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와도

검색결과 61,759건 처리시간 0.077초

와인 소비자의 관여 수준에 따른 선택 속성 차이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Selection Attribute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Wine Consumers)

  • 조수현;최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40-253
    • /
    • 2009
  • 관여 수준의 개념이 오래도록 마케팅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음에도 국내의 관여도와 와인을 변수로 이용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부분적으로는 와인 소비자를 와인 전문가, 와인 애호가, 와인 초보자, 와인 문외한으로 분류하여 그들의 와인 선택 속성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와인 소비자의 형태 및 관여 수준이 와인 구입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은 총 380부가 배포되어 370명에게 응답을 받았으며, 350부의 결과가 SPSS(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와인 소비자 유형(와인 전문가, 와인 애호가, 와인 초보자, 와인 문외한)에 따라 와인 선택 속성에 명백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은 와인의 매출, 와인 바의 매출 등을 위해서는 고객의 관여도를 높이는 것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와인의 관여도를 다룬 국내 논문이 전무한 상황에서 관여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와인 프로모션을 제안한다. 더불어 서울과는 달리 지방 와인 프로모션이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에서 음악회와 와인 프로모션을 연계해 와인 시음 기회를 통해 고관여 고객만들기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 PDF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성 관절와 병변 (Glenoid lesion in Traumatic Anterior Instability of Shoulder)

  • 이승준;박진영;금정섭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23-26
    • /
    • 2007
  • 관절와 병변은 급성 외상으로 인한 골절뿐 아니라 불안정성으로 인한 골 침윤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방 탈구와 동반된 전방 관절와 골절의 빈도는 5.4%에서 32%까지 보고되었다. Hovelius 등이 226명의 탈구환자를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8%의 관절와 골절이 있었다고 보고하였고, 노령의 환자에서 약간의 빈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또한 Rowe는 전방 관절와 골절이 있는 27명의 환자에서 기계적 안정성의 결함으로 62%의 재발성 탈구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보다 최근의 방카르트 술기에 대한 보고에서 수술적 처치를 한 환자중 44%가 관절와 골절을 동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Rowe 와 Zarins는 다발성 전방탈구 환자에서 관절와 병변이 잘 치료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낸다고 보고하였다. 전자에 따르면, 관절와 병변을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며 환자의 최종적 예후는 이를 어떻게 치료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고 하였다. 관절와 상완관절의 불안정성에서 동반된 관절와 병변의 진단은 보존적 치료시나 수술적 치료 시 모두 중요한 인자라고 하겠다.

된장잼의 개발과 품질특성 연구

  • 김혜영;이연경;김순미;이인선;강지윤;이승민;이지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91-91
    • /
    • 2003
  •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인 된장이용 활성화방안의 하나로서 저염된장을 제조하고, 된장과 올리고당의 수준을 달리하여 된장 40%와 올리고당 40%(D40O40), 된장의 40%와 올리고당 60% (D40O60), 된장 50%와 올리고당 40%(D50O40), 된장 50%와 올리고당 60%(D50O60), 된장 60%와 올리고당 40%(D60O40) 및 된장 60%와 올리고당 60%(D60O60)의 생된장을 이용한 된장잼을 개발하였다. 생된장의 염도는 6.4%였고, 끓인 된장의 염도는 7.7%를 나타내었다. (중략)

  • PDF

레이놀즈응력모형을 이용한 개수로 흐름에서의 이차흐름 생성 메커니즘 분석 (Analysis of Generating Mechanism of Secondary Currents in Open-Channel Flows by Reynolds Stress Model)

  • 최성욱;강형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381-385
    • /
    • 2004
  • 본 인구에서는 레이놀즈응력모형을 이용하여 직사각형 개수로 흐름을 수치모의 하고 이차흐름의 생성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자유수면과 측벽의 접합부 근처에서 inner secondary flow가 발생하였다. 이는 최근 Grega 등(1995)과 Hsu 등(2000)에 의해 밝혀진 새로운 이차흐름이다. 또한 측벽에서의 전단력 분포를 계산한 결과 inner secondary flow에 의하여 수면 근처에서의 전단력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와도 방정식에서 각 항의 크기를 비교하여 이차 흐름의 생성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벽 및 측벽 경계 부근에서는 난류의 비등방성에 의한 와도 생성항에 의해 이차 흐름이 생성되고, 경계와 멀리 떨어진 영역에서는 레이놀즈응력에 의한 와도 생성항이 이차흐름을 생성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RP 와이어 보강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거동 (Axial Behavior of Concrete Cylinders Confined with FRP Wires)

  • 조백순;이종한;최은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1765-1775
    • /
    • 2013
  • 콘크리트 공시체의 압축강도와 연성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FRP 와이어의 적용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와이어 보강겹수와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변화가 고려된 와이어 보강 공시체의 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FRP 와이어 보강 공시체 압축실험에서 측정된 축방향변형률, 원주방향변형률, 체적변형률에 의한 와이어 내부 콘크리트의 손상상태를 분석하여 와이어 보강효과를 평가하였다. FRP 와이어 보강 공시체의 응력-변형률 선도는 두 개의 직선구간과 변환구간으로 구성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균열이후구간에서 응력상승거동하였다. 와이어 보강 공시체의 균열강도와 최대강도는 와이어 보강겹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와이어가 3겹 보강된 35 MPa 공시체의 최대강도는 무보강 공시체의 압축강도보다 286% 높게 측정되었다. FRP 와이어 보강 공시체의 내부 콘크리트 파괴형태는 i) 수직균열 또는 경사균열파괴; ii) 수평균열파괴로 구분되었다. 특히, 수평균열파괴는 와이어에 의한 구속약화로 인하여 갑자기 내부 콘크리트가 팽창하는 부분과 와이어가 아직 내부 콘크리트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부분의 전단효과로 발생하였으며, 수평균열은 공시체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여러 면으로 발생하였으며, 와이어에 의한 구속효과가 우수한 공시체에 발생하였다. FRP 와이어 보강 공시체 압축실험에서 와이어 최대파단변형률에 대한 인장파단변형률의 비가 55-90%로 측정되었으며, 평균 69.5%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FRP 시트 보강 공시체 실험에서 측정된 시트 파단변형률보다 다소 높은 값으로 FRP 와이어 보강 공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와인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와인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Wine Selection Attributes on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Wine Involvement-)

  • 송경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31-446
    • /
    • 2012
  • 본 연구는 와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와인 선택속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와인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으로 갖고, 와인 구매와 음용 경험이 있는 만 20세 이상 와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2011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와인 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가격, 레이블, 와인특성이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성, 가격, 와인특성이 재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와인 선택속성에 있어 와인관여도는 와인 선택속성의 지역성, 가격과 만족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와인 선택속성에 있어 와인관여도는 와인 선택속성의 레이블과 재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와인 재배지역의 지역적 특성과 적절한 가격, 그리고 품질자체 와인 고유특성은 기존 선행된 연구결과들을 지지해주었으며, 이들 결과가 와인 관여정도에 따라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조절된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시사해 주었다.

상부 관절와 및 관절와 순의 해부학적 분석 (Anatomical Analysis of Superior Glenoid and Glenoid Labrum)

  • 최남용;송현석;윤형문;최승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2-106
    • /
    • 2010
  • 목적: 상부 관절와에 부착하는 관절와 순에 발생한 병변에 대한 봉합술 후의 결과가 모든 예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본 저자들은 상부 관절와 순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해부학적인 정보를 얻고자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분석하고, 상부 관절와 순이 부착하는 부위의 관절와의 해부학적인 형태 및 부착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견관절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108예에서 관상면 영상을 분석하였다. 평균 연령은 52세(17~71세)였으며, 남자는 55예였고 여자는 53예였다. 일반적으로 상부 관절와 순 파열에서 봉합하게 되는 영역인, 이두건 장두의 관절와 부착 부위의 후방 2개 영상에서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의 길이 및 상외측 관절와의 단면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상부 관절와 순의 관절와 전방 부착 부위의 내-외측 길이는 평균 $9.78{\pm}1.64\;mm$였다. 남자는 평균 $10.1{\pm}1.61\;mm$, 여자는 평균 $9.43{\pm}1.6\;mm$였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평균 $89.6{\pm}7.6$도였다. 결론: 관상면에서의 상부 관절와 순의 부착 부위는 후방이 전방보다 짧다. 상외측 관절와의 각도는 후방이 전방보다 작았다.

  • PDF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Vitro Maturation and Fertilization of Bovine Follicular Oocytes)

  • 김상근;이만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2
    • /
    • 1992
  • 본 연구는 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미숙 난포란을 채취하여 형태적 분류를 통해 우수한 란을 공시한 후 난포의 크기, 정액의 형태, 수정능득법, 혈청, 호르몬, 난포액, 난구세포등을 첨가한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하면서 체외성숙 및 수정율을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 난포란을 채취하여 배양을 통해 형태적 분류를 했을때 A형란은 61.4%, B형란은 12.1%, C형란은 19.2%, D형란은 4.2%였으며 발생중지 또는 퇴화란은 3.0%였다. 또한 A, B, C형란을 배양액에 배양했을때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89.1%, 78.0%, 52.6%였으며, 수정율은 각각 78.1%, 66.1%, 33.3%였다. 2. 소 난포의 크기를 1-2mm, 3-5mm 및 5mm이상으로 분류하여 채취한 난포란의 수는 각각 67개, 98개, 63개 였으며, 이를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 및 수정율은 각각 56.7%와 44.8%, 82.5%, 72.4%와 46.0%와 28.6%였다. 3. 소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정소상체 미부정자, 희택정액 및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매정하였을때 체외수정율과 분할율은 각각 63.3%, 73.3%, 70.0%와 32.7%, 37.8%, 38.3%였다. 4. 소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있어서 m-KRB 처리법, HIS처리법, Ca-IA처리법, BFF처리법 및 heparin처리법으로 각각 수정능획득을 유기하였을때 체외성숙 및 분할율은 각각 53.1%, 28.1%, 33.9%와 17.7%, 50.8%와 26.2%, 48.1%와 22.8% 및 58.8%와 32.8%로서 heparin 처리법이 가장 높았다. 5.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수정에 있어서 각 농도의 우태아혈청과 FSH, HCG, $\beta$-estradiol을 첨가한 TCM-199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 및 수정율은 각각 76.0-82.3%와 26.2-70.0%로서 무첨가에 비해 첨가가 높았다. 6. 발정우혈청 및 우태아혈청 5-2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71.7-76.9%, 74.0-80.6%였으며 체외수정율은 51.9-58%와 26.2-30.0%로서, 체외수정율의 경우 발정우혈청의 첨가가 우태아혈청의 첨가에 비해 높았다. 7. 난포액20-3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율은 각각 68.0%와 64.6%, 수정율은 각각59.6%와 60.4%로서 난포액10%, 5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에 비해 높았다. 8. 1$\times$10 6 /ml의 난구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했을때의 난포란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은 각각 76.5%와 61.7%로서 FCS 10%와 1$\times$10 4 -10 5/ml 와 1 $\times$10 8/ml난구세포를 첨가한 배양액에서 배양시의 체외성숙율과 수정율에 비해 높았다.

  • PDF

우리 글 읽기에서 중심와주위 단어 첫 음절 음운정보의 미리보기 효과

  • 김정태;고성룡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1-36
    • /
    • 2010
  • 우리글 읽기에서 중심와주위에 위치한 단어의 음운정보가 중심와주위 미리보기이득에 영향이 있음을 2음절의 표적단어를 사용하여 확인한 앞선 연구에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중심와주위에 제시된 2음절 단어의 음운정보 중 첫째 음절의 음운정보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표적단어(예: '손목')에 대한 미리보기 자극으로 첫음절_동일비단어(예: '손욘'), 첫음절_음운유사비단어(예: '솜욘'), 첫음절_표기유사비단어(예: '��욘'), 첫음절_무관비단어(예: '�F�E')가 제시되었고 경계선기법을 사용하여 눈이 도약하는 동안에 미리보기 자극들은 표적자극으로 바뀌도록 하였다. 표적단어의 주시시간을 측정한 결과, 첫음절_음운유사비단어가 중심와주위에 먼저 제시되었을 때가 첫음절_표기유사비단어나 첫음절_무관비단어가 제시되었을 때보다 짧았다. 이러한 결과는 중심와주위 단어 첫 음절의 음운정보만으로도 고정 간 정보통합에 영향을 주어 중심와주위 미리보기이득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의 관절와 및 상완골 결손 (Glenoid and humeral defect in anterior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박태수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9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27-29
    • /
    • 2009
  •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관절와 및 상완골 결손이 동반된 경우 적절한 진단과 치료는 치료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중요하다. 견관절 불안정성은 정적 및 동적 안정화 구조물의 손상으로 기인하며, 상완골 두감입 골절(Hill-Sachs 병변), 관절와 골절이나 전하방 관절와 가장자리의 소실 등 정상적인 관절의 해부학 구조물을 훼손시키는 골성 이상 소견이 동반되면 경우에 따라 견관절 불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강좌에서는 견관절 전방 불안정성에서 동반된 관절와 및 상완골의 골 결손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