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언어적 상호 작용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34초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s for Students' Interaction with Others in Learning Mathematics)

  • Koh Sang Sook;Koh Ho Kyung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443-455
    • /
    • 2002
  • 정보화시대를 맞아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전교과에 걸쳐 학생의 의사소통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학교현장의 수학교육자는 수학교수-학습에서 어떤 상호작용이 일어났는지, 특히 다루기 쉬운 도구로써 계산기가 주어졌을 때 어떻게 학생의 지식 발달이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지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때 필요한 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의 구성요소가 세 영역, 즉, 지식구성 진술, 사회적 상호작용 진술, 그리고 교사의 교육어 진술에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를 이용하여 특히 학생의 지식 구성 발달에 따른 상호작용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가능하다.

  • PDF

고등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협력적 과학 개념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 (High School Students'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Appeared in Collaborative Science Concept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 신석진;김혜린;노태희;이재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1-20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협력적 과학 개념학습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물리적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였다. 3개의 소집단으로 구성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화학 결합 개념 이해를 목표로 개발된 스마트 기기 기반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수업 과정은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 중 개별 진술 단위에서는 정보 질문과 정보 설명 및 방향 질문과 방향 설명에 관한 진술의 비율이 높았고, 상호작용 단위에서는 교정형 및 누적형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다. 학습 진행에 관한 개별 진술 및 상호작용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물리적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언어적 상호작용 없이 단독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학생들이 지식 구성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며 물리적 상호작용을 할 때는 가상 객체를 응시하거나 활동지 관련 활동을 하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 물리적 상호 작용만 수행하거나 운영 관련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며 물리적 상호 작용을 할 때는 증강현실의 마커의 조작과 관련한 다양한 탐색적 활동이 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협력적 개념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컴퓨터 환경에서 개념 형성과정을 통한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고상숙;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81-40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본인이 직접 조작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 환경에서 함수와 그래프, 그를 이용한 문제해결에서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 발달을 통해 어떠한 언어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가에 관해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이때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분류 틀을 개발하여 언어적 상호작용의 양상을 밝히며, 컴퓨터가 학생들의 의사소통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학생의 인지 발달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파악하여 현장 수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heir Life Satisfaction on Teacher-Children Interactions)

  • 문명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26-13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강원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직의식, 발전성, 혁신성, 자율성, 동료애, 보상이 높을수록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부담이 높을수록 언어적 상호작용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도 높게 나타났다. 즉,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하위변인과 삶의 만족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과 정적인 유의한 관계가 있다. 셋째, 교사- 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대한 예언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삶의 만족도(β= .24), 발전성(β= .22), 동료애(β= .16) 순이고, 그 설명변량은 25%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Students' Cognitive Levels and Openness Levels of Tasks in Thinking Science Activity)

  • 유숙정;최병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16-234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TS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제의 개방도가 낮은 안내형 TS 활동보다는 개방도가 높은 개방형 TS 활동에서 훨씬 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을 보였고,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도 안내형 활동보다는 개방형 활동에서 많았는데, 이런 결과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거의 모든 하위 범주에서 나타났다. 또한, 안내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지시하거나 자기만족을 나타내는 언어사용 빈도가 높은 반면에, 개방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권유하거나 불만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았다.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보면,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고, 다양한 유형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제의 개방도는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안내형 활동에서는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개방도가 높은 활동이라도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참여도가 낮고 상호작용의 수준도 높지 않았다. 이는 개방가 높은 과제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여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제 활동에서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과제 개방도의 조절과 교수 전략의 개발이 중요한 추후 과제라 생각된다.

  • PDF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학습에서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Analyses of Verbal Interaction among Students in Small Group Science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 윤정현;강석진;안인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3호
    • /
    • pp.104-11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학습 과정에서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서울시의 한 남녀 공학 고등학교에서 사전 성취 수준 측면에서 이질적으로 구성된 4개의 소집단이 참여하였다.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과학 학습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녹음 및 녹화하고 기록 원고를 작성한 뒤 분석하였다. 학생들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개별 진술과 상호작용 단위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에서 학생 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과제 관련 진술의 빈도가 높았는데, 특히 정보 설명, 정보 질문, 기준 반성의 빈도가 높았다. 방향 설명, 기준 반성, 진행에서는 사전 성취 수준 상위 학생들의 진술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방향 질문, 정보 설명에서는 하위 수준 학생들의 진술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호작용 단위에서는 지식 구성 상호작용 중 대칭적 정교화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았는데, 특히 누적형과 평가형이 높게 나타났다.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Verbal Interactions in Heterogeneous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 임희준;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8-676
    • /
    • 2001
  •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내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취 수준별 상호작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성취 수준별 언어적 행동의 빈도를 비교하여 언어적 상호작용에의 참여 정도 및 방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성취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상위와 중위 학생 사이에는 언어적 행동의 빈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상위와 중위 학생이 서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방식으로 일어났다. 상위와 중위 학생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은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즉, 과학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과정에서는 중위 학생도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소집단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 PDF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 Interaction and Self-leadership, Preschoo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 문병환;김세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7-113
    • /
    • 2011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15개소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253명과 그들의 아버지 253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 화합 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통제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반면에 통제 지향성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버지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활동에서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모둠 내 언어적 상호 작용 분석 (Analysis of Linguistic Interaction within a Group According to Leader's Leadership in Scientific Inquir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 박명희;신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60-77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활동에서 모둠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과 리더가 지니고 있는 리더십 요소가 모둠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비전과 추진, 과제책임, 의사결정 세 가지 리더십 요소별로 모둠의 리더를 선정하여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평가의 항목으로 모둠원을 구성하여 과학탐구활동을 실시하면서 언어적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비전과 추진 모둠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수를 보였는데, 이는 리더 속에 내재되어있는 비전과 추진 리더십의 '비전'과 '자신감'의 요소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세 모둠 모두 과제해결과 관련하여 인지적 측면이 정의적 측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많았다. 인지적 측면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실험 현상과 관련하여 낮은 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대다수였고, 상위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적은 빈도수로 일어났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행동참여가 분위기조절보다 더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이는 모둠에서 분위기 조절보다는 과제 해결을 위한 모둠원의 행동 제어와 관련된 상호작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가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 중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flective Thinking on Verbal Interac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428-439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사고가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2명이 예비교사가 선정되었고, 각 예비교사마다 3차시의 과학 수업을 하였으며, 연구자가 매 차시 과학 수업을 녹화 녹음하였다. 녹음된 자료 중 1차시와 3차시의 자료만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전사하였다.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 빈도의 증가는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수업 준비도에 따라 다른 패턴을 보였다. 또한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질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수업이 진행될수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거나 열린 사고를 유발하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학생들에게 닫힌 사고를 유발하는 낮은 수준의 상호작용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변화 역시 예비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 수업에서 반성적 사고를 통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에 효과는 있었으나, 예비교사 개인의 특성 특히,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과 준비도에 따라 효과의 정도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