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9.19.04.345

Development of Internet Vulnerability Index for Youth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y Analysis  

Jung, Nam-Su (공주대학교)
Choi, Myeong-Ok (한국정보화진흥원)
Lee, Young-Sun (한국정보화진흥원)
Ahn, Hu-Nam (한국기술교육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rnet vulnerability index of adolescents. To do this, we used the original data of long - term follow - up survey for the internet overdependency cause analysis conducted by NIA in 2018,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alternatives of internet vulnerability index and personal psychology by using linear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s was indexed by adding 9 items to positive factors such as family acceptance, peer attachment, and teacher favor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roundings and self - stigmatization is confirm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rroundings and the Internet fragility is predicted to be negatively related, and the digital capacity is also assum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ernet vulnerability. In order to develop the specific form of the Internet vulnerability index, personal psychology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positive factors and R value of personal psychology were increased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and the digital capacity rather than the Internet overdependency model. Based on these implication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Internet overdependency; Vulnerability Index; Digital Literacy; Personal Psychology; Youth;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K. Y. Yoo and I. E. Kim, "Development and applicati1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Vol.2008, No.5, 2008.
2 R. B. Taylor and M. Hale, "Testing alternative models of fear of crime," J. Crim. L. & Criminology, Vol.77, p.151, 1996.   DOI
3 송일호, 곽대경, "노인의 범죄두려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취약성 가설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제20권, 제5호, pp.181-204, 2018.
4 이안나, 박승민,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관계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정관계 질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9호, pp.269-291, 2018.
5 김지선, 여성에서 병리적 자기애의 웅대성과 취약성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강화민 감성의 매개효과, 한양사이버대학교, 2018.
6 조수연, 안귀여루, "중학생의 NEO 청소년 성격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취약성의 관계: 문제 중심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4호, pp.55-75, 2018.
7 김현진,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77-294, 2004.
8 신원우, "심리적 취약성이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3호, pp.81-105, 2010.
9 정용, 취업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우울과 스트레스취약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신대학교, 2019.
10 리신호, 민흥기, 윤성수, 정남수, 장우석, "권역단위사업에서 주민 갈등 분석에 의한 사회적 취약성 평가," 농촌계획, 제21권, 제5호, pp.77-87, 2015.
11 김병년, 최홍일, "과보호적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9권, 제1호, pp.1-25, 2013.
12 한국인터넷진흥원, 2017년 인터넷 이용 실태조사 요약보고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1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14 W. C. Becker, Consequence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rch, 1964.
15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6.   DOI
16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2권, 제2호, pp.170-189, 2004.
17 김지영, 류현숙, "학령기 아동의 인터넷 중독과 가정환경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제9권, 제2호, pp.198-205, 2003.
18 김선우, 김태현, "가족.학교.인터넷 사용 환경요인과 중학생의 인터넷 의존간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5-49, 2011.
19 전춘애, 박철옥, 이은경,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상담학연구, 제9권, 제2호 pp.709-726, 2009.   DOI
20 D. Markland, R. M. Ryan, V. J. Tobin, and S. Rollnick, "Motivational interviewing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4, pp.811-831, 2005.   DOI
21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욕구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2 권두순, 김진화, 유철하, 김세준, "자기결정성 요인이 스마트폰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97-220, 2011.   DOI
23 유지연, 청소년의 또래 압력과 스마트폰 사용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4 김효정, 안현숙, "스마트폰 이용자의 자기결정성 이론이 플로우 및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35-45, 2015.   DOI
25 신보라, 이희경, "청소년의 모애착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친구관계 질을 통한 기본심리욕구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2호, pp.1-22, 2013.
26 S. Satel and S. O. Lilienfeld, "Brainwashed: The seductive appeal of mindless neuroscience," New York, NY, US: Basic Books, 2013.
27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인터넷 과의존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2019-2021), 관계부처 합동, 2019.
2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 문제행동 저연령화 실태 및 정책과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29 신성만, 고영삼, 인터넷 중독의 대체 용어로서 인터넷 과의존의 개념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30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년 정보문화포럼 정책연구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 2016.
31 김은영, 성소영, 최명구, "자기결정 동기 유형에 따른 부모의 자율 성지지 환경,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동기, 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5호, pp.1-27, 2014.
32 S. Carretero, R. Vuorikari, and Y. Punie, "The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citizens: With eight proficiency levels and examples of use," EU Science Hub.
33 양옥경, "가족관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8호, pp.119-147, 2001.
34 김경숙, 남현우, "탈비행 청소년의 비행정체성에 대한 낙인이론과 정체성이론의 변인 비교," 한국청소년연구, 제25권, 제2호, pp.209-236, 2014.
35 김우리, 박영희, 김정섭,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자아정체성, 진로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심리연구, 제28권, 제2호, pp.333-352,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