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틸 아세테이트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27초

아위버섯 추출물의 혈전용해, 트롬빈저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Fibrinolytic, thrombin inhibitor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leurotus ferulea)

  • 김은정;김준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2015
  • 아위버섯을 혈관계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아위버섯 물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33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과, 94.45%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은 37.0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98.13%의 가장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냈다. 실험 결과로부터 아위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 트롬빈 저해활성 그리고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관련 치료나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에토좀 제형에 관한 연구 (Ethosome Formulation for Enhanced Transdermal Delivery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 양현갑;김혜진;김해수;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90-195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및 항균활성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자발쑥 추출물의 피부 전달시스템으로 에토좀을 제조하고 입자크기, 포집효율 및 피부 투과를 평가하였다. 0.06% 사자발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담지한 에토좀은 3주 동안 보다 더 안정하였고 일정한 입자크기를 유지하였다. 0.06%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287.05{\pm}0.25nm$, 포집효율은 $51.96{\pm}0.01%$였다. 피부 투과 실험 결과, 에토좀 제형은 일반 리포좀이나 20% 에탄올 용액에서 보다 큰 피부 투과능을 보여주었다.

식용 버섯류의 도파민 베타 수산화효소에 대한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Inhibitory Activity of Edible Mushrooms on Dopamine ${\beta}-Hydroxylase$)

  • 황금희;김현구;한용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94-197
    • /
    • 1997
  • 식용버섯류 중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식용버섯류에 대한 생리활성 검색의 일환으로 영지, 양송이, 표고 등 3종의 버섯을 대상으로 dopamine ${\beta}-hydroxylase(DBH)$에 대한 저해활성을 tyramine을 기질로 하여 검색하였다. 각 버섯들의 DBH에 대한 저해활성은 영지버섯은 클로로포름 분획에서 100% 이상의 현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표고와 양송이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각각 79.7%라 64.7%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이들 버섯류의 각 용매분획에 대하여 DBH 저해활성을 검색하여 각 분획의 $IC_{50}$을 구하고 용매분획 총량의 specific activity를 비교한 결과, 영지버섯의 클로로포름분획의 $IC_{50}$$1.60{\times}10^{-4}\;g$으로 DBH에 대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양송이와 표고버섯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IC_{50}$$5.50{\times}10^{-4}\;g,\;2.35{\times}10^{-4}\;g$으로 각각 검색되었다.

  • PDF

일본잎갈나무 낙엽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Fallen Needle of Larix kaempferi Carr.)

  • 권동주;김진규;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72-80
    • /
    • 2006
  • 일본잎갈나무 낙엽(8.5 kg)을 채취하여 95%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분획깔때기로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순차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용성과 수용성 분획에 대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고, 충진물질로는 Sephadex LH-20을, 용리용매로는 메탄올 수용액 및 에탄올-헥산 혼합용액을 사용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NMR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구조규명을 하였고 FAB-MS와 EI-MS 스펙트럼으로 분자량을 측정하여 7개의 flavonoid 화합물인 (+)-catechin, (-)-epicatechin, 2"-O-rhamnosylvitexin, juglanin, afzelin, laricitrin-3-O-${\beta}$-D-glucopyranoside 및 isoquercitrin과 neolignan 화합물인 cedrusin을 단리하였다.

Eathyl acetate와 Piperazine이 적용된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Skin layer 코팅에 따른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Leather Skin Layer Coatings on Water Dispersed Polyurethane Applied with Eathyl Acetate and Piperazine)

  • 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235-124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와 피페라진을 적용한 가죽 표면 코팅제로 사용할 수용성 폴리우레탄의 합성을 위해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PTMG)를 기반으로 isoporon diisocyanate(IPDI)와 dimethylolbutanoic acid(DMBA)의 반응을 통해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이후 수분산시킨 수지에 피페라진을 0.01M, 0.03M, 0.05M, 0.07M을 쇄연장 반응을 해서 각각의 인장강도, 연신율, CV(cyclic voltammetry), 내용제성 분석을 실시했다. 준비된 시료의 인장강도는 피페라진 함량 0.07M일때 5.422 kgf/㎟ 로 측정되었으며, 연신율을 측정한 결과 피페라진이 0.01M 일 때 587 %로 측정되었다. 내용제성 분석결과 피페라진 함량과 상관없이 동등한 내용제성으로 측정되었으며, CV 측정을 통해 피페라진 함량에 따라 산화환원전위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백작약(Paeonia japonica)의 항산화, 트롬빈 저해, 암전이 억제 및 암세포사멸 평가 (Evaluation of Anti-oxidative, Anti-thrombin, Anti-invasive and Pro-apoptotic Activities of Paeonia japonica)

  • 김준호;김은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23
    • /
    • 2018
  • 백작약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들의 항산화 활성, 트롬빈 억제 및 구강암세포주에서의 암전이 억제 및 암세포 사멸능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85.13%의 높은 항산화 활성과 87.54%의 높은 트롬빈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또한 구강암세포주에서도 트롬빈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MMP-2/pro-MMP-2이 높은 암전이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구강암세포주에 대한 세포사멸 효과는 물 추출물이 5배 이상의 높은 능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백작약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새로운 항산화제, 트롬빈억제제 및 암전이억제제의 개발을 위한 우수한 천연물 소재 후보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목련과 수목의 추출성분에 대한 세포독성평가 (Evaluation of Cell Cytotoxicity on the extractives of Magnoliaceae)

  • 김영균;고영남;김용만;양현옥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1-8
    • /
    • 2001
  • 8가지 목련과 수목의 수피 및 잔가지를 채집하고 건조하여 MeOH로 열추출하고, 사람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일본 목련이 강한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세포독성을 갖는 순수한 물질 즉, magnonol, honokiol, dihydroxybiphenyl ether, linodenine, anonaine, asimilobine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암세포 살해능 및 apoptosis 유도능을 측정한 결과 magnonol, honokiol, dihydroxybiphenyl ether가 초기단계의 apoptosis 유도에 기인함을 밝혔다. 따라서 세포독성이 강한 물질로 판명된 magnolol, honokiol, dihydroxybiphenyl ether에 대한 정량분석을 위해서 MeOH 추출물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수용성 분획으로 나누고,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을 n-Hexane : Acetone(4:1, v/v)용매로 silica gel chromatography를 한 후, 이 들 화합물이 함유된 분획을 만들었다. 이 분획을 HPLC system으로 이들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에 대하여 각각 0.9%, 0.3%, 0.24%가 있음을 밝혔다

  • PDF

Candidi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한 약용 및 야생 식물의 항진균 활성의 검색 (Screening of anti-candidiosis agent from medicinal and wild plants)

  • 손호용;금은주;권윤숙;권기석;진익렬;권하영;권정숙;손건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04-617
    • /
    • 2003
  • 안전성이 확보된 식용, 또는 약용식물로부터 항캔디다 활성이 우수한 항진균 후보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298종의 천연물로부터 추출부위 및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384종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의 항캔디다 활성을 disc-paper를 이용한 생육 저지환의 유무 및 크기 판정과 microbroth dilution법을 이용하여 C. albicans KCTC 1940과 S. cerevisiae IFO 0233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종 식물로부터 조제된 25종의 추출물이 우수한 항캔디다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고, 그 중에서도 멍석딸기, 정향, 천황련, 작약, 모란, 대극잎 추출물은 강력 한 항캔디다 활성$(MIC=50 \mug/m\ell)$을 보였다. 특히, 멍석딸기(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정향(부탄올 추출물), 호장근(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작약(부탄올 추출물), 대극잎(메탄올 추출물)의 경우에는 C. albicans에 높은 선택독성을 나타내어, 안정성이 확보된 식물 추출물로부터 새로운 진균 감염증 치료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umex crispus Extract)

  • 정귀택;이경민;박돈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81-86
    • /
    • 2006
  • 국내에 널리 자생하고 있는 소리쟁이를 이용하여 식품첨가제나 의약품으로 이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항균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리쟁이 추출물에 의한 항균활성은 시험 균주 중 Pseudomonas aeruginosa를 제외한 모든 시험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Vibrio vulificus와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해서 상당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소리쟁이의 추출물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법을 이용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항산화제로 사용되고 있는 BHA나 아스코르브산과 비슷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소리쟁이 추출물 분획의 항산화활성과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에서 가장 많은 양의 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분리한 Grandidentatin Isomer의 입체구조결정 (Determination of Stereochemical Structure of a Grandidentatin Isomer from Populus alba × glandulosa Bark)

  • 권동주;김현석;이필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4-120
    • /
    • 2009
  • 현사시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기건 시킨 후 70% 아세톤 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순차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분취 TLC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산 가수분해와 $^1H$-NMR, $^{13}C$-NMR, 2D-NMR 및 MALDI TOF-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grandidentatin A(cis-2-hydroxycyclohexyl 6-O-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Grandidentatin A는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문헌에 보고되지 않은 신규화합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