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According to Students' Cognitive Levels and Openness Levels of Tasks in Thinking Science Activity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 Received : 2012.10.10
  • Accepted : 2012.12.18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presented in TS activities with different tasks' openness levels by the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S program to 14 fifth graders in gifted class.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pen-type TS activities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verbal interactions than the guiding-type TS activities showed and that the higher the open level of tasks was, the more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These results were showed in almost all subcomponents of verbal interaction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ents' cognitive level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as, higher frequency of interactions,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and a variety of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The influence of both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the task's openness on verb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seemed to be interactive, however. In guiding-typ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was not high although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as high. And students in low level of cognition showed far lower frequency of interactions and their percentage of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was low even though the openness of the tasks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t that although open-type activities drew higher level verbal interactions by stimulating students' thought, the effects would be limited owing to their low cognitive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an implication wa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djust openness level of TS activities to students' cognitive level so as to stimulate the thinking of students in lower cognitive level and to highten their engagement in activities.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급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TS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제의 개방도가 낮은 안내형 TS 활동보다는 개방도가 높은 개방형 TS 활동에서 훨씬 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을 보였고,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도 안내형 활동보다는 개방형 활동에서 많았는데, 이런 결과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거의 모든 하위 범주에서 나타났다. 또한, 안내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지시하거나 자기만족을 나타내는 언어사용 빈도가 높은 반면에, 개방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권유하거나 불만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았다.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보면,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고, 다양한 유형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제의 개방도는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안내형 활동에서는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개방도가 높은 활동이라도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참여도가 낮고 상호작용의 수준도 높지 않았다. 이는 개방가 높은 과제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여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제 활동에서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과제 개방도의 조절과 교수 전략의 개발이 중요한 추후 과제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