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Foreign Tourists to Korea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수정 (부천대학교 호텔관광경영과)
  • Received : 2018.08.21
  • Accepted : 2018.10.08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foreign tourists to Korea and suggest how to increase the repeat ratio. As the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sex, age, country in the cas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 the variables of travel types, the number of company, the purpose of visit, accommodations, major visiting places and visiting areas in the case of travel characteristic.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accommodation fees per person and expenses per person in their own country in the case of travel expenses and in the variables of immigration formalities, public transportations, accommodations, foods, shopping, tourist attractions and security in the case of satisfaction. La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of revisit intention within 3 years,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image of Korea(before trip) and the image of Korea(after trip) in the case of behavior intention after trip and image evaluation.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repeat foreign tourists when we make the tourism products to increase the repeat ratio.

본 연구는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을 재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있어서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성별, 나이, 국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 특성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여행형태, 동반자수, 방문 목적, 이용 숙박 시설, 주요 방문지, 방문 권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행지출 경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횟수에 따라 1인당 개별 숙박비, 1인당 본인 거주국 지불 경비에서, 만족도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출입국 절차, 대중교통, 숙박, 음식, 쇼핑, 관광지 매력, 관광 안내 서비스, 치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행 후 행동의도 및 이미지 평가에 있어서는 외래 관광객의 방문 횟수에 따라 향후 3년 내 재방문 의향, 타인 추천 의향, 여행 전 한국 이미지, 여행 후 한국 이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관광 수익을 극대화 하는데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관광공사, 연도별통계, 2017.
  2. 문화체육관광부, 외래관광객실태조사, 2017.
  3. M. Oppermann, "Visitation of Tourism Attractions and Tourist Expenditure Patterns; repeat versus first time visitors,"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1, No.1, pp.61-68, 1996 https://doi.org/10.1080/10941669708721964
  4. 김수정, "한국을 방문하는 외래 관광객의 사회통계학적 특성 분석," 호텔리조트연구, 제13권, 제3호, pp.37-56, 2014.
  5. 김진후, "재방문 외래 관광객의 특성," 호텔경영학연구, 제26권, 제8호, pp.189-205, 2017.
  6. 김시중, 은연정, "관광목적지로서 인사동 문화지구의 장소 마케팅 이미지가 외래 관광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2권, 제4호, pp.613-626, 2009.
  7. 강소라, 방정혜, 김민선, "관광산업에서 국가별 외래 관광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출비용 대비 영역 만족도, 재방문의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권, pp.315-321,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9.315
  8. 류가연, 차재빈, "외래 관광객의 여행방문횟수와 여행결정시기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한 일본과 중국 외래 관광객 비교를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33-153, 2018.
  9. 금기용, 김맹선, "해외 인 바운드 관광객 재방문율 재고를 위한 연구의 접근방법 고찰: 기초관광환경 개념 도입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6권, 제5호, pp.5-21, 2014.
  10. 유윤희, 이희찬, "방한 외래 관광객의 재방문 수요 결정요인 분석: 절단된 가산자료 모형의 적용," 관광레저연구, 제29권, 제7호, pp.21-35, 2017.
  11. 송영민, 한수영, 이홍재, "다중집단분석을 통한 일본 관광객의 관광 유형별 관광만족 구조분석," 일본근대학연구, pp.501-520, 2013.
  12. 권태일, 노선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중국, 일본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도 속성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6권, 제5호, pp.137-149, 2017.
  13. 권태일, 노선희, "한류관광객 행태분석 연구: 2014년과 2015년 비교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6호, pp.35-51, 2016.
  14. 이돈재, 황호종, "방한 외래 관광객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및 추천 의사, 이미지 변화 정도의 종단 연구: 2007년, 2011년, 2015년 대륙별 및 국가별 비교," 관광학연구, 제41권, 제8호, pp.237-256, 2017.
  15. 김영래, 구본기, "외래 관광객 이동네트워크의 공간적 특성 분석," 관광연구, 제27권, 제1호, pp.37-53, 2012.
  16. P. C. Gitelson and J. L. Cromption, "Insights into the repeat vacation phenomen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11, No.2, pp.199-217, 1984. https://doi.org/10.1016/0160-7383(84)90070-7
  17. A. L. S. Lau and B. McKercher, "Exploration versus acquisition: A comparison of first time and repeat visitor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42, No.3, pp.279-285, 2004. https://doi.org/10.1177/0047287503257502
  18. B. McKercher, N. Shoval, E. Ng, and A. Birenboim, "First and Repeat Visitor Behavior: GPS Tracking and GIS Analysis in Hong Kong," Tourism Geographies, Vol.14, No.1, pp.147-161, 2012. https://doi.org/10.1080/14616688.2011.598542
  19. X. Li, C. K. Cheng, H. G. Kim, and J. F. Petric, "A systematic comparison of first-time and repeat visitors via a two-phase online survey," Tourism Management, Vol.29, No.2, pp.278-293, 2008. https://doi.org/10.1016/j.tourman.2007.03.010
  20. G. Godbey and A. Graefe, "Repeat tourism, play and monetary spending,"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18, No.2, pp.213-225, 1991. https://doi.org/10.1016/0160-7383(91)90005-V
  21. D. M. Gyte and A. Phelps, "Patterns of Destination Repeat Business: British Tourists in Mallorca, Spain,"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28, No.1, pp.24-28, 1989. https://doi.org/10.1177/0047287589028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