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음악교사교육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초

유아교사가 새노래 지도에 사용하는 동요 분석 (Analysis on Children's Songs Utilized in New-Song-Learning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유소영;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99-304
    • /
    • 2021
  •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유아교사가 새노래 지도에 사용하는 동요를 조사하고 상위빈도 동요의 악곡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20명을 임의표집하여 연간 새노래 지도에 사용하는 동요를 조사했다. SPSS 25.0을 사용하여 상위빈도 20위의 동요를 추출했으며, 일반적 특성(장르, 주제) 및 음악적 특성(조성, 박자, 형식, 음역)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가 새노래 지도에 사용하는 동요를 조사한 결과 「가을길」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겨울바람」, 「허수아비 아저씨」, 「수박파티」, 「코스모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위빈도 20위의 동요를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인 장르는 창작동요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주제로는 계절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음악적 특성을 살펴보면, 조성은 다장조, 박자는 4/4박자가 가장 많았으며, 형식으로는 세도막형식과 작은세도막형식, 음역으로는 c' - c"와 c' - d"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ICT 기반 초등학교 가락짓기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CT-based Elementary Education for Musical Composition Using Multimedia)

  • 정화영;곽노윤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13-218
    • /
    • 2004
  •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ICT 기반 초등학교 가락짓기 교육의 유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컴퓨터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더불어 눈부신 발전을 보이고 있는 멀티미디어 기술은 음악 교과가 가진 특성과 맞물려 음악 교육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생의 음악적 기능과 지식의 발달을 충족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과 학생들이 교육과 학습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락짓기 교육에 ICT 기반 음악 교육을 도입할 경우 그 교육적 효과가 지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논문의 ICT기반 가락짓기 교육 방법은 전통적인 이론 학습과 악기를 활용한 가락짓기 수업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초등학생에게 컴퓨터 프로그램 사용법을 지도한 후 음악 창작 수업에 이를 적용시킴으로써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비해 단시간에 효과를 극대화하고 교과서에서 제시된 수준 이상의 가락짓기 능력을 신장시켰다.

  • PDF

전문 음악교육을 위한 실용음악 정교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For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A Study on the Need for Practical Music Teacher Certification)

  • 조지훈;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0-187
    • /
    • 2021
  • TV 오디션 프로그램과 K-POP 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진로를 음악으로 정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음악수업을 받았고, 이후 대학의 실용음악과에 진학하게 된다. 지원생들이 많아지면서 대학교 실용음악과의 경쟁률이 기형적으로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많은 학생들은 어린 나이부터 음악을 시작하였고, 학원 등 사교육 기관을 통해 음악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 실용음악 관련 고등학교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고등학교를 실용음악 전문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실용음악 고등학교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바로 해당 음악을 전공한 전문교사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었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자가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교원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실용음악 전공자가 선택 가능한 방법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뿐이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은 클래식과 국악에 한정되어 있어 입학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다. 입학을 하여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대부분이 클래식과 국악교육에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어 실용음악전공자들에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고등학교의 현재 상황과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왜 필요한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아두이노를 활용한 자폐증 음악치료용 전자악기에 대한 연구 (Electronic Instruments for Music Therapy using Arduino)

  • 장동환;김시현;박진우;이성진;김대희;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7-379
    • /
    • 2021
  • 2006년에 진행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음악치료에 대한 특수교사와 음악치료사의 인식 조사 논문에 따르면 특수교육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며 치료 교육에 대한 학부모들의 수요 또한 늘어나는 것이 확인되었고, 2018년 특수학교의 음악교육 실태조사 연구논문에서 음악실과 기자재구비는 상승하였으나, 이동이 힘들거나, 동시 수업으로 인한 다양한 악기가 부족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악기를 이용한 자폐성 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 교육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결합한 모듈 개발을 진행하였다. 피에조 센서와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다양한 악기 소리를 설정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여러 악기를 체험할 수 있고 모듈화를 통하여 음악 치료를 위한 악기를 설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장애 아동의 음악 치료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PDF

교과교육 방법적 지식과 컴퓨터교사의 전문성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ofessional Knowledge of Computer Teachers)

  • 안미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5-143
    • /
    • 2001
  • 컴퓨터교육의 영역을 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그리고 컴퓨터활용교육으로 나눈다면, 컴퓨터교사의 지식은 교과내용에 대한 전문지식, 교과교육의 이해와 활용방법에 대한 지식을 주로 말한다. 그 중 교과교육학은 교수-학습을 위한 설계 및 운영과 평가를 말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교과교육학을 더 특성화된 지식으로 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교과교육방법(PCK)을 살펴보자 한다.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PCK에 대한 이해 정도와 교수능력은 학습자들의 학습효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사의 지식과 PCK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수학교육과 음악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과목이 서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하듯이 컴퓨터교육에서도 컴퓨터교과목의 특성과 방법적*상황적 지식을 포함하는 컴퓨터 교과교육방법적 지식(C-PCK)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지식의 하나로 C-PCK를 포함한 것을 제안하며, 앞으로 이어질 C-PCK에 대한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방법을 개선하고 컴퓨터교육의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구심점이 되며, 예비교사양성과정에서 이론과 실제의 격차를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가정환경변인과 유아교사변인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 정혜선;김수영
    • 아동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5-137
    • /
    • 2008
  •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environment and teacher variables on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Participants were 235 children, their parents and 13 teachers of kindergartens located in G city in Gyeongbuk Province. Instruments were the Primary Measurement of Music Audiation(Gordon, 1986), the Music Teaching Efficacy Instrument(Riggs & Enochs, 1990), and questionnaires about children's musical attitudes, home environment and music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 variables affected children's musical ability directly and indirectly and children's attitude affected their musical ability directly. Psychological and physical variables of the home environment affected children's musical ability and attitudes positively.

  • PDF

'오디' 음악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of study on Children's Responses to Audie Music Activity)

  • 윤은미;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41-65
    • /
    • 2007
  • 본 연구는 '오디' 음악활동을 통해 유아의 반응이 행동적 음악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만 5세 유아 24명을 연구대상으로 '오디' 음악활동을 주 2-3회씩 15주 총 3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반응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통해 3명의 유아를 선정하고 연구 보조자의 참여 관찰, VTR과 디지털 카메라 촬영, 연구자 저널 쓰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 초기에 교사가 육성으로 부르는 가사 없는 노래를 낯설어하고 반응이 없었던 유아들은 점차 교사가 노래를 시작하면 관심을 기울여 듣는 태도를 보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침묵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음과 리듬이 들리지 않아도 사고과정을 통해 마음속으로 인지하였으며, 소리가 들리지 않아도 마음속으로 노래를 기억하여 동작을 구사하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다양한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했으며, 또래간의 상호작용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활동 초기에 기다리지 못하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 활동을 방해했던 유아는 점차 자신을 조절하며 활동에 참여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획일적인 반응을 보이고 교사와 또래를 의식하고 모방하는 것에 그치며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던 유아는 활동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점차 음악의 즐거움을 자연스럽게 신체로 표현하고 신체의 여러 부분을 인식하고 스스로 조절해 가면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을 자발적으로 하게 되었다.

  • PDF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시스템 개발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music appreciation instruc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 김동일;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42-52
    • /
    • 2002
  • 효과적인 음악 감상 학습을 위해서는 음악 수업 시간의 감상뿐만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반복적인 음악 감상이 가능해야하며, 음악 감상 요소에 따른 다양한 멀티미디어 감상 학습 자료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단위 시간에 개별화되고 반복적인 감상 학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개별화된 감상 학습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에 필요한 학습 자료를 공유하고 음악 감상 학습 요소를 포함하는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요소를 분석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음악 감상학습이 가능하며, 또한, 온라인 상에서 학생이 올린 감상문을 교사가 평가함으로써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하여 즐거운 음악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음악 감상 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초등학교에 적용해 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Educational Usage of a Teaching Assistant Robot)

  • 한정혜;김동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55-161
    • /
    • 2006
  • 유비퀴터스 로봇은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 즉 HRI를 통해 정보매체로 진화하고 있음에 따라, 최근 들어 로봇을 이용한 학습은 다른 매체보다 친근하고 동기유발에 효과적으로 나타나 로봇의 교육적 활용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실에서 교육매체로서 교사 보조 로봇의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기 위해, 초등학생 6학년의 기대역할을 갖는 프로토타입 로봇을 설계 개발하여 영어, 음악, 국어교과목 수업에 활용하는 실험을 $4{\sim}5$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이 로봇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실험자의 의도와 일치하는지와 교육적 효과 제고에 기여를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동은 교사 보조 로봇을 자신보다 약간 높은 나이로 인식하고, 친근하지만 자신보다 우월하여 자신을 이끌어 줄 수 있는 역할을 기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 보조 로봇 활용이 교사와 아동의 흥미 유발에 있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 향후 교사 보조 로봇은 ICT 활용 교육의 또 다른 매체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유치원 아동의 음악소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sic activitics using audition on Music Aptitude development for Kindergarten Children)

  • 노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11-32
    • /
    • 2004
  • 에드윈 고든(Edwin E. Gordon)에 의하면 음악소질은 선천적인 자질과 후천적인 환경이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만 9세 이전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연하게 반응하여 환경이 좋으면 발달되고 환경이 나빠지면 수그러드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또한 9세 이후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고정음악소질의 시기에 놓인다. 본 연구는 유동음악소질의 시기에 경험하는 풍부한 음악적 교육환경의 제공시기가 이를수록, 또한 교육의 제공기간이 길수록 소질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더욱 크다는 음악학습이론의 가설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템플 대학의 음악학습이론 수업을 모델로 하여 설립된 유아음악감수성계발프로그램 "오디"가 계발한 오디에이션 음악활동이 음악소질에 미치는 교육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매주 30분 씩 연구자와 연구자 외 1인의 협력교사가 함께 아이들을 가르치는 Co-teaching 형식으로 음악지도의 형태가 아닌 음악안내의 교육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다양한 조성, 가사 없는 선율노래와 리듬노래, Free-Flowing Movement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동작, 개별적 반응활동인 패턴학습 등 음악학습이론의 원칙이 지켜졌으며 대그룹 수업을 위하여 오디가 발전시킨 새로운 수업전개방식과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험집단은 각각 1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과 만 4세 때부터 2년간 오디수업을 받은 만 5세 유치원 아동으로서 두 집단 모두 만 5세 때 고든의 오디에이션기초평가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Gordon, 1979)을 사용하여 학년초, 중, 학년말 등 3회에 걸쳐 음악소질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오디의 활동을 5세 동안 1년 교육받은 실험집단 1의 음악소질검사결과를 4세부터 2년 동안 교육받은 실험집단 2의 음악소질검사와 비교할 때 음감소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리듬소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오디의 활동을 교육받은 실험집단과 오디의 음악수업을 받지 않은 비교집단의 학기초 음악소질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기말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