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량지수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넷 과의존 요인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인터넷 취약성 지수 개발 (Development of Internet Vulnerability Index for Youth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y Analysis)

  • 정남수;최명옥;이영선;안후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45-35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인터넷 취약성 지수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8년 인터넷 과의존 원인분석을 위한 장기추적조사의 원자료를 사용했으며,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터넷 취약성 지수의 대안군과 개인심리와의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주변과의 관계를 가족수용존중, 또래애착, 교사호감 등 긍정적인 3개 요인에 대해 9개 문항을 합산하여 지수화하였다. 주변과의 관계 및 자기 낙인과의 부의 관계를 확인하여 주변과의 관계가 인터넷 취약성과도 부의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고, 디지털 역량도 인터넷 취약성과 부의 관계에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식을 구성하였다. 도출된 인터넷 취약성 지수의 구체적인 형태를 개발하기 위하여 개인심리와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과의존을 그대로 쓰는 모델보다 주변과의 관계, 디지털 역량을 모두 고려한 경우 개인심리 중 긍정적인 요인들과 R값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농식품 소비자역량지수와 식품소비행태에 관한 연구: 2019년 식품소비행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index and food consumption behaviors based on the 2019 Consumption Behaviors Survey for Food)

  • 김은경;권용석;이다은;장희진;박영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2호
    • /
    • pp.199-2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19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인 6,176명의 농식품 소비자역량지수에 따른 식품의 소비행태를 남녀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성인의 농식품소비자역량지수 수준에 따른 식품소비와 식행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역량지수가 높은 군이 자신의 식사에 만족하였고, 식품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높고 식품표시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소비자역량지수가 낮은 군은 지인을 통해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소비자역량지수가 높은 군은 식품 포장지의 표시나 문구를 통해 얻는 비율이 더 높았다. 국산 농산물과 지역농산물, 친환경식품에 대한 관심도 소비자역량지수가 높을수록 높았고, 수입식품보다 국산 식품에 대한 지불가치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농식품 소비자역량지수는 식습관과 식품의 소비행태뿐만 아니라 영양표시 이용과 국산 농식품에 대한 지불 가치와도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농식품 정책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 개발은 소비자의 농식품 정책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이고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소비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캐릭터산업의 권역별 문화콘텐츠 역량과 R&D 성과 분석 (The analysis of regional Character industry - CT competence level and R&D performance)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231-242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중 캐릭터산업의 권역별 경쟁력을 권역별 산업체수, 종업원 수, 매출액에 기초한 LQ 입지계수로 분석하였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캐릭터산업의 R&D 역량 측면의 권역별 경쟁력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 인력, 인프라, 네트워크 역량을 기준으로 권역별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여, 비교 우위의 경쟁력을 제시하였다. 권역별 입지분석 평균지수를 살펴보면 수도권이 포함된 경우 기업 매출에 있어 모든 권역이 LQ지수 1이상의 경쟁력을 보임에 따 라 평균적으로 모든 권역이 경쟁력을 보였다. 수도권을 제외한 경우는 제주권, 동남권이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캐릭터산업의 R&D 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 인력, 인프라, 네트워크 역량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 권역이고 경쟁력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권역별 캐릭터 산업의 경쟁력은 수도권, 제주권, 동남권이 비교우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 간 협업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리더십과 흡수역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operation activation among business: Focused on Leadership, Absorptive Capacity)

  • 전향옥;현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89-198
    • /
    • 2016
  • 최근 국내 외의 금융 위기는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을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 국내 대다수 기업들은 자금부족 뿐만 아니라 인력부족, 시장 정보부족 등으로 혁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중소기업 간 협업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고 있으며, 협업 사업은 중소기업의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협업 활성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협업에 대한 의지가 부족하다. 협업과정은 복잡하고 상호의존적으로 얽혀 있어서 정부지원만으로 기업의 협업 의지를 높이기 어렵다. 본 연구는 협업적 리더십과 창의적 리더십이 기업 구성원의 협업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흡수역량(absorptive capacity)에 따라 이들의 관계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창의적 리더십은 흡수역량과 협업 지수에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협업적 리더십을 통해 흡수역량과 협업 지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 간의 협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의성과 성과를 강조하는 기업 문화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유연하고 개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는 조직 문화 환경을 만드는데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Comparison of Innovation Capabilities - The Case of Chinese Regions -

  • Li, Hang;Kim, Sang-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25-234
    • /
    • 2022
  • 혁신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중진국의 함정에서도 빠져 나올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국의 지역별 혁신역량을 비교하기 위해 혁신 투입, 혁신 산출, 혁신 환경의 관점에서 지역혁신지수를 구성하고, 주성분 분석과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중국 31개 성, 직할시, 자치구의 지역혁신지수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중국의 지역혁신역량은 지역별 차이가 크며 혁신역량이 높은 지역은 주로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동남 연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혁신역량과 지역경제발전 수준과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군집분석은 31개의 지역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류결과에 의하면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연해안 지역의 혁신역량이 높고 이는 이들 지역이 입지적인 우위와 국가정책에서의 우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디지털콘텐츠분야 학생역량 평가지수 개발 (Students Competency Assessment Index in Digital Contents Criteria)

  • 여현진;최규혁;김미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3-214
    • /
    • 2015
  • 디지털콘텐츠 교육은 실용학문 분야로써 게임 프로그래밍, 게임 아트, 특수효과, 3D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직무영역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용학문은 대학교육 기간 동안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배양하여야 하며, 그러한 능력을 역량(Competency)라고 일컫는다. 본 논문은 디지털콘텐츠 분야 학생들이 실용학문으로써 직무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을 받고 있음에 맞추어 디지털콘텐츠 직무분야별 학생들의 평가를 기존의 교과목 기준이 아닌 직무에 맞는 종합역량을 평가하는 지수를 개발한다.

  • PDF

대학 CTL 교수지원프로그램 맞춤형 교수역량진단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Competency Scales: Focused on CTL Teaching Program)

  • 강대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9-59
    • /
    • 2022
  • 본 연구는 A대학 교수학습센터(Center for Teaching & Learning)의 교수지원 프로그램 특성에 부합하는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3개 역량군(기본역량, 실천역량, 혁신역량)과 13개 교수역량, 26개 하위역량 요인으로 구성된 잠정적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설정하였다. 잠정적 교수역량 진단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2020년 11월에 A대학교 교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데이터를 정리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기본역량, 실천역량, 혁신역량 3개 역량군에 포함되는 26개 하위역량이 17개로 축소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CTL 맞춤형 교수역량(하위역량) 17개 영역, 79개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또한 확정된 교수역량 요인의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 판별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CTL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신규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 개발 사례 (A Case of Developing a Competency model for the revision of the dentistry education curriculum on the competency-based)

  • 황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47-35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W치과대학의 역량기반 치의학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방법은 역량모델 개발절차를 3단계로 진행하였다. 역량모델 준비 단계는 구성원의 인식조사를 분석하고, 개발단계는 역량수준 등을 개발하였다. 평가단계는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그 결과 내용타당도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는 .91로 높은 CVI를 나타났으며, 대학차원의 공통역량인 4개의 핵심역량과 전공역량인 직무역량을 연계한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걸쳐 개발된 W치과대학의 역량모델 개발 사례는 앞으로 역량모델 개발이 필요한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W치과대학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편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무역수출 라이브지수를 활용한 중소수출기업 발굴 연구 (A Study on Detection of Small Export Companies Utilizing Trade Exports Live Index)

  • 김희천;임춘성;성주원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5-126
    • /
    • 2019
  • 무역수출 분야에서 수출 지수에 관한 논의는 수차례 있었으나 객관적 지표로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무역수출 지수는 없다. 한국무역협회(KIT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에서 지표를 만들고자 하는 시도를 하고 있으나 수출기업의 역량을 표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현재 계속 고민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규모, 신용도와 같은 공시지표와 거래고객수, 거래횟수, 상품개수, 거래량, 거래기간 등의 활동지표를 feature로 설정하여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딥러닝 알고리즘에서 Lightgbm을 이용하여 수출 가능 기업에 대한 분류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기업이 속한 산업 군집 분류 모델로 Graph Neural Network을 사용하여 기업간, 품목간, 사업군에서의 수출 가능 역량을 표현하는 수출 Live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는 지수를 산출하는 현재로부터 기업의 과거 활동을 포함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