발달적, 상황적 변화에 더불어 사회경제적 변화로 인해 성건강을 위협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년 여성의 성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의 인식이 부족함과 더불어 사회적 차원의 자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의료인은 여성 성기능 장애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과 적극적인 해결방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 관련 문제 해결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농촌지역 중학생의 섭식장애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 김계하;양경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5-63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ere were 267 adolescents taken as participants from two middle schools in rural area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July 2005, using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questionnaire (23 item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10 items for open family communication, 10 items for problem in family communication). The SPSS Win version 12.0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mean score on the eating disorder was 2.74 (range: 1-6). Meanwhile, the mean scores on th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was 3.37 (range: 1-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gender, age, negativ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body weight, family's perception of obesity, diet experiences, and BMI. Eating disord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disorders and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 order to prevent an eating disorder, education and training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should be provided to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