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생요인

검색결과 1,170건 처리시간 0.022초

치과위생사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Burnout on Job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in the Gyeongsang-do region)

  • 이재철;노효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1-42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치과위생사 156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진은 Maslash Burnout Inventory척도, 직무몰입은 강종수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조직몰입, 경력몰입, 작업몰입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7점 만점 중 3.77점, 몰입은 5점 만점에서 3.5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이며 동료 인원이 적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았으며, 경력과 연봉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경력몰입과 작업몰입은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은 성취감 감소와 음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소진감소와 직무몰입도 증진을 위하여 경력을 유지하고 연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에 대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in the Work Values Types of Freshmen'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60
    • /
    • 2004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새로운 직업가치관 유형을 구명하는데 있으며, 3개 대학 치위생과 신입생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42매를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요인분석에 의해 직업가치관을 유형화 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직업가치관 유형은 (1) 지위 (2) 경제적 보상 (3) 사회 기여 (4) 성취 (5) 능력 (6) 직업흥미 등 6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사회기여, 성취, 능력, 직업흥미 유형은 내재적 가치관으로, 지위와 경제적 보상 유형은 외재적 직업가치관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치위생과 신입생들의 외재적 가치관(4.24점)은 내재적 가치관(3.86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4. 치위생과 신입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업가치관 유형은 경제적 보상(4.39점), 지위(4.09점), 성취(4.07점), 능력(3.98점), 직업흥미(3.91점), 사회기여(3.46점)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치과위생사의 정서, 감정노동, 행복지수와 재직의도와의 융합적 관계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on Emotion, Emotional Labor, Happiness Index, and Retention Intention in Dental Hygienists)

  • 원영순;박아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35-144
    • /
    • 2019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정서, 감정노동, 행복지수와 재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북 4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19.0을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과 3단계에 걸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혼인 경우(p<.001), 긍정적인 정서일수록(p<.001), 감정표현의 빈도가 낮을수록(p=.010), 삶의 만족 행복지수(p<.001)와 심리적 행복지수(p=.012)가 높을수록 치과 위생사의 재직의도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에 치과위생사의 정서, 감정노동, 행복지수는 재직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 관련요인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개인적 차원이 아닌 조직적 차원으로 개선해 나갈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본다.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기술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of Dental Hygienist)

  • 문학진;이수영;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8-206
    • /
    • 2014
  • 1. 커뮤니케이션 기술 측정도구 38문항을 번역한 후 번역 정확도, 내용분석, 내용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14문항을 수정하고, 10문항을 삭제하였으며, 팀 구성원 커뮤니케이션 4문항은 연구목적에 맞지 않아 제외하여 최종 커뮤니케이션 기술 측정도구는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 수정 보완된 커뮤니케이션 기술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결과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은 배려와 존중, 정보 제공, 불안과 통증 감소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등 3개의 항목으로 구분되었다. 3.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는 대체로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X^2=899.170$ [df=227, p<0.001], RMR=0.025, RMSEA=0.078, IFI=0.886, TLI=0.872, CFI= 0.886, GFI=0.848, AGFI=0.815, NFI=0.853) 모든 요인의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가 일반적 기준을 충족시켜 집중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모든 요인의 평균분산추출값은 각 요인간상관 관계 제곱값보다 크게 나타나 판별타당성도 입증되었다. 4. 내적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Cronbach's ${\alpha}$는 0.8 이상으로 높은 신뢰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고 적합하다고 검증되었다. 향후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전문적인 발전과 연구에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환자 구강건강 증진 및 병원 경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영향요인 연구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Dental Hygienists)

  • 최혜정;방효중;정은영;서영준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5-301
    • /
    • 2014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감정노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 내 5개 대학병원 및 전국 55개 치과 병 의원에 근무 중인 치과위생사 204명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빈도분석, 평균차이분석, 상관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응답자의 인구사회특성별 감정노동 수준은 학력수준과 의료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응답자가 4년제 대졸 이상일수록, 근무하는 의료기관의 유형이 치과의원인 경우보다 치과병원인 경우 감정노동수준이 높았다(F=-2.803). 또한 감정노동수준과 감정노동 영향요인의 분석에서 환자요인(${\beta}=0.221$)과 환경요인(${\beta}=0.327$)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위생사들의 감정노동수준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환경 개선, 환자 및 보호자 교육, 심리상담 및 스트레스 완화프로그램 운영, 인센티브 제도 등을 적극 도입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근로자 본인과, 상사 및 경영자, 동료, 그리고 환자 및 보호자들의 지속적인 공동 노력이 필요함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임상치과위생사의 내부마케팅,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간에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도유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8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인력관리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95명으로 하였고, 2020년 3월 10일부터 4월 2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법으로 자료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직무만족, 내부마케팅 정도는 t-검정과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로 하였다. 조직몰입, 직무만족, 내부마케팅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고 직무만족(r=0.689), 내부마케팅(r=0.678)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직몰입에 영향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고 조직몰입에 영향요인은 내부마케팅, 직무만족도였다. 가장 큰 영향 요인은 직무만족도 이었으며 설명력은 56.1%이었다. 이상의 결과, 임상치과위생사의 내부마케팅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과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만족도이었다. 따라서 임상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치과 의료기관의 제도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 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 황윤정;조영식;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0-6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의 치석제거 급여범위 확대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4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 일부지역 만 20세 이상 성인 608명을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대상자는 건강보험 급여범위 확대 후 치석제거 인지여부 비교에서는 '알고 있다'라는 집단이 76.9%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과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치석제거 시술에 대한 만족도, 재 이용, 권유의사에서는 학력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석제거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졸 미만과 치과위생사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타인에게 권유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유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졸 미만과 타인에게 권유를 받았거나 검색으로 내원하였을 때, 그리고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를 시행하였을 때와 치석제거 전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였을 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치과위생사가 치석제거 전에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환자의 만족도와 권유의사가 높았던 것으로 보아 치과위생사는 술식 전에 미리 환자와의 유대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며, 또한 치과위생사의 고유 업무인 치석제거의 질적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추후 치석제거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요구도를 파악하고 관련 요인을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치과위생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of Dental Hygienists)

  • 정소유;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36-745
    • /
    • 2015
  • 본 연구는 2015년 5, 6월에 전국의 치과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731명을 편의 추출하여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 특성에 따른 직무 만족도, 직업 정체성, 직무 몰입도, 여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독신 상태보다는 혼인상태에서, 최종 학력이 높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월평균 급여가 많을수록 직무 만족도, 직업 정체성, 직무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 여가 만족도는 여성보다는 남성(3.63)이 높게 나타났고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 대학원 졸업(3.8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 달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 월평균 음주 횟수가 3~5회(3.4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치과위생사의 긍정경험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 만족도, 직업 정체성, 직무 몰입도, 여가 만족도가 긍정경험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p<0.05, ${\beta}$>0), 독립변수 중 직무 만족도, 직업 정체성, 여가 만족도가 부정경험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beta}$>0). 근무강도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beta}$<0). 이상의 결과 치과위생사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된 요인은 직무 만족도, 직업 정체성, 여가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전문 직업성을 확립하고, 직무 만족도, 직업 정체성과 여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자아존중감에 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Self Esteem of a Convergence Dental Hygienist)

  • 장경애;이희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77-186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에 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 점수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자아개념 척도별 차이는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셀프리더십과 전문직 자아개념 척도 정도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자아존중감 점수에 따른 임상수행능력별 차이는 자아존중감 점수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임상수행능력별 정도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1). 각 요인별 상관관계는 자아존중감과 감정노동(p<.01), 소진(p<.01)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셀프리더십(p<.01)과 전문직 자아개념 척도(p<.01), 임상수행능력(p<.01)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상수행능력정도(p<.05)와 소진(p<.01)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병원 내 프로그램, 교육 등이 융합적으로 이루어져 스스로의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임상실습기관의 물리적인 환경요인과 대인관계요인에 대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량의 관련성: 치위생과 학생 대상으로 (Relev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and its physical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factors in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 류혜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91-80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stress and stress amounts of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nd interpersonal factors of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It is in order to create condition to focus on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31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engaged in clinical practic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8,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1040460-A-2018-03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o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4 items), characteristics of the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9 items), stress from environmental factors (8 items), stress from interpersonal factors (7 items), and stress amounts of BEPSI (5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a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interpersonal factors of stress according in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a number of dentists (p<0.05), subjective practice atmosphere (p<0.001), practice satisfaction (p<0.001), and kindly teach (p<0.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stres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were that the dental clinic, the relationship with the dental hygienist is common, the number of dentists is 4 or more, and there is no resting room. Conclusions: The selected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should provide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with places to relax and a systematic hands-on man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