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벽주의성향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 골프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 스트레스, 그리고 탈진 간의 관계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Stress, and Burnout among College Golf Athletes)

  • 범철호;유충경;정찬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43-25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골프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 스트레스, 그리고 탈진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221명의 학생들이다. 연구의 결과에서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성향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성향은 스트레스를 높이는 선행변수임이 밝혀졌다.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성향은 개인의 성취도를 낮추었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성향은 탈진의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수들의 스트레스는 감정적 소진과 낮은 개인적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효과에서 자기지향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성향은 스트레스를 높이고 감정적 소진과 낮은 개인적 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선수들이 승리에 대한 압박감에서 벗어나 즐기면서 지속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는 문화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경쟁적 운동선수들의 완벽주의성향과 동기분위기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Motivational Climate in Competitive Athletes)

  • 윤경신;김태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69-37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록종목과 대인종목의 경쟁적 운동선수를 과업지향 동기분위기와 자아지향 동기분위기가 완벽주의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운동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국가대표 선수촌에서 훈련 중인 엘리트 성인선수 196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및 동기분위기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록종목과 대인종목으로 분류하여 종목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완벽주의성향, 동기분위기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검증 또는 독립변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가설검증 및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완벽주의성향과 과업지향 및 자아지향 동기분위기 모두 대인종목 선수가 기록종목 선수보다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기록종목 운동선수의 경우 과제지향 동기분위기와 자아지향 동기분위기 모두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과제지향보다 자아지향 동기분위기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종목 운동선수의 경우에는 자아지향 동기분위기만이 완벽주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두 연구모형 모두 나쁜 적합도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Perfectionism, Acade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 조소희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1호
    • /
    • pp.43-5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학생들이 받는 학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P 지역에 있는 고등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의 평균을 중심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높게 지각하는 상집단(평균이상)과 낮게 지각하는 하집단(평균이하)의 삶의 만족도와 학업스트레스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t-test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의 평균을 중심으로 완벽주의 성향을 높게 지각하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삶의 만족도와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가족·친척관계, 자아감·일반적인 삶, 친구·대인관계, 주거환경, 신체·정신건강, 의·식·경제정도, 여가활동, 학업·하루일과 이렇게 총 8개의 하위요인에 대하여 하집단이 상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시험성적 스트레스, 과제 스트레스, 학습내용 스트레스, 학원 스트레스 이렇게 총 4개의 하위변인 중 시험성적과 학습스트레스는 상집단의 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 분석을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완벽주의 성향을 지닌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였을 때 상집단의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삶의 만족도 역시 같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능,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The Differences in APM, Perfectionism, and Stress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 김소아;박상우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173-19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지능,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는 APM 지능 검사에 기초한 지능에서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과학영재가 일반학생에 비해 완벽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스트레스 정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영재가 강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거라는 가설에 기초하여,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스트레스정도를 분석하였다.

대학 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erfectionist tendency of athletes in Chinese universities on athletic commitment)

  • 단명도;조문정;국함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71-276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우수한 운동선수 양성을 위한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국 하남성과 한국 수원시 대학에 재학중인 운동선수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내적일치도, pearson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 대학 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이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대학 운동선수의 완벽주의성향 중 행동몰입, 인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를 통해서 대학 운동 선수의 완벽주의성향과 운동몰입의 관계를 규명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한 점은 대학 운동선수들에게 의미가 있을 것이다.

중학교 과학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A study on the Perfectionism and stres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 송경애;이지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23-37
    • /
    • 2001
  • 본 연구는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요인별 강도를 비교하고 완벽주의 유형과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질문지 조사를 통해 143명의 과학영재 중학생과 148명의 일반 중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완벽주의 성향은 과학영재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영재집단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높았으며, 스트레스는 일반학생들이 영재집단에 비해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집단의 경우 학교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에 있어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 PDF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Stress of Archery Trainers)

  • 홍길동;임태희;고용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61-372
    • /
    • 2008
  • 본 연구는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07년도에 개최된 전국 중 고 양궁선수권대회에 참여한 양궁팀의 지도자 113명을 대상으로 목적적 표본 추출하였다. 측정도구는 Hewitt & Flett(1991)가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를 임태희(2005)가 한국적 문화와 정서에 맞도록 개발한 완벽주의 척도와 조만태(1998)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척도로 각각 5점 척도와 7점 척도로 평정하였다. 입력된 자료는 SPSS 13.0 for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궁 지도자의완벽주의 성향은 개인완벽, 타인완벽, 사회완벽 요인 순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 지원체계스트레스, 대인관계스트레스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궁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 요인 중에서 개인완벽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타인완벽 요인은 시합스트레스, 직무부하스트레스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궁지도자의 개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직무여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완벽과 타인완벽주의 성향 요인은 시합스트레스와 직무부하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자아개념과 무용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ance College Students Major in Perfectionism and Self-concept Compared to Dance Performance Satisfaction)

  • 민윤미;정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71-280
    • /
    • 2020
  •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자아개념과 무용수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남, 강원도 소재 4년제 대학의 무용전공 대학생 320명을 유의표집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완벽주의 성향은 자아개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은 무용수행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완벽주의 성향과 자아개념 및 무용수행 만족도에는 인과관계가 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수행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을 탐색함으로써 무용수행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무용전공 중·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경쟁불안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Perfectionist Tendenci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Major in Dance Impact on Competitive Anxiety and Dance Immersion)

  • 민윤미;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89-301
    • /
    • 2021
  • 이 연구는 무용전공 중·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경쟁불안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무용전공 중·고등학생 279명을 유의표집방법으로 표집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완벽주의 성향과 경쟁불안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이 무용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완벽주의 성향과 경쟁불안 및 무용몰입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다. 무용전공 중·고등학생들의 무용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을 탐색함으로써 무용몰입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 research among maternal propensity for perfection and child misbehavior)

  • 변상해;유영순;정정순;윤연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4권2호
    • /
    • pp.73-88
    • /
    • 2009
  • 본 연구는 유아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을 경감시킬 수 있는 예방책을 찾고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주시에 거주하는 만 3-5세사이의 유아와 어머니 400쌍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용된 통계기법은 T-TEST, 회귀분석, ANOVA, 상관관계분석, 신뢰도검사, 빈도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완벽주의 성향에 차이가 있었고, 유아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에 일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완벽주의 하위유형에 따라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 유아의 문제행동 중에서 우울과 불안, 공격성, 외현화 문제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