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방제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한국 해양오염방제시스템 분석

  • Yun, Jong-Hwi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5
    • /
    • pp.10-21
    • /
    • 2008
  • 이번 유조선 Hebei Spirit호 오염사고의 발생단계에서 해상 및 해안방제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여전히 현행 오염방제시스템과 방계능력에 여러 가지 허점과 결함이 있음이 드러났고, 또 선진국의 해양오염사고 사례 및 방계시스템과 비교해 보면 몇 가지 오염사고 방지, 대비 및 대응에 근원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Hebei Spirit호 오염사고를 중심으로 오염방제 전 과정에서 노출 또는 지적된 문제점(단, 본 연구에 피해배상관련 사망은 제외함)을 알아봄과 동시에, 그 문제점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에 추가하여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해양오염방제시스템을 상호 비교하여 방제시스템의 선진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추후 본 연구 결과가 국가해양오염방제시스템 정비 및 개선작업 시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PDF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민.관 방제역할 발전단계에 관한 연구

  • Mun, Jeong-Hwan;Yun, Jong-Hw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86-18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방제수행의 책임이 있는 오염자부담의 원칙성을 제고하고, 방제수행의 대표적인 두 부문인 정부-민간 부문의 방제수행 능력은 꾸준히 증가시키면서 활성화 할 수 있는 6단계 방제역할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1단계 역할정립단계에는 정부와 민간부문의 역할정립 및 오염행위자 방제실시의 원칙성을 제고하고, 2단계 산업육성 단계에는 각 부문별 장 단점을 인정하고 의도적으로 산업계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3단계 감독단계부터는 오염행위자 방제실시 여부에 따른 엄격한 책임강조 및 관리 감독을 실시한다. 4단계 해석단계는 양적 질적 성장된 방제산업계에 대한 정부의 올바른 평가 및 지도가 이뤄져야 한다. 5단계 상호의존단계는 민 관의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해 의존적이며 수평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6단계 독립단계는 정확하게 구분된 역할에 따른 자생 및 성장을 도모하는 단계이다. 6단계의 발전단계를 거침으로써 영세한 방제산업의 활성화 및 정부와 민간 부문의 정확한 역할을 구분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relocation strategy of the control line considering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and control capacity (해양오염 위험지수와 방제능력을 고려한 방제선 재배치 전략에 관한 연구)

  • Song, Youn-Hee;Lee, Gi-Wha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5
    • /
    • pp.547-557
    • /
    • 2022
  • The numbers of occurrences and the amount of spills of marine oil pollution have increased, an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cure additional control capabiliti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present an empirical basis for improving the overall idle capacity through the relocation of control ships existing in each region. First, the marine pollution index was derived and the control capability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index of each region was compare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ployment of control ships. The marine oil pollution risk index was derived by multiplying the nine items that cause marine pollution by the weight derived by experts. We checked the control capacity (A)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F) for each sea area. Mokpo (F:13.4, A:1.9), Busan (F:14.3, A:6.4), and Yeosu (F:21.5, A:16.6) are the areas that lack control capabilities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On the other hand, the areas that have room for control compared to the marine pollution risk index for each sea area are Masan (F: 5.9, A:13.3), Gunsan (F:1.7, A:8.3), and Jeju (F:2.7, A:6.9). Therefore, for improving the standardized control capacity proportional to the risk of marine pollution nationwid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trol ships of Masan, Gunsan, and Jeju should be relocated to Mokpo, Busan, and Yeosu, which lack control capacity.

방제단계 측정도구 개발에 필요한 주요요인 선정에 관한 연구

  • Mun, Jeong-Hwan;Yun, Jong-Hw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8-9
    • /
    • 2012
  • 우리나라 해양에서 발생 가능한 기름유출사고를 소형 중형 대형으로 구분하여 대비 대응이 가능한 방제세력이 구축되어 있으며, 이 3단계를 구별하는 기준은 "유출량"이다. 그러나 유출량 외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 누락되어 있는 실정이다. 1967년 이후 발생한 주요한 20건의 해양오염사고에서 대규모의 유출량을 발생한 해양오염사고라도 환경적으로 유출지점이 연안에서 상당한 거리에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피해가 없거나, 거의 발생하지 않은 사고들도 포함되어 있다. 이처럼 해양에서 발생 오염사고는 오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름의 유출량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한 해역의 위치 등 여러 가지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방제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방제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고려요소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 PDF

A Basic Study On the Estimative Direction of Responsible Ability for HNS National Contingency Plan Using Powersim (파워심을 이용한 HNS 국가방제기본계획의 방제능력 산정방향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Sang-Bae;No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209-214
    • /
    • 2006
  • This paper desires to assist ensuring of propriety clean-up equipment for clean-up shore or sea of pollution, there is not that responsible ability of a nation has an amount of skimmer or the length of boom. responsible ability of a nation must express overall evaluation what is considering quickly, system, and economizing in addition to an amount or clean-up equipment. responsible ability of a nation is complication and it's mutual relation of each other factor therefore responsible capacity of a nation is expressed using powersim with system dynamics theory.

  • PDF

Strategies for Advancement of response management system on marine pollution (해양오염 방제체제의 선진화 방안)

  • Kim Dae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3 no.1
    • /
    • pp.3-24
    • /
    • 2000
  • The provability of major oil spill acidents around Korean coast is very high due to increase of sea traffic and decrease of quality of ships crews and increase of the old-ship. The Strategies of establishment of a advanced response management system against this mass pollution incident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Regional Contingency Plan, which is scientifically illumina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National Contingency Plan efficiently. 2. Early completion of a national response capability twenty thousand tons. 3. To strengthen training and exorcise specialized in the field of marine pollution response. 4.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response cooperation among neighbor countries by promoting the NOWPAP tasks etc. The response policy in the 21th century should be concentrated to promote a practicle response capability through response operation scientifically specialized and internationalized by establishing the advanced response system early.

  • PDF

유류오염 방제에 생물정화제제 형식승인제도 도입

  • Yun, Ju-Yong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7 no.5
    • /
    • pp.22-28
    • /
    • 2008
  • 바다에 유출된 기름으로 오염된 지역의 친환경적인 방제를 위하여 기름분해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정화기술을 소개하고, 해양환경관리법 시행('08.1.21)으로 방제약제에 새로 추가된 생물정화제제의 성능시험기준 및 검정기준 등 형식승인절차를 기술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in Korea (우리나라 유류오염 방제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Yun, Jong-Hwu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4
    • /
    • pp.355-362
    • /
    • 2009
  • In this paper, the author carried out the study to develop oil spill response training courses for competent responders examining IMO guidelines and response training courses of developed maritime countries as well as Korea. According to a result of study, fundamental training courses are to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MO guideline, and also to prepare pre-arranged brief course like Basics of Spill Response for beginner. The courses should be step-by-step related with mutual continuous contents, and more times are given to on-site training for basic course and to classroom lecture with desk-top exercise for advanced course. Besides, SCAT shall be added to shoreline cleanup course, finally it is advisable that total 9 types of courses are established with additional refresh course.

  • PDF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ized Response Aid System for HNS (HNS 방제정보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Im Chang-Ho;No Cha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6.06b
    • /
    • pp.215-220
    • /
    • 2006
  • The oil on board is a major source of sea pollutions. Recently, according to increasement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carrying on board. Our greatest concern is how to response HNS spread pollution, addition to response oil spill pollution. This is first aim how can take a speedy and precise response. So introduce to development of the computerized response aid system for HNS.

  • PDF

An study on guide to oil spill response in snow and ice condition in seas (유빙유입에 따른 해양오염사고 대응방안 마련 연구)

  • Lim, Ji Young;Lee, Seung Hwan;Hyun, Chung Guk;Park, Chan Hyu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18.06a
    • /
    • pp.16-16
    • /
    • 2018
  • 2017년 겨울, 기록적인 한파로 인해 바다가 얼면서 인천 앞바다로 유빙이 유입되었다. 2013년 해상에서 유빙이 발견된 이후 약 5년만에 다시 유빙이 등장한 것이다. 중부청 소속 항공단 순찰결과에 따르면, 2018년 1월 12일 인천대교 인근 해상에서 최초로 발견된 이후 강화 연안, 영종도 북단 등 해상에서 광범위하고 불규칙한 형태로 유빙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빙의 문제점은 해상에서 선박의 안전운항을 저해하고 경비함정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며 기름 유출 시, 유출유의 거동 특성이 달라져 일반적인 방제방법의 적용이 곤란한 점이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의 해양오염사고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저온 및 유빙 유입 해상에서 유출유의 거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구분인자를 극한의 추위(Extreme Cold), 유빙(Pack Ice), 정착빙(Fast Ice) 3가지로 분류하여 기름의 성상변화 및 시사점을 살펴보고, 유출된 기름의 효율적 방제를 크게 3가지로 분류(기계적 봉쇄 및 회수, 화학적 분산제의 사용, 현장소각)하였다. 일반적인 방제장비를 저온 및 얼음분포 해상에서 사용 시 슬러시화 된 얼음으로 인해 유출유 회수가 어렵고, 동결온도에서 장비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이미 북유럽 국가에서는 극한의 추위와 얼음분포 해상에 특화된 방제장비를 도입하여 해양오염대비 대응을 하고 있다. 2003년 3월 발틱해에서 불법적으로 유출한 선저폐수를 특화 장비는 brush bucket 유회수기 이용 방제조치한 사례가 있으며, 2006년 5월 같은 장소에서 선박 침몰로 인한 기름 유출이 발생했을때도 brush bucket 유회수기 이용 방제조치를 하였다. 국내에도 이상 기후로 인해 기록적인 한파가 지속되면서 북극에서나 볼 법한 유빙들이 발견되고, 해양오염사고는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해양오염방제의 임무를 맡고 있는 국가기관으로써 특수한 환경까지도 고려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해양오염이 재난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리고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변화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겨울철 유빙 유입은 점점 더 많아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나 방제경험이 부족하므로 일찌감치 북극항로 개발로 앞선 방제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북극이사회를 벤치마킹하여 관할 해역 특성에 맞는 대응방안을 고찰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