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야외조사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32초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야외답사의 활용이 중학생의 공간 시각화 능력, 개념 이해와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ash Panorama-based Virtual Field Trips on Middle School Student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Perceptions)

  • 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2-17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가상야외답사(VFT)를 활용한 야외 지질 답사 활동의 효과를 공간 시각화 능력, 개념 이해와 인식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17명의 강원도 소재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Kim and Lee (2011)에 의해 제안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을 위한 3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제주도 일대에서 2박 3일간 실제 지질 답사 활동을 수행하였다. 전실험 연구 설계를 적용하여 단일 집단에 대하여 사전과 사후의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 변화를 각각 분석하였으며, 사후 설문을 통해 VFT 활용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 모형을 적용하여 야외 답사 활동을 수행한 결과, 공간 시각화 능력에서는 '공간 관계' 능력이, 화산 개념 이해에서는 '지식'과 '이해'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공간 시각화 능력과 화산 개념 이해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의 향상 지수가 양(+)으로 산출되었다. 한편, 참가 학생들은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에 대해서 높은 흥미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야외 답사 활동에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의 활용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플래시 파노라마 기반 VFT 활용이 인지적, 지리적 요소에서 실제 야외 답사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하천생태계에 대한 환경평가 기법과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Environment Assessment Technique and Biodiversity Management System and Their Application to Stream Ecosystems in Korea)

  • 배연재;원두희;이웅재;승현우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23-23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하천생태계의 환경평가 기법과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한국의 하천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전국 하천에서 장기간 수집된 조사자료와 문헌자료 뿐만 아니라 북한강 수계의 일련의 하천들을 대상으로 종합적으로 실시한 야외조사를 바탕으로 하천생태계의 환경과 생물다양성에 대한 조사연구의 체계를 고찰하였고, 한국 하천의 주요 환경훼손 유형을 분류하였고, 하천자연도등급 간이평가표를 작성하여 제시하였으며, GIS를 적용한 하천생태계의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에 사용될 환경 및 생물 요인의 속성자료 목록을 제시하였다. ArcView와 GEU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축한 상기 생물다양성 관리시스템을 한국의 전형적인 중규모 하천인 가평천에 적용하였다.

GIS기법을 이용한 다도해국립공원의 수달 서식가능지 분석과 지역개발 정책에 관하여 (Otter Habitat Analysis an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n Dadohae National Park Using GIS Techniques)

  • 장은미;박경;채희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343-357
    • /
    • 2008
  • 홍도와 흑산도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신안군의 주요 관광지이다. 이들 지역에서 생태계에서 상위계층인 수달의 서식지 조건을 현지조사, 공간분석을 통하여 잠재적 서식처를 도출하였으며, 해안지역에 지하 eco-corridor의 설치를 제언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의 분석기능과 위성사진을 이용한 식생 및 서식 조건 분석, 실제 야외조사와 탐문을 통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해식애와 격리된 지형조건과 수문조건을 포함하여 도로로 인한 이동통로의 단절 등의 문제가 관찰되었다. 바다에 의한 격리조건으로 육지의 수달서식처보다 안전성 면에서 우위적 위치를 점할 수 있으므로 세부적인 서식처 보호를 기반으로 한 지역개발정책은 도서로 구성된 신안군의 차별화된 전략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야외시험을 통한 난주입수종의 방부성능 평가 및 국내 목재보존산업에서의 시사점 (Evaluation of Preservative Efficiacy for Refractory Wood Species in Field Tests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n Wood Preservation Industry)

  • 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44-558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야외시험을 통하여 난주입수종의 방부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난주입수종의 방부처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캐나다 방부목재 표준규격 CSA O80 Series-08 중 주거용 방부목 그룹 C와 D에 따라 방부 처리된 웨스턴 헴록과 스프루스의 방부성능을 야외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제조된 샘플들은 자상처리를 실시한 후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와 copper azole (CA)로 방부처리를 실시하였다. 성능시험용 시편들은 2010년 11월 경남 진주에 조성된 야외시험장에서 AWPA E7-09와 AWPA E18-06 방법에 따라 지접부 및 지상부 성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매년 정기점검을 통해 시편들의 부후 및 흰개미 가해상태가 조사되었다. 2017년 3월까지 약 6년 5개월 동안의 국내 야외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무처리 시편에서는 부후와 흰개미 가해가 심하게 발생되었지만 방부처리된 시편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목재사용환경에서 5 mm 침윤깊이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목재방부산업에서 난주입수종의 활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려되었으면 하는 부분을 침윤도와 보유량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지상 활동 (Aboveground Activities of Larger Black Chafer(Holotrichia morosa Waterhouse) and Korean Black Chafer (H. diomphalia Bates) Adults)

  • 김기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86-491
    • /
    • 1992
  • 1991~1992년에 야외 및 실내에서 큰검정풍뎅이와 참검정풍뎅이 성충의 지상 활동을 조사하였다. 야외의 강실에서 큰검정풍뎅이 성충은 19 : 40~21 : 00시에 지상 출현하였으며, 참검정풍뎅이 성충은 19 : 30~22 : 00시에 출현하였다. 출현 후, 큰검정풍뎅이에 있어 자충, 웅충 모두 1분 이내의 시간 동안 활발히 비상하였으며, 참검정풍뎅이에 있어 웅충은 활발하지 않게 비상하였고 자충은 전혀 비상하지 않았다. 두 종의 비상 또는 출현 성충은 식물 잎에서 교미 또는 섭식을 하였으며, 동틀녘까지 지상에 머무는 것으로 보였다. 큰검정풍뎅이 성충은 야외에서 blacklight trap에 주로 20 : 10~22 : 00시에 유인되었다. 큰검정풍뎅이 자충 및 유충은 수조 내에서 2일 간격으로 토양으로부터 출현하였다.

  • PDF

Dummy의 주입과 회수시험에 의한 수리전도도 산출

  • 이병대;류상민;추창오;강래수;성익환;김용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570-573
    • /
    • 2003
  • 광산개발로 인한 지하수 유동체계 변형에 따른 주변환경 영향조사의 과정으로 충북 음성군 지역에서 야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과정중 연구지역의 지하수계를 이해하고 개발에 따른 지하수 유동체계 변화를 예측하고자 수행된 모델링의 입력인자 산정을 위해 순간충격시험을 실시하였다. 순간충격시험을 통해 수리전도도, 투수량계수 그리고 저류계수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dummy의 주입과 회수시 다르게 나타나는 수리전도도값의 원인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았다.

  • PDF

콩명나방(Maruca vitrata)은 수원지방에서 월동할 수 있는가? (Can Maruca vitrata (Lepidoptera: Crambidae) Over-winter in Suwon Area?)

  • 정진교;서보윤;김용균;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39-444
    • /
    • 2016
  • 콩명나방(Maruca vitrata) (포충나방과)은 국내에서 Vigna속 작물(팥, 녹두, 동부)과 세스바니아의 주요 해충으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에서의 생활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콩명나방이 수원 지방($37^{\circ}16^{\prime}N$ $126^{\circ}59^{\prime}E$ 35ASL)에서 월동 가능 여부와 월동태, 월동 진입시기, 월동 후 처음 성충이 발생하는 시기를 알기 위해 야외 조건에서 월동율을 조사하였다. 9월 하순부터 야외에서 사육한 알과 유충, 번데기는 그 해에 우화하지 못했고, 이듬 해 6월 이전에 모두 사망하였다. 유충과 번데기를 토양 속에서 월동시켰던 시도에서도, 모든 개체들이 사망하였으며, 일정 기간 저온($10^{\circ}C$$13^{\circ}C$)에 노출시킨 유충들도 우화하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콩명나방은 영하의 온도에 적응하는 능력이 없고, 수원 지방 야외 조건에서 월동할 수 없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경남 고성군 덕명리 일원의 지질 교육적 가치 (Geo-educational Value of Deokmyeong-ri area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 박경진;이재우;공달용;김용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11-628
    • /
    • 2023
  • 이 연구는 경남 고성군 덕명리 일원에 대한 지질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일대에 대한 야외조사를 통해 퇴적구조(점이층리, 사층리, 연흔, 건열), 해안 퇴적환경(해식애, 파식대지, 자갈 해빈), 상대연령 측정(부정합, 단층, 관입, 포획암) 및 주상절리와 관련된 야외 지질 학습이 가능한 다수의 관찰 지점이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과서의 학습 요소와의 부합 정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관찰 지점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지질학적 특성이 잘 나타나는 전형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일한 관찰 지점에서 심화학습이 가능한 학습요소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지질 교육적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덕명리 일원은 뛰어난 지질 교육적 가치 이외에도 관광 및 교육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만큼 안전한 지질 교육을 위한 학습의 장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분리 chicken anemia agent의 닭에 대한 병원성과 야외계군의 항체 보유상황 (Pathogenicity of a Local Isolate of Chicken Anemia Agent for Chickens and Prevalence of Antibody in Chicken Flocks)

  • 김선중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1-150
    • /
    • 1991
  • 국내에서 분리된 CAA의 병아리에 대한 병원성시험과 야외계군에서의 CAA에 대한 항체 보유상황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AA국내 분리주 89-69를 감수성이 있는 1일령의 SPF병아리에 접종하였을 때 접종 14일 후 심한 빈혈과 흉선 및 Fabricius낭의 위축이 유발되었고 접종계 및 그 동거계에서 CAA가 재분리되었다. 2. CAA분리주 89-69를 유래가 다른 1일령의 SPF 두 계군의 병아리에 각각 근육접종하였을 때 두 계군간 CAA분리주에 대한 감수성의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이는 이 두 계군에서의 CAA에 대한 항체보유율과 관련이 있었다. 3. 간접형광항체반응 시험으로 야외계군에서의 CAA에 대한 항체보유상항을 조사한 결과 39계군중 29계군(74%)이 CAA에 대한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SPF계군중 한 SPF계군에서도 항체가 검출되었다.

  • PDF

국보 창경궁 자격루 누기의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과학적 조사 (Scientific Study on Clepsydra of Changgyeonggung Palace, National Treasure for Diagnosis on State of Conservation)

  • 유하림;이재성;유지아;조하늬;박영환;유동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138-156
    • /
    • 2023
  • 우리나라 문화유산에서 상당한 비중을 이루는 금속문화재 중 일부는 고유 기능과 역할, 규모 등으로 인해 야외에 설치·전시되고 있다. 그렇기에 안정적 환경에서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 설치 문화유산의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조사뿐만 아니라 조사 결과로 확보한 기초 자료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보존관리의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체계화된 조사법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제작 당시부터 야외에 설치·전시된 국보 창경궁 자격루 누기는 지속적인 보존관리에도 손상이 발생하여, 전면적인 보존처리에 앞서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조사 목적에 따라 제원 및 육안조사, 과거 보수이력 조사를 통해 보존상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3D 스캔과 표면 문양 조사, 색차 분석을 통한 정밀조사와 P-XRF, FT-IR, Py-GC/MS 분석으로 재질과 오염물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조사 결과에 대한 검토를 통해 과거 보존처리 과정에서 사용된 스쿠알란(squalane)과 실리콘 오일(silicone oil)이 야외 환경 요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그 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두텁게 고착되어 오염이 심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적으로 노출 영향이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손상의 발생 정도가 큰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색차 데이터를 그룹화(grouping)하여 파악한 경향성과 일치하였다. 이처럼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다양한 조사법을 접목한 결과 발생한 손상 원인과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에서는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의 확보 과정과 가시적으로 확인되는 손상을 과학적 데이터로 제시하고 손상 양상 등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색차 분석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