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 양육신념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Mothers' Beliefs about Emotional Guidance o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Emotionality and Parenting Stress)

  • 하지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83-110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 및 대전 지역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 213명의 어머니였으며, 유아의 정서성,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과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남아의 어머니일수록, 유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어머니의 연령이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 중 부모지도 신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자녀습득 신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지도 신념 중 자녀습득 신념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녀습득 정서지도 신념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신념이 자녀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Belief on The Types of Discipline Methods in Children)

  • 김미숙;신소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7-99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 신념이 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와 K도에 거주하는 어머니 219명을 대상으로 양육신념과 훈육방식을 설문지 조사하였다. 양육신념은 Okagaki와 Sternberg(1993)가 개발한 부모 양육신념 설문지를 사용했고, 훈육방식은 Calzada와 Eyberg(2002)의 부모 훈육방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 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고, 훈육방식은 논리적 설명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육신념 중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은 훈육방식 중 논리적 설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방임과 강압적 체벌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유아의 어머니가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 양육신념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훈육방식으로 논리적 설명을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어머니의 바람직한 훈육방식의 토대가 되는 문제해결 능력과 창의적 능력 양육 신념에 관한 부모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other's Perfectionism and Parenting Beliefs on Preschooler's Socal Competence)

  • 박영애;김리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3-199
    • /
    • 2014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양육신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7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어머니의 완벽주의는 보통 수준으로 나왔고, 양육신념은 비교적 높게 나왔다.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학력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완벽주의 하위요인 중 높은 기준설정은 학력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보통 수준으로 나왔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전체적으로는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능력 하위요인 중 애정표현은 남아보다 여아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양육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상당히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벽주의 중 높은 기준설정은 긍정적으로, 실패의 두려움은 부정적으로, 양육신념 중 창의능력에 대한 신념은 긍정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었고, 어머니 변인들은 유아 사회적 능력 전체 변량의 22.8%를 설명하였다. 이는 어머니가 높은 기준설정을 통한 완벽추구 성향이 높고, 실패의 두려움과 관련된 완벽주의가 적고, 유아의 창의능력 촉진에 대한 신념이 강할수록 유아의 사회적 능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함양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구소득과 취업여부에 따른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상호작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ing Beliefs and Supportive Interaction on Mothers' Parenting Stress of Young Children: Variations by Income Level and Employment Status)

  • 옥경희;김미해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1-480
    • /
    • 2015
  •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상호작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가구소득과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한국아동패널3차에 참가한 23-31개월 자녀를 둔 어머니들 중 가구소득과 취업여부로 분류한 4개 집단(낮은소득-비취업, 낮은소득-취업, 높은소득-비취업, 높은소득-취업)에 해당하는 770명이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지지적 상호작용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집단에 따라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정도는 차이가 있었다. 4개의 모든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어머니의 지지적 상호작용은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며, 높은소득-비취업 집단에서는 유일한 변인이었다. 낮은소득-비취업 집단에서는 정서적, 도구적 가치와 성취기대, 인성에 대한 강조가, 낮은소득-취업 집단에서는 도구적 가치가, 높은소득-취업 집단에서는 정서적 가치와 성취기대가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취업여부와 가구소득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메타양육 척도(K-MPQ)의 타당화 연구 (Culturally Responsive Construct of Meta-Parenting : Validation of Korean Meta-Parenting Questionnaire)

  • 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9-50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Hawk(2007)이 자녀 및 양육과 관련된 부모의 의도적 사고로 제시한 메타양육(MPQ) 척도를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원래 MPQ에는 예상, 평가,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 등 4개의 요인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예상 요인과 반성적 사고 요인이 같은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 어머니들은 미국 어머니보다 메타양육 수준이 높았으나 상대적으로 예상과 반성적 사고 요인에 더 높은 점수를, 그리고 문제해결에 더 낮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K-MPQ는 상당히 안정적 구조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셋째, 한국 어머니들의 메타양육 요인들은 대체로 양육신념 및 양육실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관련 양육신념과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정서조절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eliefs about Children's Emotion and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s it is Perceived by Their Mothers)

  • 최혜정;이동귀
    • 아동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8
    • /
    • 2015
  •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s and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using the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The participants comprised 511 mothers with children whose ages ranged from 3 to 5 years, from 11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AMOS 21.0 and Mplus 6.12 program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i.e., mothers' beliefs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s,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both the mothers' beliefs about their children's emotions and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redicted in a significant manner the children's degree of emotional regula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indicated that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be one means by which their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can be increased, and this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관한 연구 -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기질, 정서지능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사회화 전략을 중심으로 -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on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 홍혜란;하지영;서소정
    • 아동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5-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predicted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Subjects consisted of 250 preschooler-mother pairs; children were 3 to 6 years of ag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were assessed by classroom teachers. Data on the mothers' socialization beliefs and strategies as well as children's temperament were gathered through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withdrawal predisposi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lf emotional expression) predicte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Mot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pro-social behavior correlated negatively wi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 PDF

유아학습행동 유형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 인지양식, 문제행동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학습지원행동 (Preschooler's Characteristics, Mother's Beliefs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Preschool Learning Behaviors)

  • 정태회;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7-101
    • /
    • 2011
  • This study employed a child-centered approach in the examination of patterns of preschooler's learning behaviors.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as employed in order to discern a meaningful typology of such behavior. The subjects consisted of 232 children (117 boys, 106 girls) and their mothers from 6 kindergartens and 6 day care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luster analysis yielded five types of learning behaviors; the competent type, the average type, the low attention/persistence type, the low motivation -attitude type, and the deficient type. The most consistent level differences among these types appeared to lie in distinctions among the average Attention/Persistence scores. The composition of the cluster types, including both the age and gender of the children, was ascertain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preschool learning behavior types could be seen to differentially relate to children's self-regulation, cognitive styles, problem behaviors, and the level of maternal involvement. It was revealed that a child's characteristics was more important than maternal involvement and beliefs. As there were more girls and older children in the learning type, this type was seen to be more competent.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양육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beliefs and their child-rearing behaviors)

  • 김수연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3-324
    • /
    • 2009
  • The study is to investigate mothers' parental beliefs about child development and the children's developmental task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beliefs and child-rearing behaviors. The subjects are 113 pairs of 4- to 5-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For measuring maternal beliefs about child-development, 'beliefs about development scale' and 'child-rearing beliefs scales' were used. Fo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child rearing behavior observation scale' was used. The main results were: first, mothers value the cognitive theory and 'autonomous behavior' higher than 'conforming behavior' in developing their children.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ther's parenting beliefs in the factors of 'gender of their children' and 'maternal job statu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beliefs according to the levels of mother's education and family income. Third, sub-scales of their parenting beliefs were correlated with interactive behaviors between them and their children. The more mothers put importance on cognitive theory and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s, the more their supportive child-rearing behaviors during child-mother task solving situations were showed.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 s Parenting Behaviors)

  • 안지영;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3-6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43 mothers of two to three-Year-old children in Seoul.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That is, the resets of mu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str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However, the predictive powers of these variab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was mediated by mother's parental efficacy. To conclude, mother's cognitions such as parental beliefs, parental efficacy, and a perception of parenting stress turned out to be the vital factors in predicting parenting behav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