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구변인

검색결과 4,437건 처리시간 0.034초

공공조직 구성원의 자아효능감과 조직몰입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과정 중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작용하는가? (Does Pygmalion Leadership Play a Role in the Process of Public Organization members'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Customer Orientation?)

  • 나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56-367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기업경영 및 공공조직의 환경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조직의 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피그말리온 리더십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접근하였으며, 이에 대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그말리온 리더십과 이를 구성하고 있는 분위기, 피드백, 출력의 3개 연구변인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내리고. 둘째, 개념적으로 정의된 피그말리온 리더십의 3개 독립변인과 자아효능감과 조직몰입의 매개변인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셋째,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매개변인 자아효능감과 조직몰입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연구변인들 간 인과관계의 검증결과를 통해서 공공조직 구성원들로 하여금 피그말리온 리더십이 고객지향성을 제고시켜 나아가는데 어떠한 영향력을 제공하는가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세종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공조직 구성원 252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3과 AMOS 23을 활용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석, 연구변인의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검증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있는 피그말리온 리더십의 연구변인들과 매개변인, 종속변인 간 직·간접적 인과관계의 유의성을 검증하여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소셜미디어 신뢰가 지각된 위험과 자아효능감을 통한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Trust through Perceived Risk and Self-efficacy on Brand Trust)

  • 나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8-69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이 브랜드 신뢰를 높이는 방법으로 소셜미디어 신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브랜드 진정성과 연결하여 지능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찾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소셜미디어 신뢰의 구성과 이론적 고찰을 통해서 접근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신뢰와 이를 구성하고 있는 정보원 신뢰 그리고 메시지 신뢰의 연구변인에 대하여 개념적 정의를 내리고, 둘째, 개념적으로 정의된 두 개 독립변인과 지각된 위험과 자아효능감의 매개변인 간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셋째, 소셜미디어 신뢰의 매개변인인 지각된 위험과 자아효능감을 통해서 브랜드 진정성 그리고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연구변인들 간 인과관계의 검증결과를 통해서 소셜미디어 신뢰로 하여금 브랜드 신뢰를 효과적으로 제고시켜 가는데 어떠한 영향력을 제공하는가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는 표본들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3과 AMOS 23을 사용하여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연구변인의 요인분석 그리고 신뢰성분석,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검증된 연구모형을 구성하는 미디어 신뢰의 연구변인들과 매개변인 그리고 종속변인 간 직·간접적 인과관계의 유의성 검증하여 가설검증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변인 통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Program for Enhancing the Skills of Control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

  • 이윤하;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519-5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변인 통제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했을 때 과학적 사고력, 변인 통제 유형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변인 통제 강화 모형은 변인 통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1단계, 학생들이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여 진행하는 2단계, 자신들이 설계한 실험 과정을 되돌아보는 3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형에 기초하여 변인 통제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모두 9가지이며, 후반부로 갈수록 난이도가 높아진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점수(로슨 SRT)는 다소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사전에 실시한 변인 통제 유형 검사에서는 유형A~유형F까지 고루 분포하였는데 사후에는 변인 통제를 잘하는 유형인 유형A와 유형B가 많았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실시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변인을 통제하는 실험을 하면서 과학적이고 비판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점을 어렵고 힘들어했지만 자신감을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과학교육에서 변인통제 능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 효과 (The Effect of an Enhancing Program for Variable Control Abilities Applied to the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

  • 김희진;김희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51-26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생들의 변인 판별 및 변인 통제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15가지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수업효과를 분석하였다. 변인 판별 및 통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자신의 사고 과정을 모니터하고 인지 활동 결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수업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을 투입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변인 판별 점수가 높았으며, 변인통제 논리 형성정도도 증가하였는데, 특히 변인통제 논리 형성정도가 미형성 단계인 학생들에게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우리가 개발한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변인 판별 및 통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변인 통제 능력 점수와 메타 인지 수준 점수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메타인지 전략이 변인 통제 능력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온라인 과학탐구수업에서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전략 활용, 수강지속의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udents' Perceptions of Classroom on Self-regulations Strategy Use, Persistent Intention, and Achievement in a Context of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 이성혜;채유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365-38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과학영재교육에서 중 고등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활용과 수강지속의사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탐구중심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수강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 434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흥미, 도전감, 의미, 선택권,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인으로, 인지조절전략(시연 전략, 정교화 전략, 조직화 전략, 초인지 전략)과 행동조절전략(노력관리, 시간관리, 도움활용)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변인과 학업성취도와 수강지속의사에 대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연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정교화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과 의미였다. 도전감 인식은 시연 전략 활용과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 변인 중 시간관리 전략 활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도움활용 전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전감이었다. 수업에 대한 인식 하위요인 중 흥미, 도전감, 의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학습자가 후속 강의를 수강하려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전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탐구학습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 차이 연구 (On the type of peer interac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infants)

  • 최항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48-459
    • /
    • 2019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유아의 내적 변인(성별, 기질, 발달)과 환경적 변인(교수효능감, 교수-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군집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간 성별에 대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기질과 언어발달 및 인지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유형 간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실환경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가 긍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할수록 유아의 사회성 기질은 또래 상호작용을 건강하게 유도할 것이며, 언어발달과 인지발달도 긍정적 발달과정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유아가 소유한 내적 변인에 속하는 성별과 기질, 언어와 인지발달, 그리고 환경적 변인인 교수효능감, 교사-유아상호작용, 교실환경이 지니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살펴봄에 있어서 긍정적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 데 그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유아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에 속하는 모든 분야를 살필 수 없어 한정된 범위에서 변인을 결정한 점이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에 해당되기도 한다.

강우강도 데이트를 이용한 세미베리오그램의 추정과 공간이상치에 관한 연구 (On the Estimation of Semivariogram and Spatial Outliers with Rainfall Intensity Data)

  • 유성모;엄익현
    • 응용통계연구
    • /
    • 제12권1호
    • /
    • pp.125-141
    • /
    • 1999
  •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시에 관찰된 자료들이 공간적인 변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면 공간적인 변인의 함수식에 의한 예측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인 변인으로 거리가 주어졌을 때, 공간자료에 대한 세미베리오그램 모형의 추정과 관측되지 않은 지점에 대한 공간예측기법을 정리하였으며, 또한 공간이상치 탐지를 위한 두가지 방법론으로 분포론적 방법과 p-Deletion 방법을 제시하였다. 방법론의 예시를 위하여 강우강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서로 상관되어 있는 공간데이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두가지 방법을 비교하였다.

  • PDF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가 유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Social Support on Teacher's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민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9-177
    • /
    • 2020
  • 본 연구는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내, 외적 변인을 함께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사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변인으로 성격특성을 선정하였으며, 외적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선정하여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가 유아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에 위치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285명이 선정되었다.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는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효능감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는 성실성, 신경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 평가적지지가 영향을 미치며, 일반적 교사효능감에는 성실성, 친화성, 신경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가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이 학부모와 초등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of the Elementary Parent and Students' Perceptions of Value on Computer Science after Creative Computer Science Education)

  • 윤일규;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5-24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정보과학교육 이후, 학부모와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정보교과에서는 많은 연구들은 학생의 교과 내용에 대한 효과에 집중하고 있으며, 학부모에 대한 인식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에 집중하였으며, 실질적으로 학부모들이 정보교과 학습 지지에 관련 있는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부모와 학생의 인식 차이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고, 각 집단이 인식하는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다중회귀분석으로 진행하여 보다 구체적인 영향력을 산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분석결과, 학부모가 인식하는 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흥미 및 만족도 변인이며,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의 변인이 정보과학교육에 대한 가치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Young Children's Adjustment to Childcare Centers : Focusing on the Individual Variables, Peer Competence, and Child-teacher Relationship)

  • 김상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07-23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개인변인(성별, 연령, 기질), 또래유능성, 교사관계와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변인들이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2, 3세 영유아 130명과 학부모, 그리고 담임교사 13명을 대상으로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교사관계, 어린이집 적응에 대해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의 연령에 따른 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 및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더 잘 적응하였으며, 새로운 자극에 대한 회피성이 높고 지구성이 낮을수록 잘 적응하였다. 둘째, 영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있어서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더 잘 적응하였다. 셋째, 영유아가 교사와 친밀할수록 그리고 갈등이 적고 의존성이 낮을수록 어린이집에 전반적으로 더 잘 적응하였다. 넷째,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대한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개인변인은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교사와의 갈등 정도, 또래관계의 주도성, 그리고 교사와의 친밀감 순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