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y gifted students drop out of school by examining two gifted students who chose to drop out their schools. The result of triangulation interviews,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the available documen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n regular classrooms they were bored due to the long periods of time they had to wait and they were even unsatisfied at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which they had high expectations for either; second, they did not have any friends to share the same interests; third, they had a hard time due to their emotional sensitivity and a sense of a justice that most other students overlooked; fourth, they had tough experiences with teachers who did not understood their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and finally, they had parents who did their best and tried to support their extraordinary child. From examining the reasons of the gifted students for deciding to leave the school, it should be noted that more interest and care needs to be given to those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s of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peer relationship, the achievement motivations, and the parents' attitudes to science gifted education. It have been conducted to 53 scientifically gifted and 120 non-gifted student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es suggest that there exist few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the motive for achievements and the peer relationship except in the parents' attitude to the gifted student education. This means that the recognition and the attitude of the parents have great influences on non-gifted students especially female students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o take future directions to science fields and choosing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ccordingly, we are in dire need of the changes in the social recognition of science and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seek for the ways of promoting science and supporting engineering graduates at the level of nation, thereby establishing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to make effective human resource arrangeme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gifted education from a reflective perspective. Especially, this research touches upon the issues of selection proces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Most of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mathematics competition or in the programs for preparing such competitions share the similar characteristic: the circumstances that are given for questions are too artificial and complicated; problem solving processes are superficially and fragmentally related to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 previous experience with the problem very much decides whether a student can solve the problem and the speed of problem solving. In contrast, the problems for selecting students for Gifted Education Center clearly show what the related mathematical knowledge is and what kind of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se problems intend to assess. Accordingly, the process of solving these problems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criterion of a student's mathematical ability. In addition, these kinds of problems can encourage students to keep further interest, and can be used as tasks for mathematical investigation later.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initiate further discussions on issues derived from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 selection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8
no.8
/
pp.823-831
/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 parent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of the need for parent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is goal, questions were developed about their recognition for the need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A sample of parents (N=121) was selected.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s developed in this study had proper validity and reliability measurements (Chronbach ${\alpha}=0.93$ for parent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want parent education, but they don't have the opportunities for it. Parents want information on courses, creativity development and counselling. Parents are especially anxiou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ir children's courses. Finally, result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s' needs and experiences in parent education. The results of study give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fully investigate the major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 gif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currently categorized as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but they need to be defined more deeply and separately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Most culturally different gifted children have common problem such as integrating into Korean culture, often suffering from emotional problems and their parents' economic disadvantage. Due to these problems a variety of issues arise. First, culturally diverse talented students have problems due to the alienation and the lack of equal opportunity given to gif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need. Secondly, another issue is whether or not the selection of these students for a gifted and talented program is administered equally and fairly. Thirdly students and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forming relationships. Fourth, there is a dire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a lack of formal education policy. for these students. Fifth, the formulation of a gifted and talented program solely for multicultural students is necessary. Sixth, educating the parents of such students remains a critical challenge. Seventh, the last issue arises from a lack of research regarding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gifted children in Korea. In this study, we discuss each of these issues in-depth. Additionally the future of Korean Multicultural Gifted selection, training in the field, school direction and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in styles of perfectionism, str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gifted musicians by their grade level and examin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stress of gifted musicians on their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8 gifted musicians attending in the middle school of ar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mensions of perfectionism by the grade level of gifted musicians. The tendency of self-oriented, other-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higher with grad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rade level in stresses that gifted musicians experienced. The higher a grade level was, the more gifted musicians got stresses in self-development, parent-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The effect of grade level on career decision-making was significant in the rational and the transitional career decision-making. The higher a grade level was, the more rational decision-making was but the less transitional decision-making was. Meanwhile, when the effect of perfectionism and stress of gifted musicians on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was examined, the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was predicted by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self-development stres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2005.05a
/
pp.139-149
/
2005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양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유아로 키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9곳의 만 5세 96명(창의적인 유아 40명, 일반 유아 56명)과 아버지 96명이었다.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Torrance 창의력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양육태도검사는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에 전반적 창의성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분석시 유창성과 독창성, 개방성요인에서는 창의적인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간 창의성에 있어서 성차는 없었다. 둘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의 자녀창의성 인식에서는 전반적 독창성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차원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창의성수준을 부모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인 유아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에서는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보다 현장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parents about the teachers'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their observations to identify the gifted. We conducted surveys for parents who ha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analysed the results to find out about the differences among parents groups in terms of their monthly incomes and opinions on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for the gift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approx. 80%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changes in the giftedness identification system. Also, 40.5% of the parents positively thought about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positive group), whereas 32.3% of the parents showed their negative opinions about the system (negative group). There were also 27.2% of the parents who did not make their decisions (no-decision-making group). Second, most of the parents accepted that the teachers who were professionally trained in gifted education should be the persons for observing and nominating gifted studen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different monthly income groups of the parents in regards to who should be the person taking charge of recommending the gifted and how trustworthy this person could be. Third, the positive parents' group mostly expected that as the teachers' observation and nomination system is adopted, expenses for private education would decrease, whereas the negative group and no-decision-making group thought that the opposite result would occur. These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he successful adoption of teachers'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system to identify the gif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ren's thinking ability which is based on the genius and the parenting attitude according to their level of age. There were 401subjects including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lived in Seoul city ages from four to six. The Raven CPM testing method for children and the parenting attitude test were used as research tools. Subcategories of the parenting attitude test consisted of the supportive expression, the rational explanation, the achievement press, high involvement, punishment, superintendence, high expectation, and inconsequence. Results showed that by age four children's thinking abilities were affected by the rational explanation, the achievement press, punishment, and superintendence. At age five, the supportive expression and superintendence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 thinking ability. By age six children were affected by the supportive expression, the rational explanation, punishment and high expectation. It was also discussed th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f the parenting attitude sub-scales to the development of the thinking ability. These results showed the parenting attitudes need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ild's age for getting more resonable results to their children's think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v.25
no.6
/
pp.871-878
/
2021
This study analyzed the polarization of softwa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monthly tot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oftware education expenditure,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urveying 2,780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nation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software education. Second, the higher th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higher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on in softwar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t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software-related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urth,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ftwar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software education provided by public education is not sufficient. For this reason,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the amount of expenditure are increasing, and there is a gap in improving the main competencies of student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