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 아세테이트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3초

고추잎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Capsicum annuum Leaves)

  • 김지혜;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0-546
    • /
    • 2003
  • 고추잎을 기능성식품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즉, 전자공여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효과, 항균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을 조사한 결과 물 분획층에서 16.9%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낸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 0.6%로 가장 낮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효과는 전반적으로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 0∼6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는 환원력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900 $\mu\textrm{g}$이상 첨가구에서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환원력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잎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측정한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fraction에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어 5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 90%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잎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ethyl acetate 및 butanol 분획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각 균주에 대한 clear zone의 직경을 확인한 결과 gram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에서 20 mm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Staphylococcus aureus 18 mm, Streptecoccus mutans 17 mm순으로 주로 gram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시오갈피 열매 추출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mutagenic and Cytotoxicity Effects of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fruits)

  • 전윤영;최승필;이효진;문선영;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94-400
    • /
    • 2003
  •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im) 열매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항암활성을 규명하였다.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alpha$)p, Trp-P-1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인 돌연변이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MNNG (0.4 $\mu\textrm{g}$/plate)의 격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는 시료농도 200$\mu\textrm{g}$/plate에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들에서 90%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NQO (0.15 $\mu\textrm{g}$/plate)에 대한 S. typhimurium TA98 균주의 경우 물 분획물의 경우 83.3%, TA100 균주에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4.4%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간접변이원의 경우 B($\alpha$)P (10$\mu\textrm{g}$/plate)에서는 에탄을 추출물과 핵산 분획물은 시료농도 200$\mu\textrm{g}$/plate에 각각 96.1%와 97.5%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rp-P-1 (0.15 $\mu\textrm{g}$/plate)에서는 TA100 균주의 경우 200 $\mu\textrm{g}$/plate 농도에서 에탄을 추출물과 물 분획물이 각각 95.5%차 90%로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고, TA98 균주에 대해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8.3%로 비교적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간의 암세포인 폐암세포 (AS49), 위암세포 (AGS), 간암세포(Hep3B), 유방암세포(MCF-7)에 대한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암세포에서 각 분획물들은 1mg/mL 농도에서 60% 이상의 비교적 높은 암세포 성장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MCF-7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핵산 분획물 (1 mg/mL)에서 92.7%의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Hep3B에서는 부탄을 분획물 (1 mg/mL)에서 82%의 비교적 높은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사람의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 사재훈;이완;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김영진;정의호;김광기;최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1-316
    • /
    • 2004
  •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로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사람의 저밀도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100g당 8.3-10.6g으로 매우 높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측정 한 결과,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획물이 285nm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ARS에 의한 LDL산화 억제효과 측정시,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회물의 경우, $30\;{\mu}g/mL$ 첨가시 85.3% 및 93.2%까지 LDL 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_3$ 분획물, EtOAc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은 $30\;{\mu}g/mL$ 분획물 첨가시 $Cu^{2+}$에 의한 LDL 산화를 8시간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u^{2+}$에 의한 apoB carbonylation과 conjugate diene형성 억제효과 측정시,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회물이 가장 탁월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생열귀나무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매우 탁월하므로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되는 약용식물자원이다.

천문동 추출물의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산화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Respiratory Bacteria by Asparagus Cochinchinensis Extracts and its Antioxidant Capacity)

  • 정민기;김수인;정해진;이충렬;손홍주;황대연;이희섭;김동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67-37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민간에서 호흡기 질환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천문동 뿌리를 재료로 하고 추출물을 각각 달리하여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및 항산화를 살펴보았다. 여러가지 추출용매 중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만 호흡기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최소저해농도(MIC)는 S. aureus와 E. coli는 100 mg/ml, S. epidermidis는 75 mg/ml, P. aeruginosa는 25 mg/ml로 각각 측정되어 P. aeruginosa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다. 항균 활성을 나타낸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L-ascorbic acid를 대조구로 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IC_{50}$은 각각 0.17, 3.83 mg/ml로 나타났다. 또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측정한 결과 각각 $14{\pm}0.7$, $0.50{\pm}0.13mg/g$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천문동 연구의 초석으로서 향후에 생리활성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더 진행된다면 건강기능식품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간섬유화 동물에서 옻나무 목부로부터 분리한 flavonoids의 독성 경감기전 (Protective Mechanism of Flavonoids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on the Biliary Liver Fibrosis in Rat)

  • 최종원;박희준;이경태;박건영;한갑이;정민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32-339
    • /
    • 2002
  •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로부터 간섬유화에 따른 간독성의 경감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한 fustin 및 sulfuretin을 실험동물에 투여하고서 혈액학적 변화 및 간장 중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검토한 결과 담도결찰하여 간섬유화를 유도한 군에서는 AST, ALT, SDH, ${\gamma}$-GT활성 및 total bilirubin의 양이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옻나무의 메탄을 엑스(250 mg/kg), 에틸아세테이트 엑스(250 mg/kg), fustin(10 mg/kg) 및 sulfuretin(10 mg/kg)을 2주간 각각 경구투여 하므로서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Hydroxyproline양 및 MDA 농도에서도 간섬유화를 유도하므로서 현저히 증가되던 것이 옻나무의 분획 및 sulfuretin과 fustin의 투여로서 각각 약 60% 및 47%정도 감소되었다. 간섬유화를 유도한 cytosolic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 및 aldehyde oxid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한편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catalase은 간섬유화의 유도로 감소되었으나 옻나무의 분획(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성분(fustin, sulfuretin)의 투여로서 조절되었다.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의 향장 소재 특성 (Characterization as Cosmetic Substances of Chestnut Inner Skin Extracts with Antioxidant Activity)

  • 정희록;김지혜;조유나;정지희;허호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83-191
    • /
    • 2011
  •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율피 추출물의 향장 소재 특성을 조사하였다. 율피로부터의 다양한 추출물 중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60% 메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각각 164.82 및 191.14 mg/g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두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ipid peroxidation 저해)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두 분획물은 UV-B(290-320 nm) 영역에서 강한 UV 흡수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율피 유래 두 분획물은 $1000{\mu}g/mL$에서 42.88 및 33.02%의 elast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주름 개선 특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율피로부터의 60% 메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피부 상재균에 대하여서도 항균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율피에서 추출될 수 있는 물질이 향장 산업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인체 섬유아세포에서 인동덩굴 추출물의 MMP-1 생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Lonicera japonica Extract on MMP-1 Product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

  • 정연수;이진영;고재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7-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을 파괴하는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노화 천연물을 얻고자 하였다. 50 여종의 생약추출물을 스크리닝 한 후 그 중 인동덩굴 추출물을 선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동 줄기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차례로 용매 분획을 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층 50 ㎍/mL와 부탄올층 200 ㎍/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MMP-1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능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는 분획을 얻기 위해 HP20 레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80% 에탄올 분획을 얻었다(LJ F80). LJ F80과 지표성분 loganin은 농도의존적으로 MMP-1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그 활성을 비교하였을 때 같은 농도에서 LJ F80이 더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 분획에 대한 안정도를 각각 4 ℃, 상온, 40 ℃에 보관하면서 HPLC로 분석하여 16 주간 평가하였다. Loganin을 기준으로 하여 초기값 대비 ± 10%내외의 안정도를 유지하였다. 따라서 인동의 LJ F80은 피부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블루베리 잎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of Blueberry (Vaccinium ashei) Leaf)

  • 정희록;조유나;정지희;김현주;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04-610
    • /
    • 2012
  • 블루베리 잎의 무기질은 칼슘과 칼륨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리당은 gluc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은 eicosenoic acid, palmitic acid순으로 높았다. vitamin C와 total flavonoid 함량은 각각 $112.64{\pm}0.02$ mg%, $13.09{\pm}0.01$ mg%이었다. 블루베리 잎 80%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분획물의 total phenolics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51 mg of GAE/g로 제일 높았으며, 블루베리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assay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phenolics를 함유한 블루베리 잎은 양질의 영양학적 성분 구성 및 in vitro 항산화 효과를 기초로 한 고부가가치 건강지향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자외선 B에 유도된 사람유래 HaCaT cells에서의 오미자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Treatment with Schisandra chinensis Seeds Fractions in UVB-irradiated Human HaCaT Cells)

  • 최은영;손호용;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071-1079
    • /
    • 2019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오미자 종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과 자외선에 유도된 human HaCaT cell에서의 MMPs의 발현억제에 의한 항노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전자공여능, ABTS 라디칼 소거분석, 그리고 hydrogen peroxide 소거분석 실험을 통해, 오미자 종자의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SCEAf)이 가장 우수한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졌고, collagenase 저해 활성 실험에서 SCEAf는 $500{\mu}g/ml$의 농도에서 92.3% 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SCEAf의 HaCaT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실시한 결과, SCEAf는 세포에 독성이 없음을 나타낼 뿐 아니라 UVB에 손상된 세포의 생존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 활성에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EAf의 HaCaT cell에서의 항노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UVB $50mJ/cm^2$에 유도된 HaCaT cell에 SCEAf를 처리한 후 MMP-1과 -3의 발현을 Western blotting과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SCEAf가 MMP-1과 -3의 단백질과 mRNAs의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오미자 종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자외선의 손상을 받은 피부 각질형성세포에서의 collageanse 활성을 억제하여 노화를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오미자 종자가 화장품과 식품 산업에서 항노화 효과가 있는 기능성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한 잠재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Endlicher) 잎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leaves of Chamaecyparis obtusa Endlicher)

  • 이상극;김진규;함연호;배영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53-60
    • /
    • 2001
  • 편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그리고 수용성으로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그 중에서 에틸아세테이용성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로 확인한 후 NMR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규명을 하였고 FAB-MS스펙트럼으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주로 많은 양의 taxifolin-3-O-${\beta}$-D-xylopyranoside와 (+)-catechin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소량의 quercetin-3-O-${\alpha}$-L-rhamnopyranoside도 함께 단리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