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 상호작용과 영아 언어능력의 관계 (The relations of toddlers' temperament,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teacher interaction to Toddlers' Language Ability)

  • 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93
    • /
    • 2010
  • 본 연구는 영아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언어능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들 변인이 영아의 언어능력을 예측해 주는 정도와 설명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36개윌 미만 영아 206명, 그들의 어머니, 교사를 대상으로 영아의 언어능력과 영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을 알아보았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은 영아의 언어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은 하위변인인 활동성, 적응성, 반응강도에서만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영아의 언어능력에 대한 기질, 양육행동,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상대적 설명력의 크기를 살펴본 결과,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의 하위변인인 적극적인 활동참여가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영아 기질의 하위변인인 반응강도와 어머니 양육행동 하위변인인 합리적 지도 순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Mother-Infant Interaction Styles Associated with Infant Development)

  • 박성연;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5-30
    • /
    • 2005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 mothers and their first-born infants from middle class families living in Seoul. Mother-infant interactions were filmed at 5 and 13 months of age during naturalistic play situations at home. Questionnaire data were also collected. Results revealed that both maternal didactic and social interactions decreased over the 5 to 13 month time period but (only for infants) object-oriented interaction increased over time. Infant object-oriented interaction at 13 months was predicted by cumulative effects of both mother's social stimulation at 5 months and infant social interaction at 13 months. Infant's social interaction at 13 months was predicted by infant's object-oriented interaction at 13 months. Infant language development was predicted by mother's didactic stimulation.

  • PDF

3세대를 통해서 본 모-자녀 애착관계와 사회적 능력: 전생애적 접근 (Mother-Child Attachment and its Effect on Social Competence; A Life-Span View)

  • 박성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2호
    • /
    • pp.86-93
    • /
    • 1995
  • 본 연구는 애착관계를 중심으로 모-자녀간 상호작용의 특성 및 외조모 모, 손녀 3세 대간의 애착관계의 전이와 그것이 반영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전생애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4-20개월의 영아와 그 어머니 45쌍 국민학교 1,2,3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26쌍 그리고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학생과 어머니 외할머니로 구성된 모녀간 3세대 140쌍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애착관계는 전생애에 걸쳐 비교적 높았 고 상호작용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애착의 특징은 발달단계별로 달라 영아의 어머니에 대 한 애착관계는 어머니의 적절한 양육행동이 아동기는 신뢰감을 주는 양육행동이 청년기에는 애착감정이 그리고 중년기 이후에는 자율성만이 애착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3세대간의 애착 관계의 전이는 중년기 이후에만 나타났고 애착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아동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까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관계가 전생애적으로 사회적 능력에 중 요함을 보여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전체적으로 전생애적 관점에서의 애착이론 을 지지하였다.

  • PDF

사회적 게임에서의 영아-어머니 상호작용 (Mother-Infant Interactions in Social Games)

  • 이미란;이영
    • 아동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40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infant behaviors and maternal scaffolding in mother-infant games. Subjects were 60 mothers and their 9-, 12-, 15- and 18-month infants, 15 dyads in each age group. Mother-infant interaction was videotaped in the laboratory as they played peek-a-boo and a ball game in 2 sessions. Infant game behaviors were classified by the Rome-Flanders, Cossette, Ricard and $D{\acute{e}}carie$(1995) list, and maternal game behaviors were classified by the Hodapp, Goldfield & Boyatzis(1984) list.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sequential analysis and Z test as well as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fants played an increasingly active role with age. Infants mastered the ball game at earlier age than peek-a-boo. Mothers scaffolded infant behaviors in various ways. The amount of maternal game behavior varied by type of game.

  • PDF

양육관련변인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행동간의 관계 (Relations between Parenting-Related Variables and Mother-Infant Interactive Behaviors)

  • 양하영;박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99-111
    • /
    • 2011
  • Relations between mother-infant interactive behaviors and parenting-related variables were analyzed in a sample of 72 infants (35 boys and 37 girls, average age=31 mo.) and their mothers in Ulsan, Korea. Parents' views on children, parenting stress,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and social support were measured using questionnaires and mother-infant interactive behaviors were observed using the 3-bags test. Among the parenting-related variables, parents' views on children were related significantly with mothers' emotional expressions & infant's participation with mothers. Social support was correlated with mother's behaviors, including positive rewards and emotional expressions. Mother-infant interactive behavior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Mothers' positive behaviors such as overall reactivity and cognitive stimulation we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infants' positive behaviors, including sustained attention and positive affect. Future studies will provide us with greater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effects of these parenting-related variables on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 김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47개 어린이집의 18~24개월 영아 299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의 관계를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강도는 이해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휘력의 관계를 어머니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적 양육행동과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접근-회피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분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교수적 양육행동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기분, 반응강도, 활동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영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이해어휘는 영아의 기질인 접근-회피가, 표현어휘는 어머니 양육행동인 교수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가장 큰 변임임이 밝혀져, 어머니는 영아의 이해어휘 발달을 위해 기질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표현어휘 발달을 위해 사물과 사건의 특성에 대해 말로 표현해 주는 양육행동을 하여야겠다.

어머니의 상호작용행동 및 언어입력과 영·유아의 언어발달과의 관계: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비교 (Relation among Mother's Interaction Behavior, Mother's Language Input and Children's MLU: A Comparison between Multicultural- and Korean-Families)

  • 박혜원;이국희;조증열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39-451
    • /
    • 2012
  • Maternal interaction behavior, language input and children's language of 34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rdinary families. MLU's of multicultural mothers and their children were shorter than those of ordinary Korean mothers and children. Positive maternal interaction behaviors of multicultural mothe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ordinary mothers. Correlational analyses reveal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maternal interaction behaviors, mother's MLU and children' MLU in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there were no such correlations in ordinary families. Findings suggest language education and support for multicultural mothers be an effective policy for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영아의 어머니 및 교사에 대한 애착 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ttachment to Mother and Teacher on Adaptation to Child Care)

  • 김영숙;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29-249
    • /
    • 2013
  • 본 연구는 만 1,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영아 애착안정성과 교사-영아 애착안정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시에 소재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1, 2세 영아의 어머니 100명과 담임교사 36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이원변량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집 적응의 하위차원인 사회적 관계 및 긍정적 감정의 경우 교사와 영아 간 애착안정성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의 애착이 불안정하더라도 교사에 대한 안정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그렇지 않은 영아보다 어린이집에서의 사회적 관계 적응 및 긍정적 감정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격적 행동에 있어서 어머니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의 주효과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나, 어머니와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영아의 경우 교사와의 안정애착 형성 여부에 상관없이 어린이집에서의 공격적 행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의 외현화 행동에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 :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s of Child with Disability :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hild's Effortful Control through Defense Style of Mother and Child)

  • 이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50-563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이 어머니와 아동의 심리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물임을 인식하고, 이의 체계적 인과구조와 다차원적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외현화 행동의 감소를 통한 장애아동 및 장애아동 가족의 순적한 정상화과정(normalization process)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편의표집에 의해 선정된 장애아동 및 어머니 1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외현화 행동 간 관계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매개변인으로, 어머니 및 아동의 방어유형을 조절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조건부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은 아동의 외현화 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직접적 효과와 간접적 효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이에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아동의 방어유형에 의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의 영향에 대한 중요성을 전제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와 긍정적 행동지원 등의 효과적 전략 기틀 위에 과보호 행동변화를 위한 직접적 전략, 아동의 의도적 통제성향과의 병행전략, 어머니의 대처전략 적용을 통한 차선적 전략 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