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한요소모델

Search Result 2,65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HDD Cover FE Model Updating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하드디스크 커버 유한요소 모델개선)

  • 김경호;박윤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565-570
    • /
    • 2001
  • 대상 기계구조물의 유한요소 모델로부터 구한 해석결과가 실험결과와 오차를 나타낼 때, 이러한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유한요소 모델의 변경이 요구된다. 유한요소 모델개선은 이러한 역문제(Inverse Problem)를 다루는 체계적인 접근법이다. 일반적으로 유한요소 모델에서 변경할 수 있는 매개변수의 개수는 실험결과의 개수보다 많으므로 실험결과와 일치되는 개선된 유한요소 모델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선된 유한요소 모델이 물리적 타당성을 갖도록 매개변수의 변경량에 제한을 주면 일반적으로 초기 유한요소 모델에 비해 실험결과와의 오차가 개선된 근사해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모델개선 과정을 통해 구한 개선된 모델은 오차의 평가기준 또는 목적함수에 따라 정해진 다양한 근사해 중 하나이다. 기존의 모델개선 방법에서는 단 하나의 오차 평가기준 또는 목적함수를 사용하고 이를 최소화 하는 모델을 구한다. 개선된 모델을 구하기 이전에는 사용된 평가기준이 타당한지 검토할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시행착오법으로 목적함수를 설정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오차 평가기준을 소개하고 이를 하드디스크커버 유한요소 모델개선에 응용한다.

  • PDF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using Interactiv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Technique (대화식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유한요소 모델 개선)

  • 김경호;박윤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2.05a
    • /
    • pp.660-665
    • /
    • 2002
  • 일반적으로 유한요소 모델로부터 구한 해석결과는 대상 구조물의 모드 실험결과와 오차를 보인다. 이러한 오차로 인해서 유한요소 모델의 효용성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면, 모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모델을 보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유한요소 모델 개선은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유한요소 모델을 변경하는 체계적인 접근법이다. 유한요소 모델에서 변경할 수 있는 매개변수의 개수는 실험결과의 개수보다 훨씬 많으므로 실험결과와 일치되는 개선된 모델의 수는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개선된 유한요소 모델이 물리적 타당성을 갖도록 매개변수의 선택과 변경에 제한을 주면 초기 유한요소 모델에 비해서 실험결과와의 오차가 개선된 근사해만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모델 개선 과정을 통해서 구한 개선된 모델은 오차의 평가기준 또는 목적함수에 따라서 정해진 다양한 근사해 중 하나이다. 기존의 모델 개선 방법에서는 실험결과와의 오차를 나타내는 단 하나의 평가기준 또는 목적함수를 사용하고 이를 최소화하는 모델을 구한다. 최적화 결과를 얻기 전에는 사용된 평가기준이 타당한지 검토할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시행착오 방법으로 목적함수를 설정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목적 최적화 개념을 이용한 평가기준을 소개하고 특히, 대화식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개선한다.

  • PDF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of Simple Beam Considering Boundary Conditions (경계조건을 고려한 단순보의 유한요소모델개선)

  • Kim, Se-Hoon;Park, Young-Soo;Kim, Nam-Gyu;Lee, Jong-J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2
    • /
    • pp.76-82
    • /
    • 2018
  • In this present study, in order to update the finite element model considering the boundary conditions, a method has been proposed. The conventional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method, updates the finite element model by us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natural frequency, mode shape) which can be estimated from the ambient vibration test. Therefore, prediction of the static response of an actual structure is difficult. Further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is relatively hard. A novel method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method. Initially, the proposed method estimates the rotational spring constant of a finite element model using the deflection of structure and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support measurements. The final updated finite element model is constructed by estimating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tructure using the finite element model with updated rotational spring constant and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The proposed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method is valid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method.

A Study on the FE-Model Reduction of Satellite Using Seperelement Method (초요소를 이용한 인공위성 유한요소모델 축약연구)

  • Kim, Kyung-Won;Lim, Jae-Hyuk;Kim, Chang-Ho;Hwang, Do-So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6 no.2
    • /
    • pp.46-50
    • /
    • 2011
  • In order to perform the satellite structural analysis, FE-Model(Finite Element Model) considering all mechanical properties is necessary. Generally, different companies develop several satellite components, and sometimes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FE-Model. In this case, FE-Model reduction using superelement method can be good solution. For developing satellite, antenna manufacturer required satellite FE-Model to calculate microvibration induced by antenna operation, and condensed model using superelement method was provided. Superelement method is based on Craig-Bampton method, and it is applied to spacecraft FE-Model reduction in this paper. From modal analysis and the frequency response analysis results between full FE-Model and condensed model, the usefulness of reduced model is confirmed.

Updating of Finite Element Model using Frequency Response Function (주파수 응답함수를 이용한 유한요소모델의 개선)

  • 서상훈;지태한;박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233-238
    • /
    • 1995
  • 주파수 응답함수를 직접 이용하는 응답함수 방법을 이용하여 8자유도계, 보, 그리고 보구조물의 모의실험과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잡음이 혼입된 경우도 데이타를 취하는 주파수 점의 개수를 늘려줌으로써 정확한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실제 보에 대해서 유한요소모델의 개선을 행하여 실험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세째, 볼트로 체결된 보구조물에 대해 유한요소모델의 개선을 통한 결합부의 동정을 통해 실험과 더 잘 일치하는 유한요소모델을 얻을 수 있다.

  • PDF

Implementation of semi-infinite boundary condition for dynamic finite element analysis (동적 유한요소해석에서의 반무한 경계조건의 실행)

  • Choi, Chang-Ho;Chung, Ha-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6.03a
    • /
    • pp.600-606
    • /
    • 2006
  • 실제 지반은 경계가 없는 무한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지반구조물의 동적거동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해석할 시 모델의 영역을 성립하는 것은 특별한 고려가 필요하다. 유한요소법에서의 동적해석은 파동의 전달을 포함하기 때문에 모델의 경계에서 인공적인 경계조건이 필요하다. 인공적인 경계 조건은 유한요소내의 지반상태를 무한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야 하며, 경계에 도달하는 응력 파동을 모델내로 반사시키지 않고 흡수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점 탄성 반무한 불연속 요소를 이용하여 지반구조물의 동적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반무한 요소의 실행은 OpenSees라는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예를 통하여 불연속 요소가 경계에 도달하는 응력 파동을 충분히 흡수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반무한 상태로 전환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PS 텐던의 단면적변화를 고려한 원전 격납구조물의 유한요소해석

  • 정철헌;장성욱;조경태;정한중;박칠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15-222
    • /
    • 1996
  • 원전 격납구조물의 구조해석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 격납구조물을 축대칭으로 모델하고 있다. 따라서 격납구조물에 배근된 강재도 축대칭으로 가정하는 것이 일반 적이며, 유한요소모델 구성시 강재는 2절점 트러스나 1절점 링 트러스요소에 의해서 모델한다. 이때 유효철근비는 트러스요소의 단면적에 의해서 표현되며, 원통형 벽체에서는 높이에 따라 배근된 강재량이 일정하므로 실제와 근접한 모델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부돔의 축대칭모델시 돔의 자오선 방향으로 규정된 강재량이 일정치 않고, 변화하게 된다. 기존에 연구에서는 이러한 강재량의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고 반경방향으로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왔다. 이와같은 모델상의 제약으로 인해서 철근이나 텐던의 조기항복, 돔 정상부 부근에서의 부 정확한 변형특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규정된 강재량을 유한요소모델에 반영하기 위해 정점부에서 자오선 방향으로 변화되는 강재량을 모델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격납구조물의 극한 내압해석을 수행하여 기존 모델방법에 의한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System Identification of a Three-story Test Structure based on Finite Element Model (유한요소모델에 기초한 3층 건물모델의 시스템 식별)

  • 이상현;민경원;강경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4 no.5
    • /
    • pp.416-423
    • /
    • 2004
  •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constructing finite element model is conducted for a three-story test structure equipped with an active mass driver (AMD). Twenty Gaussian white noises were used as the input for AMD, and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s of each floor are measured. Then, the complex frequency response function (FRF) for the input, the force induced by the AMD, was obtained and subsequently, the Markov parameters and system matrices were estimated. The magnitudes as well as phase of experimentally obtained FRFs match well with those of analytically obtained FRFs.

FE-Model Update for Prestress-Force Monitoring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의 긴장력 모니터링을 위한 유한요소모델 개선)

  • Ho, Duc-Duy;Hong, Dong-Soo;Kim, Jeong-Tae;Yun, Chung-Ba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39.2-39.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물의 긴장력 손실을 검색하기 위한 유한요소모델 개선기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유한요소모델개선 기법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다수의 긴장력 조건하의 모형 PSC 거더에 대한 모드파라메터들을 측정하기위해 진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로, 유한요소모델의 구조파라메터 개선을 통해 실험결과와 유사한 고유진동수를 얻기 위한 진동기반 구조식별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긴장력 조건하에서 실험을 통해 측정된 고유진동수와 수치적으로 식별된 고유 진동수를 이용하여 모델개선 기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ized Finite Element Models for Carbody Structures of Railway Vehicle Made of Sandwich Composites (샌드위치 복합재 적용 철도차량 차체 구조물의 표준유한요소모델 제시 연구)

  • Jang, Hyung-Jin;Shin, Kwang-Bok;Ko, Hee-Young;Ko, T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3 no.4
    • /
    • pp.382-388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e standardized finite element model for carbody structures of railway vehicle made of sandwich composites. Recently, sandwich composites were widely used to railway vehicle due to the improvement of energy efficiency, high specific stiffness and strength, weight reduction and space saving in korea. Therefore, structural integrity should be verifi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prior to the manufacture of composite railway vehicle. The standardized finite element model for composite carbody structures was introduced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of real structural test under vertical, compressive, twisting load and natural frequency test of various railway vehicles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dratic shell element is suitable to model the reinforced metal frame used to improve the flexural stiffness of sandwich panel compared to beam element, and layered shell and solid element are recommended to model the skin and honeycomb core of sandwich panel compared to sandwich shell element. Also, the proposed standard finite element model has the merit of being applied to crashworthiness problem without modifications of finite element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