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교육과정

Search Result 65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수학영재판별 토론

  • Bang Se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6.04a
    • /
    • pp.159-172
    • /
    • 2006
  • 효율적인 수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은 수학 영재의 심리적 특성에 적절한 내용과 과정을 선정하고 포함시킨 것으로 시의적절한 것이어야 한다. 수학영재를 판별하는 일은 마련된 수학영재 프로그램에 맞는 수학영재를 선발하는 작업이다.

  • PDF

Developing the Game Based Programm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정보영재를 위한 게임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 교재의 개발)

  • Kang, Shin-Cheon;Kim, Kyng-Hyun;Kim, Eui-Jeo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6 no.1
    • /
    • pp.61-79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m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with using the game. There are many curricula for teaching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to the gifted of information. There are not differences between these programs and the general IT curricula. The gifted of information has some complains about his curriculum(58/60, 96.67%). So this study developed the alternative programming languag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This study concluded the effects of alternative materials for teaching programming language depend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bout programming language with game activity. This study also looks forward to being able to indicate new direction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for the gifted of information.

A Study on the Analysis System of Student's Participation for IT-Gifted Youth Education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참여도 분석시스템 연구)

  • Joo, Jee-Young;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60-264
    • /
    • 2010
  • 본 연구는 2010년 전국 정보과학기술(IT)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선발 과정을 중심으로 과거의 선발 과정과 차이점을 비교해보고, 정보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모집된 결과로 부터 성별, 지역별, 학교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이 1 : 0.29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정보과학기술을 접하기 어려운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역별 분포비율을 조사한 결과 부산지역이 가장 많은 관심 비율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에 한국과학영재학교를 비롯한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정보영재교육원과 같은 정보영재교육의 참여도가 많은 학생들이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약간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좀 더 일찍 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영재교육의 혜택을 경험해보기 위해서이며, 학업의 내용이 학교 교과과정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계발을 위한 학부모와 학생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적 IT 브랜드의 위상이 높아지고 IT의 발전이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본 연구에서는 판단된다.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의 학생 선발 방식이 새롭게 전환되면서 무엇보다도 전국의 많은 학생들이 IT영재교육원의 교육 혜택을 받게 되었다는 점과, 많은 학생들이 온라인 교육을 통해서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창의력과 자기계발 잠재력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Study on the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Science Academy (한국과학영재학교 수학교과과정 개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Kim Hun;Park Eun-Young;Kim Jong-D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0 no.1 s.25
    • /
    • pp.75-86
    • /
    • 2006
  • This study is partially supported Korea Science Foundation.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the result of project to revis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we will discuss the manag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Science Academy. This study also analyze the pattern of taking mathematics course during year 2005. From this analyzing result, we will discuss about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Science Academy.

  • PDF

Education plan for informatics gifted using SMART education methods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의 교육방안)

  • Park, Jaehyeong;Choi, J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447-449
    • /
    • 2014
  • 스마트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활용방식의 변화,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 속에서 정보영재 학생들을 효율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적절한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하지만 정보영재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이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응용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학습활동에 필요한 문제해결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지만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협업 능력 등 미래사회에 필요한 학습자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부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MART 교육 방법을 활용한 정보영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정보영재 학생들에게 미래사회에 필요한 협업, 의사소통능력, 사고력,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후에 정보영재 학생을 위한 SMART 교수학습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Effects of Non-intellective Factors and Process variables of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중학생 영재의 비지적특성과 가정의 과정변인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Song, Kyung-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5 no.2
    • /
    • pp.127-1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variables, personality trait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how much these factors affect this creativity. These results show the major factor in mathematical creativity as being the gender difference between the gifted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is also suggests that the education and living guidance of both gifted male and female students should take a different direction in relation to their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schools. In conclusion, all of the normal intellective and non-intellective factors, as well as home process variables, are the basic major data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mathematical creativity. So, it is with all of this research that the proof for researching synthetically via a new creative research model can be offered.

Performance Assess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수학영재교육에서의 관찰평가와 창의력평가)

  • Shin, Hui-Young;Ko, Eun-Sung;Lee, Kyung-Hwa
    • School Mathematics
    • /
    • v.9 no.2
    • /
    • pp.241-257
    • /
    • 2007
  •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to improve existing examination tools to distinguish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and to clarify procedures and criteria for selecting candidates. Toward this end, it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grades of gifted children selected through evaluation by pen-and-pencil tests and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performance assessment, and analyzed learning activities of the gifted childre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pen-and-pencil tests turned out to have low correlations with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and performance assess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y has high correlations with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om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for gifted children with high marks but had difficulties in adapting themselves to it. It found that there were children who joined the program with low marks but emerged as successive performers later on. In this regard, the existing examination tools to tell the gifted students apart need to be used to the fullest extent, and other diversified tools to evaluate mathematical capabilities that include mathematical creativity need to be further studied and developed. Qualitative studies on affective development of the gifted students and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es need to be conducted.

  • PDF

A natural aptitude and role of teacher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 Kim, Gwang-Ch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63-271
    • /
    • 2004
  • 교육은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는 아동을 조기에 발굴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질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내재된 능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함을 물론 나아가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발전에도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과제이며, 이러한 교육은 우수한 잠재적 능력을 가진 영재에게도 요구된다 할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미미한 실정에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가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이 실제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적합한 영재의 선발 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더불어 초등정보과학영재의 교육의 실제를 담당하고 있는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자질과 소양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명한 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소양과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 그 싹을 피워가기 시작한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정의과학 영재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할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W Gifted Education through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W Gifted Class (SW영재학급 현황 분석을 통한 SW영재교육의 개선 방안 탐색)

  • Shim, Jaekwoun;Kim, Yongcheon;Kwon, Da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1 no.6
    • /
    • pp.711-721
    • /
    • 2017
  • As the importance of SW education increases, the necessity of SW gifted education is being required that early discovery of talented children in SW fields. In 2016, thirty SW gifted classes were set up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SW gifted education began. However, SW gifted education could not be carried out with consistency in detail because each class had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selection methods of gifted students, curriculum and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situation of SW gifted classes in order to decrease the gap of the SW gifted class. In this research, all the SW gifted classes were investigated in the view of the curriculum, environment, student selection and contents through reviewing the installation-performance reports and on-site visits of all classes. Also,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SW gifted classes were described and improvement methods were discussed.

Problem-Solving Oriented Education Method Of Application Software for the Elementary School's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문제해결 중심의 기초기술소양교육 방안)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287-295
    • /
    • 2004
  •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국가의 과학기술이 그 나라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되기 때문에 우수한 잠재력을 가진 영재를 조기에 육성하고 교육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요즘처럼 지식정보사회로의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에 영재교육 중 정보과학영계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사람들은 흔히 '영재'라는 이유로 기초가 되는 부분을 소홀히 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도 마찬가지였다. 대부분 프로그래밍 같은 고급기술을 요하는 것만 중시하지 워드프로세서나 프리젠테이션 프로그램 활용 같은 컴퓨터 사용에 기본이 되는 것들은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맡았다. 하지만 기초가 단단해야 튼튼한 건물을 지을 수 있고, 뿌리가 깊어야 바람에 안 흔들리듯이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기초기술소양교육의 중요성은 무시할 수가 없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강한 호기심과 높은 창의력 등 정보과학영재로써의 많은 것을 갖추고 있지만 단지 기초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보과학영재가 아니라고 단정지어 말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기초기술소양교육은 매우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보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과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기초기술소양교육의 필요성을 생각해 보고,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초기술소양교육을 분석해 보고 단편적인 기능이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의 새로운 기초기술소양교육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