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jor Issues and Challenges of Gift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영재의 이슈와 쟁점

  • Received : 2013.06.10
  • Accepted : 2013.06.28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fully investigate the major issues and challeng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The gifted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currently categorized as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but they need to be defined more deeply and separately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Most culturally different gifted children have common problem such as integrating into Korean culture, often suffering from emotional problems and their parents' economic disadvantage. Due to these problems a variety of issues arise. First, culturally diverse talented students have problems due to the alienation and the lack of equal opportunity given to gifted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need. Secondly, another issue is whether or not the selection of these students for a gifted and talented program is administered equally and fairly. Thirdly students and teachers may have difficulty forming relationships. Fourth, there is a dire need to address the issue of a lack of formal education policy. for these students. Fifth, the formulation of a gifted and talented program solely for multicultural students is necessary. Sixth, educating the parents of such students remains a critical challenge. Seventh, the last issue arises from a lack of research regarding the identity of multicultural gifted children in Korea. In this study, we discuss each of these issues in-depth. Additionally the future of Korean Multicultural Gifted selection, training in the field, school direction and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영재와 관련하여 그들의 특성과 교육현장에서의 주요 쟁점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영재교육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하여 탐색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다문화 영재는 현재 소외계층 영재의 한 부분에 속해 있지만 지속적인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인하여 다문화 영재에 관한 보다 심도 깊고 독립적인 정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다문화가정 영재들은 그들이 처한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공통적인 문제들을 가지고 있는데, 문화적 문제, 정서적인 문제, 그리고 부모의 경제적 어려움이 주로 나타나는 문제점들이다. 다문화가정 영재들이 처한 이러한 문제들로 인하여 다양한 쟁점 과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요약해보면, 잠재된 다문화가정 영재들의 소외현상 및 기회의 불평등의 문제; 선발 과정 및 평가 도구의 공정성과 평등성에 관한 문제; 교사와의 관계 원만성에 관한 문제; 다문화 영재를 위한 교육정책 정립에 관한 문제; 다문화 영재교육의 특수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문제;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문제;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영재들의 정체성 연구에 관한 문제 등을 꼽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각각의 쟁점을 심도 깊게 논의하고 이와 더불어 향후 우리나라 다문화 영재의 선발과 교육에 관한 학교 현장에서의 시사점과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다문화 학생 추이. 2011.5.21 보도자료. http://www.mest.go.kr (검색일: 2012. 10. 29)
  2. 김경자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적 문제와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진주교육대학교.
  3. 김경은, 윤노아 (2012).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합의. 사회과교육, 51(1), 123-140.
  4. 김동일 (1999). 학습부진 영재아동. 서울: 원미사.
  5.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 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김미숙 (2005). 북한이탈학생의 남한학교 다니기. 교육사회학연구, 15(2), 23-44.
  7. 김진영 (2009). 초등학교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아동 지도경험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8. 김혜숙 (2009).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를 위한 소고. 창의력교육연구, 9(2), 127-143.
  9. 구수연 (2010). 다문화 현장이 갖는 딜레마: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3(8), 65-92.
  10. 류지영, 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한국영재학회, 20(1), 257-287.
  11. 박경민 (2008). 다문화가족 자녀의 환경적 요인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2. 박계란 (2010).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13. 박숙희 (2009). 소외계층 영재 교육. 영재와 영재교육, 8(3), 5-21.
  14. 박윤경, 이소연 (2009).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실태에 대한 조사 연구: 집단 간 차이와 집단 내 다양성. 시민교육연구, 41(1), 41-71.
  15. 박기용, 박은영, 정은식 (2009). 소외된 과학영재들의 사고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 설계. 과학교육연구지, 33(2), 321-335.
  16. 변수정 (2011). 영재교육원을 통해서 본 다문화 영재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17. 부향숙, 김진한 (2010). 미국 인종 및 민족 정체성 발달 이론으로부터 조망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애 발달 이해. Andragogy Today, 13(4), 59-89.
  18.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동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 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19. 설동훈 (2006). 국민 민족 인종: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동북아다문화시대 한국 사회의 변화와 통합. 동북아시대위원회 용역과제 보고서.
  20. 신혜정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세계일보 2012. 04. 19일자 6면 기사: 농어촌 다문화가정 가난의 굴레서 허덕
  22. 안은미 (2007). 농어촌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3. 양영자 (2008). 한국 다문화 교육의 개념 정립 및 교육과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4. 영재교육종합데이터 (2011). 통계자료. https://ged.kedi.re.kr (검색일: 2012. 10. 29)
  25.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 (2008). 교육과학기술부. http://www.mest.go.kr (검색일: 2012. 10. 29)
  26. 오성배 (2005). 한국 사회의 소수민족 '코시안' 아동의 사례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탐색. 교육사회학연구, 16(4), 137-157.
  27. 오성배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와 대안 모색. 인간연구, 12, 1-15.
  28. 이재분 (2008).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교육 현황과 과제: 국제결혼 가정을 중심으로. 충북교육연구, 9, 48-61.
  29. 이재분, 유경재, 여승수, 김아름 (2011). 소외계층 영재학생 사례 발굴 및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0. 이효녕, 하재영, 오희진 (2009). 대구.경북지역 소외계층 과학영재의 특성 및 요구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3(2), 220-236.
  31.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32. 윤초희 (2011). 관찰.추천 영재판별에서의 측정학적 쟁점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10(1), 99-122.
  33. 윤형숙 (2004).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10월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여성학회.
  34. 조성민, 전동렬 (2012). 경제적,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과학영재의 학습 특성과 전술: 주말 물리 교실 하늘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2(3), 729-755.
  35.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 교육지원을 위한 자료 개발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6. 정현영 (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37. 제갈종기 (2007).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38. 충청투데이 2011. 09. 21일자 9면: 대전시교육청 유럽 5개국 선진 교육기관 순방
  39. 최성보 (2011).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구조분석. 중등교육연구, 59(2), 261-287.
  40. 최현 (2007).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5(2), 147-227.
  41. 통계청조사 (2010). 인구총조사. http://kostat.go.kr (검색일: 2012. 10.31)
  42. 하종덕, 문정화 (2011). 소외계층 영재의 영재교육 서비스 만족도 및 자아효능감. 창의력교육연구, 11(2), 87-105.
  43. 한국교육개발원 (2012). 행복한 영재, 함께하는 부모: 행복한 영재를 위한 부모교육 지침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4. 한국연구재단 (2012). 글로벌 브릿지 사업. www.nrf.re.kr (검색일: 2012. 12. 6)
  45. 한정애 (2009).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정분석.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46. Baldwin, A. Y. (1985b). Baldwin Identification Matrix 2. New York: Trillium.
  47. Banks, J. A. (1993).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sions, and practice. In L. Daring-Hammond (Ed.),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pp. 3-49).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48. Bloom, B. S. (Ed.).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49. Borland, J. H. (2008). 소외계층영재. 소외계층 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공공정책 국제 심포지엄 자료집, 14-22.
  50. Clark, B. (2008). Growing up Gifte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Children at Home and at School (7th Ed.). Merrill; Prentice Hall.
  51. Elhoweris, H. (2008). Teacher judgement in identifying gifted/talented student. Multicultural Education, Spring, 35-38.
  52. Feuerstein, R., Rand, Y., & Hoffman, M. (1979). The dynamic assessment of retarded individuals: The learning potential assessment device, theory, instruments, and techniques. Glenview, IL: Scott-Foresman.
  53. Ford, D. Y., & Tyson, C. A. (2004). Promoting achievement among culturally diverse gifted students: Cultural matters. Gifted Education Communicator, 35(4), 21-25.
  54. Ford, D. Y. (1996). Reversing underachievement among gifted Black student: Promising practices and program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55. Frasier, M. M. (1987).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Black student: Developing new perspective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0, 155-180.
  56. Gagne, F. (1999). Is There any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2, 191-234. https://doi.org/10.1177/016235329902200208
  57.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Books.
  58. Gottfredson, L. S. (2004). Realities in desegregating gifted education. In D. Boothe & J. C. Stanley (Eds.), In the eyes of the beholder: Critical issues for diversity in gifted education (pp. 139-155), Waco, TX: Prufrock Press.
  59. John Houtz (2007). 창의성을 부르는 심리학 [김정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3).
  60. Johnsen, S. K. (2008).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In F. A. Karnes & K. R. Stephens (Eds.),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pp. 135-153),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Prentice Hall.
  61. Lohman, D. F. (2005). The role of nonverbal ability tests in identifying academically gifted students: An aptitude perspective. Gifted Child Quarterly, 49(2), 111-138. https://doi.org/10.1177/001698620504900203
  62. Mercer, J., & Lewis, J. (1978). Using the System of Multicultural Pluralistic Assessment (SOMPA) to identify the gifted minority child. In A. Baldwin, G. Gear & L. Lucito (Eds.), Educational planning for the gifted. (pp. 7-14) Reston, VA: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63. Miller, L. S. (2004). Promoting sustained growth in the representation of African Americans, Latinos, and Native Americans among top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t all levels of the educational system. Storrs, CT: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64. Naglieri, J. A., & Ford, D. Y. (2003). Addressing underrepresentation of gifted minerity children using the Naglier Nonverbal Ability Test (NNAT). Gifted Child Quarterly, 47, 155-160. https://doi.org/10.1177/001698620304700206
  65. Payne, R. K. (1998).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overty (Rev. ed.). Baytown, TX: RFT.
  66. Renzulli, J.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67. Slocumb, P. D., & Payne, R. K. (2000). Removing the mask: giftedness in poverty. Highlands, TX: RFT.
  68. Scott, M. S., Perou, R., Urbano, R., Hogan, A., & Gold, S. (1992).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A comparison of white, Hispanic and black families. Gifted Child Quarterly, 36, 13-139.
  69. Swenson, J. E. (1978). Teacher assessment of creative behavior in disadvantag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2, 338-343. https://doi.org/10.1177/001698627802200318
  70.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New York: Macmillan.
  71. Whitmore, J. R. (1980). Gitfednes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72. Woods, S. B., & Achey, V. H. (1990). Successful identification of gifted racial/ethnic group students without changing classification requirements. Roeper Review, 13, 21-26. https://doi.org/10.1080/02783199009553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