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료기관 종사자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2초

폭력 손상과 일부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for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Violence Victim)

  • 김재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15-421
    • /
    • 2012
  •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인 폭력에 의한 손상의 양상을 파악하고 사회경제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정책개발 및 예방 사업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의료기관 기반 손상감시체계인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폭력에 의한 손상과 그 외 손상의 양상을 비교하였고, 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을 상호 통제한 후 로지스틱 회귀분석 하였다. 여성이 남성보다 폭력에 의한 손상에 노출될 위험이 컸고, 나이는 적을수록 폭력에 의한 손상의 위험이 컸다. 고학력일수록 폭력에 노출될 확률이 적었고, 직업별로는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무직, 단순노무 종사자 순으로 위험이 컸다. 손상의 결과가 전원, 입원, 사망일 확률은 남성, 60대, 대학 이상의 교육수준,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에서 높았지만, 상관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사회경제적 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직업)의 차이가 폭력으로 인한 손상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용 방사선 피폭에 관한 환자 및 종사자간 인식도 비교 (Perceptions of Patients and Radiologists on Exposure to Diagnostic Radiation)

  • 김갑중;홍지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이보우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1072-1075
    • /
    • 2011
  • 이 연구는 진단용 방사선피폭에 대한 환자 및 종사자의 방사선 인식도, 방사선 지식정도, 방사선 피폭의 유해성, 진단방사선의 필요성, 방사선의 피폭방지, 정보파악의 유무 및 파악경로, 방사선 검사 시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2010년 10월 25일부터 11월 10일까지 일개 광역시 소재하는 종합병원 및 의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와 2주내에 진단 방사선을 이용한 해당 의료기관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총 347부의 유효설문지를 사용 하였다. 방사선에 대한 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직업, 2년내 건강검진 경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경험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2년내 교육이수 경험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에 대한 지식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2년내 건강검진 경험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연령, 근무기관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의 유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성별, 2년내 건강검진 경험, 정보매체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근무기관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월소득, 거주지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결혼상태, 피폭선량계 착용여부, 환자에게 피폭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피폭방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직업, 월소득, 2년 내 건강검진 경험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환자에게 피폭에 대한 설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검사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의 경우, 방사선에 대한 피폭설명을 들은 경험, 직업으로 나타났고, 근무자의 경우, 연령, 경력, 2년내 교육이수 경험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방사선 종사자들도 방사선의 위해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하게 하여 방사선 방어를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용 방사선의 특성에 맞는 방사선 안전 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방사선 종사자 스스로 방사선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치과의료 질 향상활동 현황과 개선활동 만족도 (Conditions and Performance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in Korean Dental Hospitals)

  • 김한나;김호;김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59-36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치과의료 QI 활동이 활발할 가능성이 있는 21개 대표적인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QI 활동의 개괄적인 현황을 조사하고, 동시에 그 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전체를 대상으로 치과의료 QI 활동의 시행 실태 및 QI 활동시행 후 개선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QI 활동의 활성화 요인과 저해요인 등을 알아봄으로써 치과의료 QI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QI 활동 주제별 시행률은 외부고객만족 주제가 59.9%로 가장 높았고 비용절감 59.4%, 의료의 질 향상 58.8%, 위험관리 52.8%, 업무효율성 향상 46.5%의 순으로 나타났다. 2. QI 활동 시행 후 개선 효과에 대한 만족도 점수는 비용절감 3.68점, 의료 질 향상 3.66점, 위험관리 3.65점, 외부고객만족 3.61점, 업무 효율성 향상 3.45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의료기관 종류별 비교에서는 일반(종합)병원의 QI 활동 시행률이 유의하게 높았고 만족도 점수에서는 치과대학병원이 여러 항목에서 낮은 만족도 점수를 보였다. 4. 가장 많은 응답자가 지적한 QI 활동을 활성화 하는 요인은 병원종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QI 활동의 인력과 예산 부족이 있다. 결론적으로 치과의료 QI 활동은 외부고객만족도 등 가시적인 효과가 용이하게 나타나는 주제에 집중되는 반면 복잡하고 가시적인 효과가 빠른 시간 내에 나타나기 어려운 주제에 대한 QI 활동은 소홀한 경향이 있으므로 균형 있는 사업 시행을 도모하고 QI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지식, 인식과 실천 (Hospital Employees'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 정지나;문인오
    • 대한한의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3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spital employees'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 total of 250 hospital employee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t sampling in J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ire 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verage score for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education, hospital size and there was a correlation among knowledge, recognition and pract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for hospital employees.

  • PDF

장애관련 자료의 정보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Need of Materials Related to Disability)

  • 장우권;박성우;정대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7-181
    • /
    • 2016
  • 이 연구는 장애인 본인 및 가족, 관련자 등 장애 관련 다양한 이용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장애관련 정보를 파악과 함께 정보유형에 따른 이용자들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이용자 맞춤형 정보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장애인, 장애인보호자, 장애기관 종사자, 장애인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및 장애 관련자들의 주요정보원은 일반포털 사이트이며, 중요 정보유형은 구인구직정보, 이동편의(교통)정보, 의료기관 정보 등이다. 또한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정보의 중요성이 낮고 자료의 획득도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장애유형에 따라서 중요 정보유형 및 획득의 용이성이 차이가 나타났다.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들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Influencing Understanding on Patient Safety Culture in General Hospital Employees)

  • 정상진;류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81-289
    • /
    • 2017
  • 본 연구는 일 지역 종합병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환자 안전문화의 인식 정도와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조사는 G 광역시 소재 5개 종합병원으로 의료기관 인증 평가를 받고 인증된 종합병원 종사자 343명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12일부터 2017년 4월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t-검정과 분산분석, 사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환자 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27{\pm}.27$7점 이었으며, 환자 안전문화 하위 영역별 인식 점수로는 사고횟수 인식이 가장 높았고 직속상관 및 관리자 안전 인식이 가장 낮았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병원 근무경력, 현부서 근무경력, 직업(전문)경력, 근무부서, 환자접촉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병원근무 경력, 직업경력, 현부서 근무 경력이 짧을수록 인식이 높았고, 직접접촉자에 비해 간접접촉 종사자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높았다. 환자 안전문화 인식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병원경력에서 11년 이상, 6-10년이었고, 근무부서에서는 병동 종사자이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종합병원에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사자의 환자 안전문화 인식이 중요하다.

포괄수가제 확대시행에 따른 의료기관 종사자의 인지도 조사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Diagnosis Related Group in Healthcare Workers)

  • 박지경;이고은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3-25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in healthcare worker's recognition of diagnosis related group(below; DRG) effect from July 1, 2012, to examine their recognition, expectation of the DRG system,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enforcement of the settl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workers at clinics and hospitals sampled from hospital with DRG applying 7 diseases in Busan and Kyung-nam. A questionnaire of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ubjects working at clinics and hospitals from July, 25, 2012 to September 7, 2012, an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doctors, officers,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nurse assistants, and a total of 618 subjec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In the result of this study, generally, the healthcare workers recognized the DRG system. But their knowledge about that was not clear. Expanding enforcement DRG system at the present time,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to the healthcare consumer, workers need to know about DRG system clearly. To this end, for national health policy and medical institutions, workers should be educated constantly about providing medical service as well as the duty of enough explanation about the healthcare consumer's right to know.

의료기관 종사자의 조직효과성 관련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Healthcare Employees)

  • 송명규;김원중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7-50
    • /
    • 201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meta-analysis was to draw overall conclusion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E) of healthcare employees and related factors by summarizing recent studies and to provide a baseline for future research. Methods : A literature search for original articles published from 2005 to 2014 including doctoral theses and KCI journal articles was done in KERIS' RISS, etc. in a systematic manner. From 77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on criteria 190 effect sizes (ESs) were calculated for the analysis. A meta-analysis was done with CMA 3 (Biostat company, USA). Results : The overall ES was moderate for all, positively and negatively related factors. For all related factors, job characteristics, group-leader relations, person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had a moderate ES. The ES for work experiences was small. Conclusions :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meaningful it is necessary to perform follow-up analyses (1) based on a longer data period and more articles, (2) including moderating variables with higher explanatory power and (3) adopting a study model with more specific and simplified variables.

의료기관 인증 후 요양병원 종사자의 만족도가 환자의 안전과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Among Convalescent Hospital Staff Member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fter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 정연자;최성우;박종;한미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9-51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mong convalescent hospital staff member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fter the certific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ven convalescent hospitals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which were certified as medical institutions for convalescent hospitals by the end of May 2017, The study period lasted from July 24, 2017 to August 22, 2017.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aff member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r = 0.586, p<0.001).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aff member satisfaction (${\beta}=0.531$, p<0.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and showed 46.9% explanatory power. Conclusions: The satisfaction of the convalescent hospital staff after the certification of the medical institution positively affect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care.

소방활동방해죄의 의미와 구성요건 개선에 관한 검토 -119구급활동 방해를 중심으로- (A Review on the Improvement of the Meaning and Composition Requirements of Interference with Fire Protection Activities - Focusing on Interference with 119 EMS Activities -)

  • 홍영표
    • 의료법학
    • /
    • 제24권3호
    • /
    • pp.105-124
    • /
    • 2023
  • 현대 사회는 뜻밖의 사고와 위험 상황으로 불안정한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예를 들어 분당 다리 붕괴사고와 이태원 압사사고 등이 그 예가 될 것이다. 이와 함께 급성심정지나 뇌졸중과 같은 중대한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조치와 전문 의료 기관으로의 원활한 이송이 필요한 경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요소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119구급대는 응급 의료 시스템 중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중대한 외상 환자나 중증 질환 환자의 응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손상을 최소화하고, 응급의료 기관으로 신속하게 이송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 그 목표이다. 이와 관련된 핵심 활동이 구급활동인 것이다. 특히, 119구급시스템은 응급 환자의 병원 이송을 책임지는 핵심 기관이나, 구급대원들은 업무수행 중 구급활동 방해 사례에 여전히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방해 사례는 경찰의 협조 노력에도 불구하고 줄어들지 않고 있고, 구급활동은 공무집행 방해죄와 유사한 특성을 지니며, 응급의료 시스템 내에서 근무하는 응급의료 종사자에 대한 폭행 및 장비 파손과 같은 사례와도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따라서 119구급시스템을 포함한 응급 의료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해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소방기본법"과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구급활동 방해죄의 조건을 정립하고 개선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