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주분말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5초

여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Quality for Sulgidduk with Momordica charantia L. Powder)

  • 윤숙자;이영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35-1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여주 분말을 5가지 농도(0%, 2.5%, 5%, 7.5%, 10%)로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설기떡의 pH는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01),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 증가하였다(p<0.001). 여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L값(명도)은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a값(적색도), b값(황색도)는 시료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또한, 경도(p<0.001), 응집성(p<0.01), 씹힘성(p<0.01)은 여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탄력성, 검성은 여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설기떡의 항산화능은 DPPH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여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또한, 여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관능검사 결과, 여주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 향, 쓴맛, 단맛, 부드러운 정도, 씹힘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01), 전반적인 기호도는 5% > 2.5% > 7.5% > 10% > 0% 순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여주분말을 설기떡에 첨가하였을 때 기능성 떡 제조에 활용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여주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Momordica charantia powder)

  • 이선호;홍은진;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5-3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여주의 기능성을 활용한 양갱을 제조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소비자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쓴맛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하여 건조한 여주를 $180^{\circ}C$에서 roasting하였다. 생리활성 물질인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raosting한 여주 물추출물에서 $6.30{\pm}0.17mg/g$으로 가장 높은 추출률을 보였다. Phenolics 농도를 $50{\sim}200{\mu}g/mL$으로 조절하여, non-roasting한 생여주와 roasting한 볶은여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non-roasting한 여주와 roasting한 여주가 각각 74.06~92.71%, 86.06~94.07%이었으며, ABTS는 36.26~98.03%와 67.02~99.60%이었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는 2.19~2.25 PF와 2.20~2.36 PF이었으며, TBARS는 13.81~40.97%와 23.32~82.47%이었다. 여주 알콜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50{\mu}g/mL$의 저 농도에서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또한 roasting한 여주가 non-roasting한 여주보다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저해 효과는 non-roasting한 여주의 경우 알콜 추출물에서는 물추출물에 비해 높은 효소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첨가하는 여주 phenolics에 대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효과가 높아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여주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양갱은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등의 기계적 조직감과 색깔 등이 첨가되는 여주분말의 농도에 비례하여 품질이 나빠졌다. 또한, non-roasting 여주 분말을 사용했을 때는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색, 향, 맛, 조직감, 전체적 기호도 등의 관능적 특성이 나빠졌으나, roasting한 여주분말을 사용했을 때는 1% 이하의 저 농도에서는 관능적 특성이 오히려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주분말을 부재료로 사용하여 양갱을 제조할 때, 기능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한다면 roasting하여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며, 사용농도는 1% 이하의 농도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당뇨유발 흰쥐에 있어 여주분말의 항당뇨 및 항산화작용에 대한 연구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itter Melon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연정;왕수경;박운규;오지혜;황석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04-5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Streptozotocin에 의한 당뇨 유발 흰쥐에 대한 여주 분말의 항당뇨병 및 항산화능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정상 및 대조군에 AIG-93M식이를 공급하였고, 여주첨가 군에는 1%, 2%, 3%의 여주 분말을 공급하였다. 2주 후 Streptozotocin 투여로 당뇨를 유발하였다. 동물 희생 후 혈당조절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여주 첨가군의 혈당 수준은 모두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2% 여주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2%, 3% 여주 첨가군의 혈청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고밀도지질단백질-콜레스테롤 수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가 나왔다. 당뇨 유발 군의 혈청 인슐린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당화혈색소는 2% 및 3% 여주첨가 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간 조직에서 항산화 효소의 수치는 2% 여주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당뇨병 예방 및 당뇨병 치료를 위한 여주 분말의 항당뇨병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여주분말 함유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함량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chemical property, phytochemical cont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soy sauce added with bitter melon powder)

  • 황정은;이동희;주옥수;이희율;김수철;박경숙;엄봉식;조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38-1148
    • /
    • 2017
  • 본 연구는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의 기능성 화합물인 phenolic acid(p-hydrobenzoic acid)와 이소플라본(daidzein 및 genistein)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주 분말 10% 첨가 간장의 pH 변화는 5.83(0% BMP), 5.47(5% BMP) 및 5.32(10% BMP)에서 5.28, 5.36 및 5.16으로 감소하였고, 총산은 반대로 0.06%, 0.07% 및 0.09%에서 0.30%, 0.28% 및 0.36%로 증가하였다. 한편 염도는 감소하였고, Bacillus와 효모의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은 모두 공통적으로 90일째 isoflavone 배당체 형태가 감소하는 반면, total phenolics 및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과 phenolic acid 함량, 항산화 활성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활성은 증가하였다. 특히 10%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의 경우 glutamic acid(GA, 9,876.09 mg/100 mL)와 ${\gamma}$-aminobutyric acid(GABA, 325.02 mg/100 mL) 함량이 다른 간장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0% 여주 분말 첨가 간장은 90일째 항산화 활성(DPPH, ABTS, ${\cdot}OH$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과 ${\alpha}$-glucosidase 저해율은 각각 96.07%, 97.27%, 59.47%, 1.98, 및 79.96%로 아주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주 분말 함유 쌀누룩을 이용하여 제조된 막걸리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kgeolli prepared using rice nuruk containing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 조계만;황정은;안민주;이희율;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9-2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밝혀져 있는 여주 분말을 첨가하여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 누룩을 이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여주 분말-쌀누룩(BMP-RN)은 BMP를 0, 0.5, 1.0 및 2.0%로 쌀에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막걸리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발효 특성, 미생물 특성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막걸리 발효 중 pH는 담금 직후(발효 0일째) 각각 4.52(0% BMP-RN), 4.93(0.5%), 4.80(1.0%) 및 4.88(2.0%)에서 발효 7일째 4.15, 4.30, 4.57 및 4.77로 감소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총산은 0.60~0.78%에서 1.18-1.42%로 증가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은 발효 초기(0일째) $2.2{\sim}4.4^{\circ}Brix$에서 발효 종기(7일째) $8.6{\sim}9.3^{\circ}Brix$로 증가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기 13.0%로 증가하였다. 한편, 수용성 phenolics 함량은 발효 0일째 각각 0.92~1.41 mg/mL에서 발효 종기(7일째) 1.85~2.48 mg/mL로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은 각각 발효 0일째 46.95~70.04%, 55.33~74.13% 및 0.629~1.243에서 발효 7일째 54.98~83.4%, 70.34~92.39% 및 0.964~1.455로 증가하였다. 여주 분말 첨가 막걸리가 여주 분말 무첨가 막걸리(일반 막걸리)보다 수용성 phenolics 및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이 결과로 여주-쌀누룩을 이용하여 기능성 막걸리 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주 첨가 청국장 발효 중 phytoestroge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 in phytoestrogen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with bitter melon)

  • 조계만;주옥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9-12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여주 분말(bitter melon powder, BMP) 첨가 청국장 발효 중 ${\beta}$-glucosidase 활성 변화, 총 phenolics와 isoflavone 함량, 항산화 활성 변화 및 관능평가를 조사하였다. 청국장 발효 중 ${\beta}$-glucosidase 활성은 48 hr까지는 증가한 후 72 hr에는 감소하였으며, 총 phenolics, isoflavone-malonylglycoside 및 isoflavone-aglycone 함량은 증가하였고 이에 상응하여 항산화 활성 역시 증가하였으나, 총 isoflavone 및 isoflavone-glycoside 함량은 감소하였다. 한편, 발효종기 5% BMP 첨가 청국장은 또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72 hr 후 5% BMP 첨가 청국장의 총 phenolics와 daidzein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은 각각 13.5 mg/g, $390.57{\mu}g/g$, 90.74%, 99.79% 및 1.705($OD_{593nm}$) 있었다. 부가적으로 여주 분말이 첨가될수록 청국장의 이취도는 감소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여주 분말 첨가로 기호성과 항산화 활성이 개선된 새로운 타입의 청국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주 함유 된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during the fermentation of Doenjnag with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 황정은;주옥수;이진환;송영훈;황인국;조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4-144
    • /
    • 2017
  • 본 연구는 여주 분말 첨가 된장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화합물(isoflavones과 phenolic acids) 및 생리활성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된장 발효 중 pH는 6.41-5.83에서 5.81-5.24로 감소하였고, 반면에 산도는 0.42-0.65%에서 1.28-1.48%로 증가하였다. 고초균과 효모 생균수, 염도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종기(60 일)에 증가하였다. 특히, 발효 후 10% 여주 분말 첨가 된장은 가바(GABA, 129.87 mg/100 g) 함량이 다른 된장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함량이 높았다. 발효 후 된장은 발효 전 된장 시료보다 생리활성이 높았다. 발효 후 phytochemicals 화합물 중 isoflavone-aglycones과 phenolic acids는 증가하였고, 반면에 isoflavone-glycosides는 감소하였다. 게다가, 발효 후에 총 phenolics, isoflavone-aglycones과 phenolic acids 함량은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항산화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여주 분말 첨가로 항산화와 항당뇨 활성이 개선된 새로운 타입의 된장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물리적 분쇄에 의한 세리신 분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Silk Sericin Powder Prepared by Mechanical Treatment)

  • 이광길;권해용;이룔우;여주홍;우순옥;조종수;김기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2-86
    • /
    • 2002
  • 고온고압법으로 추출한 세리신을 동결건조한 후 가정용 믹서기, 볼밀, 울트라밀 등 을 사용하여 물리적으로 분쇄하여 제조한 세리신 분말의 구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아미노산 조성 분석, 적외선 분광분석, X-선 회절분석, 열분석 등을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물리적 방법으로 분쇄하여 제조한 세리신 분말의 수율은 60% 정도였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는 50% 정도로 대조로 사용한 세리신 스폰지(98%)에 비하여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2. 물리적 분쇄조건에 따라 세리신 분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3. 세리신 분말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방법으로 분쇄하여 제조한 세리신 분말의 염기성 아미노산인 아르기닌의 함량이 대조(3.73)에 비하여 0.03∼0.07로 현저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4. X-선 회절 분석 결과 물리적 분쇄에 의하여 세리신 분자의 규칙성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외선 분광 특성이나 시차열특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여주를 첨가한 발효음료의 소화효소 억제와 항산화 활성 (Inhibitory Activities of Digestive Enzym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Beverages Using Momordica charantia L.)

  • 박수인;여성순;이영승;정윤화;김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08-1315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L.)와 유산균의 기능성을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을 갖춘 발효 음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여주에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reuteri를 각각 접종하여 여주 유산균 발효음료를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억제 효과를 연구하였다. 여주 유산균 발효음료의 pH는 24시간 발효 후 감소하였으나 총산 함량은 발효시간이 진행될수록 꾸준히 증가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발효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8시간 발효 후 모든 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모든 발효음료군에서 48시간 발효 후의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은 91.24~95.05%로 높았으나 ${\alpha}$-amylase의 저해 활성은 14.21~19.00%로 낮았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활성 모두 여주 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여주 유산균 발효음료의 프로바이오틱 효과와 탄수화물 분해효소 저해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이들이 기능성 음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여주씨에서 분리한 Vicine과 α-Eleostearic Acid의 α-glucosidase 저해효과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Vicine and α-Eleostearic Acid from the Seeds of Momordica charantia)

  • 육흥주;노건민;최정숙;권오경;홍수영;강상수;조계만;박동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7-63
    • /
    • 2015
  • 최근 들어 여주의 혈당개선의 약리학적 효능이 보고됨에 따라 기능성 채소로 각광받고 있다. 주로 여주 과실만이 식용으로 쓰이지만 여주씨 또한 다양한 가공과정을 거칠 경우(건여주 혹은 건조분말, 환, 엑기스 등) 필연적으로 함께 섭취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실이외의 특히, 연구결과가 미비한 여주씨에 대해 생리활성물질의 구명 및 혈당개선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양한 추출물 및 단일 활성성분의 혈당개선 in vitro검증법인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하였고,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 또는 활성성분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95% 에탄올 추출물 및 비극성 용매 등에 다량 추출되는 생리활성물질인 ${\alpha}$-eleostearic acid는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IC_{50}=43.4{\mu}g/mL$). 또한 효소저해제의 함량을 HPLC를 통한 정량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여주씨에 함유된 기능성성분의 혈당개선 식 의약 소재로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