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청각행동특성과 사회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uditory Behavioral Characteristic and the Social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투고 : 2014.11.03
  • 심사 : 2014.12.02
  • 발행 : 2014.12.31

초록

목적: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처리유형, 청각행동특성, 사회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만 2~14세까지의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 받거나 의심되는 아동 26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6월까지 실험하였다. 검사도구는 감각력검사, 청각행동특성검사, 이화자폐아동 행동발달평가검사, 사회성숙도검사, 학교기능검사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처리는 청각행동특성에서 학령전 아동은 배경소음속듣기와 학령기 아동은 의사소통과 통계적으로 유의미 했다. 둘째, 배경소음속듣기와 의사소통은 아동의 사회성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bout what autistic-spectrum disorder child's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y process types, the auditory behavioral characteristic and sociality Methods : The study performed from May to June, 2014. Targeting 15 children diagnosed as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and other 11 children suspected as having the autistic spectrum disorder in their ages of full 2-14 years old. This study used the Auditory Behavioral Checklist, Ewha-Check List for Autistic Children, Social Maturity Scale, School Function Assessment and sensory profile. For the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SPSS 18.0. Results :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y process type and the auditory behavior, the preschool children and the school children showed some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hearing in the background noise and the communication, respectively. Second, the hearing in the background noise and the communication showed some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sociality. Conclusion : The occupational therapists need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with sensory diet to improve soci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자현, 강혜진, 김자경. (2011). 청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기술 수준과 공감 능력 비교. 특수아동교육연구, 13(1), 323-339.
  2. 김명희. (2004). 발달장애학생의 감각처리능력과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과제 수행능력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3. 김미혜, 이근호. (2012). 전반적 발달장애아의 자폐 성향 및 자폐정도에 따른 감각처리 비교. 대한 작업치료학회, 20(2), 127-136.
  4. 김성미. (2007). 자폐적 장애와 반응성 애착장애의 자폐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ADOS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신대학교, 오산.
  5. 김소영, 김은영, 박진선, 전서현, 장문영. (2013). 청소년들의 감각처리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감, 자아존중감과의 비교.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11(1), 39-49.
  6. 김승국. (1998). 사회성숙도 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7. 김유경. (2008). 청각처리장애 위험군 아동의 언어적 청각처리 특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구.
  8. 김은경. (2008). 유아의 신체활동프로그램 참여가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경기.
  9. 김주영. (2004). 정상 아동과 PDD 아동을 대상으로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기질 및 놀이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10. 김진경, 최종덕, 이택영. (2007) 성인의 감각 처리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 15(3), 117-125.
  11. 김충기. (1986). 청년 발달심리학. 서울: 세광출판사.
  12. 김태련, 박랑규. (1996). 이화-자폐아동 행동 발달 평가 도구.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13. 김향지. (2003).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 능력 특성 모형: 개념 및 구성요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학 연구, 38(3), 81-98.
  14. 박은영. (2009). 통합학급 자폐아동의 특성에 맞는 학급 활동이 언어적 상호작용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청주교육대학교, 청주.
  15. 박정현. (2012). 청각장애인 청년이 경험하는 비장애 인과의 대인관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16. 박주연. (2012). 발달장애아동의 감각통합기능 및 일상 생활활동.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17. 서영미. (2011). 저신장 치료아동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사회성.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부산.
  18. 석동일. (2009). 청각처리장애에 대한 다학문적 접근 고찰. 언어치료연구, 18(2), 85-104.
  19. 송혜영, 김은숙, 마여실, 왕세진. (1996). 자녀가 인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성취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家庭管理硏究. 15, 169-185.
  20. 신현기. (2003). 초등 통합학급 저학년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 신장 방안에 관한 반성적 고착. 재활복지, 7(2), 1-12.
  21. 안미영. (2001). ADHD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이 행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서울.
  22. 오원석. (2011). 통합학급 장애학생관련 변인에 따른 대인관계 특성 및 사회적 참여분석. 특수교육저널, 12(2), 177-209.
  23. 임진숙. (2008). 남녀 아동의 정서와 독립성/의존성이 주관적 안녕감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충남.
  24. 장현숙, 김유경, 이효자, 송영준. (2012). 청각행동특성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아산: 국립특수교육원.
  25. 전숙자. (1983). 아동의 가정환경 변인과 사회성과의 상관관계. 숭의논총, 17, 130-134.
  26. 조소현. (2010). 초등학생의 사회성숙도와 또래간 갈등 해결전략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충북.
  27. 최성철. (2003).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장애아동의 사회 성숙도와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대전.
  28. 한성숙, 정미양, 김동일. (2013). 통합교육을 위한 자폐학생의 청각처리과정에 관한 신경생리학적 연구.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693-696.
  29. 한인자. (1988).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자녀들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익산.
  30. Ahn, R., Miller, L., Milbergat, S., & McIntosh, D. (2004). Prevalence of parents' perceptions of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among kindergarte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8(3), 287-293. https://doi.org/10.5014/ajot.58.3.287
  31. Ayres, A. J. (1979). sensory integration and child. L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2. Baumrind, D. (1973). The development of instrumental competence through socializ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33. Blackman, L. (1999). Lucy's story. Brisbane, Bookin- Hand.
  34. Brown, C., & Dunn, W. (2002). 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User's Manual. Tucson, AZ: Therapy Skill Builders.
  35. Bundy, A. C., Lane, S. J., & Murray, E. A. (2002).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hiladelphia: F.A. Davis.
  36. Coster, W. J. (1998). Occupation-centered assessment of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 337-344 https://doi.org/10.5014/ajot.52.5.337
  37. Dunn, W., & Western K. (1997). The sensory profile: The performance of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1, 25-34. https://doi.org/10.5014/ajot.51.1.25
  38. Dunn, W. (1999). Sensory profile: User's manua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39. Elksnin, L. K., & Elksnin, N. (1995). Assessment and instruction of social skills (2nd ed.).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
  40. Ermer, J., & Dunn, W. (1998). The Sensory Profile: A discriminant analysi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2(4), 283-290. https://doi.org/10.5014/ajot.52.4.283
  41. Fisher, A. G., & Murray, E. A. (1991). Introduction to sensory integration theory.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pp. 3-26). Philadelphia: F.A. Davis.
  42. Gresham, F., M., Sugai, G., & Horner, R. H. (2001). Interpreting outcomes of social skills training for students with high-incidence disabilities. Exceptional Children, 67(3), 331-344. https://doi.org/10.1177/001440290106700303
  43. O'Neill, M., & Jones, R. S. (1997). Sensoryperceptual abnormalities in autism: A case for more research?.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7(3), 283-293. https://doi.org/10.1023/A:1025850431170
  44. Paul, P. V., & Jackson, D. W. (1993). Toward a psychology of deafness. Needham Heights, MA: Alyn & Bacon.
  45. Richard, G. J. (2001). The source for processing disorders. IL: LinguiSystems, Inc.
  46. Schopler, E., Reichler, R., & Renner, B. (1996). The childhood autism ration scale (CARS). New York: Irvigton.
  47. Tan, P. C. (2002). Prevalence of sensory processing difficulties and school function in Singapore. Los Ange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피인용 문헌

  1. Application of Occupation-Based Practice for Neurodevelopmental Children’s Subway Use vol.26, pp.4, 2018, https://doi.org/10.14519/jksot.2018.26.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