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코올성 간손상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보리수열매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형성 억제 효과 (Cherry Silverberry (Elaeagnus multiflora) Wine Mitigates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Fatty Liver in Rats)

  • 김주연;남경숙;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7-6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보리수 열매를 원료로 하여 만든 보리수열 매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고, 흰쥐에 보리수열매주의 급여가 알코올 지방간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코올의 섭취로 지방간을 유도하기 위하여 Lieber-DeCarli 액체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액체 표준식이만 공급받는 동물군을 대조군(control), 대조군과의 열량 차이를 에탄올로 보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에탄올군(ethanol), 에탄올 대신 보리수열매주를 혼합한 액체식이를 공급받는 동물군을 보리수열매주군(cherry silverberry wine, CSW)으로 6마리씩 3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실험 시작 전, 3주째, 그리고 6주째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간은 6주 혈액 채취직후 적출하였다. 보리수주의 총 페놀함량은 37.24 mg/100 mL, SOD 유사활성은 22.26%,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3.69 %로 나타났다. 혈액의 주요 지방간 표지자들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보리수열매주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군의 간은 지방구가 축적되어 비대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보리수열매주군의 간은 지방구의 크기나 수가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간조직의 총지방량 농도도 보리수열매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보리수열매주가 알코올 섭취로 증가된 혈중 지질 수준과 간기능 지표 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간조직에 지방간 형성이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간조직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는 보리수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피토케미칼 성분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알코올에 의한 간 손상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결과로 사료된다.

건강한 남자 대학생에서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 노경희;장지현;김진주;신진혁;김동규;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83-69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민들레즙이 알코올 섭취 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숙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기능 보호와 숙취해소 효과를 가진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평균 주량이 소주 1병 이상으로 술을 즐겨 마시는 건강한 20대 식품전공 남자 대학생 9명을 선정하여 개인차를 없애기 위해 실험 시작 전 1주일 간 금주를 시켰으며 시험에 앞서 임상대상자들에게 본 연구에 대해 충분히 숙지시킨 후 안정된 분위기에서 시험을 cross over design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매일 민들레즙 220 mL씩 1주일간 보충시킨 후 각각 20% 에탄올을 함유한 소주 360 mL씩 (에탄올 함량 72 g)을 섭취시켰다. 술은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1시간 내에 다 마시게 하였으며 두 번의 실험 사이에는 2주간의 wash-out period를 가졌다.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 섭취 후 혈중 HDL-C 농도가 유의적으로 (p<0.01) 증가하였으며 LDL-C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ADH와 ALDH 활성을 향상시켜 에탄올과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다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능과 지질과산화 정도는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는 알코올 섭취 후 다소 지질과산화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계 활성은 GSH-red와 catalase 활성이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알코올 섭취로 인한 임파구의 DNA 손상정도는 민들레즙의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민들레즙을 보충한 군에서 알코올에 의한 임파구DNA 손상을 다소 억제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동안과 술 마신 다음날에 나타나는 숙취증상에 대한 설문조사에서는 각 문항에서 민들레즙 보충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민들레즙 보충이 알코올 섭취 후 HDL-C 농도를 증가시켰고 ALDH 활성을 향상시켜 혈중 아세트알데히드 농도를 감소시키며 GSH-red와 catalase 활성을 증가시켜 체내에서 알코올에 의한 산화과정이나 지질과산화 생성을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민들레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물질이 숙취해소와 간 기능 보호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따라서 민들레즙이 알코올에 의한 간 기능 보호, 숙취해소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 기능성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일당귀 n-hexane분획이 에탄올을 투여한 흰쥐의 항산화계 및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Hexane Fraction of Angelica acutiloba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in Ethanol-Induced Hepatotoxicity of rats)

  • 추명희;최현숙;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64-372
    • /
    • 2004
  • 일당귀의 n-hexane분획이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oxygen free radical대사와 지질과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을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일당귀 n-hexane 분획70 mg/kg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35$\%$ ethanol 10 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7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35$\%$ ethanol 10mL/kg, b.w./day) 및 일당귀 n-hexane 분획 140 mL/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여 체중증가율, 식이효율 및 혈청중 ALT, AST 측정과 간손상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간조직중 유리기 생성계 효소인 XO활성, 유리기해독계 효소인 SOD, calaase 및 GSH-Px활성과 지질과산화물인 TBARS 및 GSH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분획의 항산화력은 n-hexane, ethylacetate, chloroform,n-butanol 및 water 분획순으로, n-hexane 분획의 항산화력이가장 우수하였다. 6주간의 체중증가율과 식이효율은 알코올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저하되었으나 일당귀 n-hexane 분획투여로 정상군에 근접하게 상승되었고, 알코올투여로 상승된ALT 및 AST활성도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간 조직중 XO활성은 알코올투여로 정상군보다 상승되었으며 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로 저하는 되었지만 유의성 있는 변화는 아니었다. 알코을 투여로 상승된 SOD활성은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catalase와 GSH-Px활성은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TBA 반응성 산물량은 정상군과 일당귀 n-hexane 분획 투여군간에 차이는 없었고 알코올투여로 정상군보다 많은 증가를 나타냈으나 일당귀 n-hexane 분획투여로 정상군에 근접하게 감소되었다. 알코올투여로 감소된 GSH 함량은 일당귀 n-hexane분획을 투여하여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에서 일당귀의 항산화작용은 유리기 해독계 효소인 SOD활성억제와 비효소적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GSH량을 증가시킴으로서 지질과산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강되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되어지며, 또한 혈청중 ALT 및AST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써 일당귀가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손상된 간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알코올성 간 손상 조직에서 TGF-β1와 c-Myc, Erb-B2, Thymosin-β4 유전자 발현 융합 연구 (A study of Expression of TGF-β1, c-Myc, Erb-B2 and Thymosin-β4 Gene in Alcoholic Liver Damage Tissue.)

  • 김진수;최상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1-97
    • /
    • 2018
  • 본 연구는 25% 에탄올에 손상된 간조직에서 $TGF-{\beta}_1$와 c-Myc, Erb-B2, $Thymosin-{\beta}_4$ 유전자의 발현을 알아 보고자 실시 하였다. 실험군은 2군으로 나누어 25% 에탄올로 간 손상을 유발한 실험군과 정제수를 투여한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검사 결과는 25% 에탄올를 투여 했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TGF-{\beta}_1$, c-Myc 및 $Thymosin-{\beta}_4$ 유전자의 발현 증가를 알 수 있었으며 Erb-B2 유전자는 뚜렷한 발현을 알 수 없었다. 또한 손상된 간 조직에서 헤마톡실린 에오진 염색을 통한 세포 손상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기존 임상에서 간 기능 관련 질병 예방과 질환 판정 시 혈청학적, 조직학적 검사 외에 $TGF-{\beta}_1$, c-Myc 및 $Thymosin-{\beta}_4$의 분자 진단 기법에 의한 유전자 발현 상태를 융합 검사함으로써 간 질환 판정의 보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알코올 투여 흰쥐의 간 조직 산화스트레스에 미치는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균체의 영향 (Suppressive Effect of Administrated Glutathione-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on the Oxidative Stress in Alcoholic Fatty Liver)

  • 차재영;박상현;허진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1053-1058
    • /
    • 2008
  • 글루타티온은 간 질환용 치료제 내지는 영양보충제로 시판되고 있다. 이전 실험에서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균체(FF-8GY) 투여가 사염화탄소 및 알코올성 유발 간독성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알코올성 지방간의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추출물(GYE)과 본 실험실에서 분리한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FF-8GY을 비교실험 하였다. FF-8GY 또는 GYE 투여에 의한 간 조직 중의 산화스트레스 측정지표로서는 과산화지질(TBARS) 및 글루타티온 함량을 측정하였다. TBARS 농도는 간 조직 homogenize 분획에서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해 FF-8GY 투여 실험군에서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GYE 투여에 의해서는 감소경향을 보였다. 간 조직 microsomal 및 mitochondria 분획에서도 같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이때 간 조직 중의 글루타티온 농도는 정상군 보다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서 5%수준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GYE 투여에 의해 더욱 감소되었으나 FF-8GY 투여에 의해서 정상군 수준까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조직의 손상정도를 나타내는 또 하나의 지표인 혈청 총단백질 및 알부민 농도는 알코올 처리 대조군에서 낮게 나타난 반면 FF-8GY 투여에 의해 정상군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8 균체(FF-8GY)의 투여에 따른 알코올성 유발 산화스트레스의 경감 효과는 시판되고 있는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추출물 보다 더욱 현저한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ethionine과 Selenium 수준이 흰쥐의 알코올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hionine and Selenium Levels on Alcohol Metabolic Enzyme System in Rats)

  • 김명주;박은미;이미경;조수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9-326
    • /
    • 1997
  • Met과 Se의 공급수준이 흰쥐의 알코올대사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Sprague-Dawley종의 웅성 흰쥐에게 Se 무첨가 및 정상공급식이 (0, 0.45mg/kg diet)에 Met(0, 3, 9g/kg diet)을 투여한 후 5주와 10주간 사육하여 간조직중의 알코올 대사효소와 항산화 방어 효소계 활성도를 관찰하였다. 알코올은 aldehyde dehydrogenase와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Met과 Se의 동시 결핍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Met과 Se의 동시 공급군의 경우 알코올 투여기간이 길수록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ldehyde dehydrogen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로 감소하였으며 Met과 Se 동시 결핍군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사육기간이 길수록 그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Cytochrome P-450과 xanthine oxid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Se 결핍시 Met 결핍군과 과량공급군에서 그 증가가 현저하였으며, 5주 실험군에 비해 10주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시 증가되었으며,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 활성도는 알코올 투여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알코올 투여시 glutathione peroxidas 활성도는 감소되었으며, Met 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Met과 Se 동시 결핍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식이성 Met과 Se은 동물의 성장 및 정상적 대사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서 알코올 투여 시 Met과 Se 첨가에 따라 알코올대사 효소활성도와 항산화 방어효소 활성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식이 kg당 3g의 Met과 0.45mg의 Se 동시 공급시 원활한 알코올대사를 유도하여 알코올성 간손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급성 알코올 독성을 유발한 ICR Mouse에서 Allium hookeri 뿌리 에탄올 추출물의 간 기능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Root on Acute Alcohol-Induced Intoxication in ICR Mice)

  • 강혜영;이초은;이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25-633
    • /
    • 2016
  • Allium hookeri 뿌리의 $80^{\circ}C$ 열수 추출물 및 9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추출별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를 비교한 후 효능이 더 뛰어난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급성 알코올 간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ICR mouse에 1주일간 A. hookeri 뿌리 추출물을 경구투여한 후 급성 알코올 간 독성을 유발하기 위하여 40% 알코올을 단회 투여한 후 혈청의 알코올 농도, AST, ALT의 변화, ADH,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 hookeri 뿌리 추출물은 열수 추출물보다 95% 에탄올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A. hookeri 뿌리 95% 에탄올 추출물은 알코올 섭취 시 혈액 및 체내 에탄올 제거 속도를 촉진하고 혈청 AST와 ALT의 활성을 억제하며 간의 ADH, ALDH 활성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주로 인한 간 손상에 대해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A. hookeri 뿌리 95%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산화적 손상에 대한 꾸지뽕나무 잎, 열매 및 줄기 추출물의 간세포 보호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 of Curdrania tricuspidata Extracts against Oxidative Damage)

  • 김옥경;호진녕;남다은;전우진;황권택;강정은;채옥순;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 개선 소재 개발을 위하여 꾸지뽕나무 각 부위별(잎, 줄기, 열매), 용매별(80% 에탄올, 10% 에탄올,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용매별로는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 또한 잎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HepG2 세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해서는 꾸지뽕 잎 80% 에탄올 추출물만 유의적으로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으며,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산화적 손상에 대한 각 부위별, 용매별 추출물의 간세포보호효과 또한 꾸지뽕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위별로는 잎>줄기>열매 순이었고, 추출 용매별로는 꾸지뽕 잎의 경우 80% 에탄올>10% 에탄올>물 순이었으며, 줄기와 열매의 경우는 용매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H_2O_2$와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간 손상으로부터 간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알코올성 지방간에서 Baicalin의 허혈 및 재관류로 인한 간 손상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Baicalin against Hepatic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Alcoholic Fatty Liver)

  • 김석주;김소진;김강민;이선미
    • 약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260-267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icalin, a bioactive flavonoid isolated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on hepatic injury caused by ischemia/reperfusion (I/R) in alcoholic fatty liver. Rats were fed an ethanol liquid diet or a control isocaloric diet for 5 weeks, and then subjected to 60 min of hepatic ischemia and 5 h of reperfusion. Baicalin (200 mg/kg)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24 and 1 h before ischemia. After reperfusion, baicalin attenuated the increase in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The levels of cytosolic cytochrome c protein expression, caspase-3 activity,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increased after reperfusion, which were higher in ethanol-fed animals, were attenuated by baicalin. Following I/R, the hepatic lipid peroxidation was elevated, whereas hepatic glutathione content was decreased. These changes attenuated by baicalin. In ethanol-fed animals, baicalin augmented the increases in heme oxygenase-1 protein and mRNA expressions, and nuclear Nrf2 expression. In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baicalin ameliorates I/R-induced hepatocellular damage by suppressing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in alcoholic fatty liver.

알코올성 간 손상 동물 모델에서 芍藥 葛根 복합물의 간 손상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Paeoniae Radix Alba and Puerariae Radix combination on alcoholic liver disease)

  • 최정원;김진영;신미래;박해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43
    • /
    • 2023
  • Objective : Alcoholic liver disease (ALD) is caused by excess alcohol intake. In the liver, alcohol breakdown results formation of toxic byproducts that lead to damage to tissu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s of Paeoniae Radix Alba and Puerariae Radix combination (PP) on ALD. Methods : PP was analyzed for polyphenolic compound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D mouse model was induced by feeding ethanol and water (Control), silymarin (50 mg/kg), low-dose (PP: 100 mg/kg) or high-dose (PP: 200 mg/kg) was orally administrated to ALD mice for 14 days. The serum was assessed with levels of AST, ALT,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iver tissues were evaluated for ROS levels, degree of liver damage and protein expression. Results : The 3:1 (Paeoniae Radix Alba:Puerariae Radix) ratio showed the best antioxidant values for the experiment. In ALD model, levels of AST, ALT,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and the levels were decreased by treatment of PP. In addition, increased ROS, ONOO- and MDA levels in the Control were reduced in the PP groups. Western blot analysis figured out that proteins related to ROS and cholesterol metabolism were higher in ALD than in PP-treated ALD. Antioxidant enzyme expression was low in the control group and increased by PP treatment.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PP has the potential to be a medicine in ALD in terms of regulating oxidative stress and adjusting lipid metabolism.