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래관광객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4초

R-IPA분석을 적용한 외래관광객의 관광수용태세 개선 요소 분석: 관광객 유형 및 시기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Elements of Tourism Preparedness for International Tourist Using Revised-IPA: Focusing on Comparison by Tourist Type and Time Period)

  • 이승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9-18
    • /
    • 2018
  • 최근 외래관광객의 품질 향상을 위한 관광수용태세 개선에 대한 필요성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의 관광수용태세와 관련 우선적 개선 요소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R-IPA분석을 적용하여 관광객 유형 및 시기에 따른 관광수용태세의 개선요소를 분석, 비교하였다. 전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R-IPA분석결과 현재의 품질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요소는 음식, 치안, 대중교통, 쇼핑, 관광지 매력도였다. 그리고 우선도는 낮으나 개선이 필요한 요소는 언어소통, 여행경비, 관광안내서비스였다. 관광객 유형별로 R-IPA분석을 한 결과 개별관광객은 대중교통, 음식, 쇼핑, 관광지 매력도, 치안에 대해서 현재 품질수준의 유지가 필요하며, 단체관광객은 숙박, 쇼핑, 관광지 매력, 관광안내서비스는 현재 품질수준의 유지가 필요하지만 음식은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Foreign Tourists to Korea)

  • 김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07-51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있어서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성별, 나이, 국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 특성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여행형태, 동반자수, 방문 목적, 이용 숙박 시설, 주요 방문지, 방문 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행지출 경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횟수에 따라 1인당 개별 숙박비, 1인당 본인 거주국 지불 경비에서, 만족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출입국 절차, 대중교통, 숙박, 음식, 쇼핑, 관광지 매력, 관광 안내 서비스, 치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행 후 행동의도 및 이미지 평가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향후 3년 내 재방문 의향, 타인 추천 의향, 여행 전 한국 이미지, 여행 후 한국 이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관광 수익을 극대화 하는데 필요하다.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Place Marketing Image in the Insadong Cultural District as a Tourism Destination on the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김시중;은연정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13-626
    • /
    • 2009
  • 본 연구는 외래관광객 방문유형과 국적에 따른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외래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함에 목적이 있었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결과 장소마케팅의 유형은 '정체성',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도시재생'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관광객 유형별 장소마케팅 이미지 차이 분석결과 '매력물 삶의 질', '문화관광 경제' 및 '도시재생' 요인이, 관광객의 국적에 따른 장소마케팅 이미지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소마케팅 이미지가 관광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관광 경제 요인', '도시재생 요인' 그리고 '정체성 요인'이 그리고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는 '매력물 삶의 질 요인', '문화관광 경제 요인' 및 '도시재생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문화적 특성에 따른 여행특성과 생태관광선호 차이 : 제주를 방문한 한국, 영어권, 일어권, 중어권 관광객간 비교 (Differences in Tour Characteristics and Ecotourism Preferences by Cross-cultural Traits : A Comparison of Korean,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Speaking Tourists visited Jeju Island)

  • 강미희;박찬우;이영주;김성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316-325
    • /
    • 2008
  • 본 연구는 제주도를 방문하는 우리나라 관광객과 외래관광객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여행특성 그리고 생태관광 시설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 등을 비교조사함으로써 문화적 배경에 따른 차별적 관광특성을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제주시험림 및 제주 전체 지역에서의 효과적인 생태관광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06년 7월에 제주도를 방문한 국내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55부의 유효설문자료를 확보하였다. 분석결과, 제주도를 방문한 우리나라 관광객과 외래관광객 간에는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특성과 여행특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생태관광 프로그램과 시설에 대한 선호에서도 차이를 나타냈다. 이때 외래관광객 내에서도 언어권별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였다. 우리나라 관광객과 외래관광객간의 서로 다른 차별적 특성과 언어권별 서로 다른 관광객의 이러한 특성은 이들을 위해 계획하는 관광 코스의 설정에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생태관광을 포함한 만족스러운 제주관광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관광 데이터 분석을 통한 주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y influencers through Analysis of Korea Tourism Data)

  • 양소희;나현지;정홍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98-899
    • /
    • 2023
  • COVID-19 가 종식되어 관광산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외래관광객 데이터를 분석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외래관광객 조사 보고서는 설문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에 대해 각 요인별 통계를 제공하고 있지만 복합적 요인으로 분석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2017 년부터 2022 년까지 한국관광 데이터랩의 외래관광객 조사 데이터를 Microsoft Power BI 를 통해 분석하여 여성 20대, 서구 관광객의 방한 활동과 방한 고려 요인 등 복합적 주요 영향 요인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발전 방향을 결론에서 제시한다.

국내 외래객 출입국 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 일별 수요 예측 인공지능 모델 연구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for Forecasting Daily Demand of Tourists Using Domestic Foreign Visitors Immigration Data)

  • 김동건;김동희;장승우;신성국;김광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37
    • /
    • 2021
  • 외래 관광객 수요를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은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 기획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관광 산업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외래 관광객 데이터는 여러 외적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미세한 변화가 많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관광객 입국자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 경제 변수 등 여러 외적 요인들도 함께 반영하여 예측 모델을 설계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시계열 예측에 주로 사용되는 회귀분석 모델과 순환신경망 모델은 여러 변수들을 반영하는 시계열 예측에 있어 좋은 성능을 보이지 못했다. 따라서 우리는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하여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한 외래 관광객 수요 예측 모델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한 과거 10개년 외래 관광객 데이터와 추가적으로 수집한 여러 외적 요인들을 입력 변수로 반영하는 1차원 합성곱 신경망을 설계하여 외래 관광객 수요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 PDF

외국인의 한국관광 만족도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국, 일본, 미국 관광객의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Satisfaction and Influence Factors of Chinese, Japanese and American Tourists in Korea)

  • 최아라;왕소걸;구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23-13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전체 외래관광객 중 가장 큰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는 주요 3국인 중국, 일본, 미국의 관광소비자를 대상으로 각 국적별 관광 특성, 만족도 및 영향요인을 비교하여 향후 외래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차별화 영역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2016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원자료 중 대상 국가 관광소비자 5,160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하위영역별 관광만족도 및 전반적 만족도 모두 국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 일, 미 관광소비자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관광 하위영역 요인은 '음식'과 '쇼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외래 관광소비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별 요인이 상이하게 도출되어 이들의 특징과 요구에 따른 관광산업 육성정책의 모색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광산업에서 국가별 외래관광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출비용 대비 영역 만족도, 재방문의도 (An Exploratory Study on Foreign Inbound Tourist in the Tourism Industry: expenditur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 강소라;방정혜;김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15-321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 중심의 관광산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다양한 나라의 외래관광객을 분석하여 그에 맞는 전략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을 방문한 외래관광객을 대상으로 숙박, 쇼핑, 음식, 교통에 대한 지출과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일본, 중국, 동남아, 미주, 및 유럽관광객들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는 2015년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본은 숙박비, 쇼핑비, 교통비가 개별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중국은 모든 비용이, 동남아는 쇼핑비와 식음료비가, 미주는 숙박비와 쇼핑비가, 그리고 유럽은 쇼핑비와 교통비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본은 쇼핑만족도, 음식만족도, 교통만족도가, 중국과 동남아는 모든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미주와 유럽은 교통만족도를 제외한 모든 만족도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는 각국의 외래관광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여행 목적과 요소들을 발굴해서 이에 맞는 여행상품 및 서비스를 설계하고 개발해야 하며, 국가차원에서 쇼핑분야와 교통분야에서 각국의 외래관광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개선할 점들을 찾고, 실행해야 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외래 관광객의 공연 관람 의도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K-entertainment Tourism by Simultaneous Logistic Equation Modeling)

  • 이민재;김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550-558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의 공연 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는 해외 공연 관광에 있어 의도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의도와 행동 간 차이를 줄이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 중 공연 관람 의도가 있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관람군(실제로 관람한 사람)과 잠재군(실제로 관람하지는 않은 사람)으로 분류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관람 의도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태도와 지식 요인이 공연 관람의도와 행동 간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광객의 공연에 대한 지식 요인이 투입될 경우 태도 요인만 고려할 경우보다 관람군과 잠재군의 집단 간 분류 정확도가 높아져, 태도요인 뿐 만 아니라 지식요인도 관람 의도와 행동 간의 불일치를 줄이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문화공간으로서의 등대 활용방안 연구 - 문화공간으로서의 입지성을 중심으로 -

  • 김재관;김가령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1-434
    • /
    • 2013
  • 국민관광객과 방한 외래관광객의 증가(문체부, 2012)로 도서와 해안지역에 대한 관광수요가 확산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등대(예 : 영도등대, 간절곶등대, 울기등대, 거문도등대)를 중심으로 국민생활속의 해양관광공간, 해양레저스포츠공간, 어촌체험공간, 유통관광중심의 어항개발 및 크루즈관광활성화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관광객의 욕구가 증가하면서 틈새관광(niche tourism)의한 형태로 도서 관광(small island tourism)이 주목되고 있다(김영준, 2011). 내륙 중심의 관광에서 해양 관광으로 관심이 변화 확산되면서 친수공간시설에 대한 관광수요의 증가가 예상된다(이한석, 심미숙, 2009). 이와 같은 현실에서 도서에 위치하고 있는 등대자원을 활용하여 관광객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등대관광활성화가 기대된다. 등대가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로서 뿐만 아니라 공공서비스장소로서 해양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체험의 장을 제공하고 건축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성과 등대 고유의 기능에 대한 관광객의 흥미와 욕구를 잘 접목시켜 해양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