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 아세테이트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6초

주박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Ethyl Acetate Extract of Korean Rice Wine Lees Inhibits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Mice)

  • 강여진;박세진;배기호;유정민;표형배;최지호;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364-1369
    • /
    • 2011
  • 제 1형 과민반응은 비만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알러지 반응으로서, 예기치 못한 알러젠에 의해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어 탈 과립 되면서 히스타민등과 같은 여러 가지 매개체들을 분비하면서 과도하게 면역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주박(Korean rice wine lees)은 청주, 약주 등의 술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양조 부산물로서, 최근들어 청주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술 지게미의 생리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박의 ethyl acetate (EA)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박 EA 추출물이 탈과립의 표지인 ${\beta}$-hexosaminidase의 양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탈과립억제 현상이 다양한 사이토카인 중 IL-3과 IL-13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매개된다는 사실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쥐에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를 유도하여 EA를 경구투여 했을 때 anaphylactic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박 EA 추출물이 항 알러지 약물의 개발에 잠재적인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제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을 생산하는 방선균의 분리.동정 및 항균효과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reptomyces sp. that Produces Antibiotics Against Multidrug -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이기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7-42
    • /
    • 2011
  • 계룡산 지역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항생제 다제내성균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항생물질 생산균주를 분리, 탐색하는 과정에서 Streptomyces sp. KH223균주를 선별하였다. 분리균주의 생화학적 특징과 16S ribosomal D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분리균주가 Streptomyces galbus에 속함이 확인되었다. 분리균주의 배양 상등액은 49종의 Acinetobacter baumannii 외 다양한 세균과 진균 등에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분리균주의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0여종의 A. baumannii에 최소생육저해농도 범위 0.8 ${\mu}g$/mL에서 5.0 ${\mu}g$/mL 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기 분리된 cyclo(trp-trp)의 최소생육저해농도 범위 12.5 ${\mu}g$/mL 보다도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각의 유기용매 분획물과 cyclo(trp-trp)은 Candida albicans IFO 6258, Bacillus subtilis IAM 1069, Micrococcus luteus JCM 1464, Aspergillus niger ATCC 9642, Streptomyces murinus JCM 4333 등 5종의 세균과 진균에 대해 2.5 ${\mu}g$/mL에서 50 ${\mu}g$/mL 범위의 비교적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분리균주의 유용성과 앞으로 추가적인 정제, 물질동정 실험을 통하여 새로운 항생물질을 탐색하는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 및 부착 억제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dherence Inhibition on Streptococcus mutans by Ethyl Acetate Extract from Caesalpinia sappan L.)

  • 권현정;김용현;한국일;전미애;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5-162
    • /
    • 2012
  • 본 연구는 소목(Caesalpinia sappan L.)의 6가지 유기용매 분획물 중 IP-3의 항균활성을 및 부착능을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Methanol에 의해 분리된 소목의 항균 물질 수율은 총 4.8%로 나타났으며, 여러 분획물 가운데 EtOAc 분획물(IP-3)에서 3.9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다. 2. 소목의 EtOAc 분획물에서 최종 정제된 활성물질은 UV 288.3 nm에서 최대 흡수피크를 나타내었으며, NMR spectrum을 통해 brazilin(($C_{16}H_{14}O_5$)으로 확인되었다. 3. S. mutans에 대한 소목의 EtOAc 분획물의 항균 활성은 최소억제농도(MIC) 3.1 mg/ml에서 균의 생장을 억제하였다. 4. S. mutans 부착억제효과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A)를 S. mutans와 24 시간 동안 함께 배양한 대조군은 균 부착률이 높게 관찰되었으나, 소목의 EtOAc 분획물을 처리한 군에서는 HA에 S. mutans의 부착이 매우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소목에서 추출된 EtOAc 분획에 존재하는 brazilin이 구강 내 우식원성세균에 강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S. mutans의 부착 억제능이 확인되어 우식원성 균주에 대한 생약치료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취뿌리 에탄올추출물의 유전독성 억제효과 (Suppress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ster scaber Root on Genotoxicity)

  • 함승시;황보현주;최승필;이의용;조미애;이득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66-471
    • /
    • 2001
  • 염색체 이상유발물질인 benzo($\alpha$)yrene(B($\alpha$)P) 을 마우스에 50, 100, 그리고 150 mg/kg으로 투여한 경우의 소핵생성은 각각 6.6$\pm$0.6, 9.2$\pm$0.6 그리고 10.4$\pm$0.9로서 농도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1.4$\pm$0.4의 소핵생성을 나타내었다. B($\alpha$ )P을 150 mg/kg과 참취뿌리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50. 100, 150 그리고 200 mg/kg으로 동시에 투여한 경우 각각 24.50, 22.55, 59.80 그리고 79.41%의 소핵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참취뿌리 용매분획물 실험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분획물이 시료농도인 10 mg/kg의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3.9, 35.3, 40.2, 11.8 및 49.0%의 소핵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시료농도 80 mg/kg의 투여군에서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78.4. 65.7. 75.5, 68.6 그리고 77.5%의 소핵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참취뿌리 에탄올추출물의 용매분획물은 80 mg/kg의 투여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소핵생성 억제율이 나타났다.

  • PDF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Gnaphalium Affine D. DON)

  • 임나리;김해수;하지훈;노근영;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70-4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떡쑥 추출물로부터 3가지 dicaffeoylquinic acid (DCQA)를 분리 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고, 항산화 활성,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떡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 $^1H$-NMR 및 MS 분석을 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은 총 3가지 DCQA 유도체 : 3,5-dicaffoylquinic acid (3,5-DCQA, 1), 4,5-dicaffeoylquinic acid (4,5-DCQA, 2), 1,5-dicaffoylquinic acid (1,5-DCQA, 3)로 나타났다. 분리된 compound 1-3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활성($FSC_{50}$)은 각각 3.70, 5.80 및 $5.50{\mu}M$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FSC_{50}=21.90{\mu}M$)과 비교하여 더 큰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1O_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tyrosinase 저해활성($IC_{50}$)은 각각 0.15, 0.16, 및 0.13 mM로 미백성분으로 알려진 arbutin ($IC_{50}=0.33mM$)과 비교하여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세 가지 DCQA가 식품 또는 화장품 산업에서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내당성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에 의한 늦수확 후지 사과의 사과주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ider from late harvest Fuji apples by a sugar tolerant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SS89)

  • 김동현;이새벽;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17-924
    • /
    • 2014
  • 정상수확 후지와 늦수확 후지 사과를 속성 발효 효모인 S. cerevisiae SS89로 발효하면서 발효 특성을 조사하는 한편 사과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정상수확 및 늦수확 후지사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13.0, $13.6^{\circ}Brix$로서 늦수확 후지 사과가 다소 높았으나 총산의 함량과 경도는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과주의 발효 중 pH와 총산 함량의 변화는 거의 유사하였으나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 알코올 함량 및 효모 생균수의 증가에 있어서 늦수확 사과의 경우가 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 말기 잔존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최종 알코올의 농도는 수확기와 무관하게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늦수확 사과주의 경우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다소 낮기는 하였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1.27 mg/mL, DPPH 라디칼 소거능이 89.5%로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malic acid 함량과 hue 값, 명도 및 황색도 등이 다소 높았으나 아세트알데히드, 에틸아세테이트, 고급알코올의 함량 등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늦수확 사과주는 향에 있어서는 유사한 값을, 색에 있어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맛에 있어서 정상수확 사과주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방 발효주 주박 추출물의 미백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Extract from Jubak of Oriental Herbal Liquor)

  • 이수민;이상진;권이영;백상훈;김종식;손호용;신우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95-17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한방 발효주 주박의 피부 생리 기능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박 추출물 및 분획물을 준비하고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중 한방 발효주 주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KSD E4-3)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다양한 약재의 발효에 의한 효과로 사료된다. KSD E4-3은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tyrosine을 기질로 melanin이 형성되는 pathway에 관여하는 주요한 인자인 TRP-1과 TRP-2를 저해하는 작용 기전을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 물질인 melanin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KSD E4-3은 피부의 keratinocyte가 생성, 분비하는 MMP-1, -2, -9의 발현을 억제하여 UV 조사에 의한 피부 광노화에 따른 피부 주름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방 발효주 주박에서 추출한 KSD E4-3은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기능성 화장품의 주요한 소재로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울금 주정추출물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 김지혜;박정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1-1687
    • /
    • 2014
  • FCEE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FCEE가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CEE($200{\mu}g/mL$)를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과 AdipoRed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과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10.2%, 13.7%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작을 확인하고자 포도당 유입량과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 처리 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포도당 유입량이 36.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도 8일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FCEE의 처리로 분화가 억제되어 지방구의 형성이 억제되고 배양액으로 배출되는 유리 글리세롤의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지방 형성 관련인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의 처리로 AMPK mRNA 발현량은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3배 증가하였으며, SREBP-1c, $C/EBP{\alpha}$$PPAR{\gamma}$ mRNA 발현량은 각각 0.6, 0.6 및 0.8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FCEE는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조릿대 잎 잔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s of Sasa quelpaertensis Leaf Residue Extracts)

  • 이주엽;송하나;고희철;장미경;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38-744
    • /
    • 2018
  • 제주조릿대는 한라산 일대에서 자생하는 제주특산식물이다. 예로부터 조릿대 잎은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지고 있어 전통의약에서 사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우리 연구팀은 제주조릿대 잎의 효율적인 산업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열수 추출한 후 남는 잔사로부터 식물화합물을 다량으로 함유한 잔사 추출물(PRE)을 제조하는 방법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PRE 및 분획물이 항산화 혹은 항염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PRE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PRE)은 DPPH, ABTS, superoxide 자유기 소거활성이 우수하였고,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활성 산소종(ROS)과 nitric oxide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EPRE는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2 (Nrf 2)의 핵내 이동을 증가시킴으로써 heme oxygenase-1 (HO-1)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HO-1 저해제인 zinc protoporphyrin (ZPP)은 EPRE에 의한 NO 생성 저해 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HO-1이 NO 생성 억제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PRE와 EPRE가 항산화 및 항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백강잠(白彊蠶) 생산을 위한 Beauveria bassiana의 효율적인 접종법 및 백장잠의 간보호 활성 검정 (Efficient Inoculation Method of Beauveria bassiana for Production of Bombycis corpus and Evaluation of Its Liver Protection Activity)

  • 정이연;홍인표;강필돈;남성희;김미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11
    • /
    • 2005
  • 이 연구는 백강잠(B. corus)의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효과적인 접종법을 구명하고 백강잠의 간보호 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백강잠 대량생산을 위한 B. bassiana의 접종시험에서 포자농도를 1.0${\times}$$10^8$ spores/m/로 할 경우 접종후 고습도 처리시간에 관계없이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으나, 1.0${\times}10^7$ spores/m/의 농도에서는 감염율이 낮았다. 2. B. bassiana 종균의 보관온도 및 보관일수별 활력 검정에서 $4^{\circ}C$에서는 12일까지 보관시 감염률 90% 이상 유지하였으나, 상온($25^{\circ}C$ 내외) 보관시에는 48시간이 지나면 감염율이 급격히 저하(5% 이하)하였다. 또한 모균주 보존기간별 감염율은 $4^{\circ}C$에 12개월 보존시에도 초기값과 활력에 차이가 없었으며 감염율 역시 90% 이상으로 균보관은 $4^{\circ}C$에서 12개월까지 보관하여도 활력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3. B. bassiana 101A의 간기능 보호활성도 측정에서 galactosamine으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물분획층에서 대조물질 silymarin과 DDB 대비 각각 43.5%, 65.7%의 간보호 회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사염화탄소($CCl_4$)로 독성을 유발한 처리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서 대조 물질대비 각각 100%, 69.3%의 간보호 회복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